• 한국문화사
  • 23권 다양한 문화로 본 국가와 국왕
  • 제4장 왕실의 권위와 상징물
  • 1. 왕국의 이념과 왕실의 권위
  • 조선 왕의 권위
  • 조선 왕의 다양한 특성
신병주

조선의 왕은 고대나 고려의 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대 권력을 누리지는 못하였다. 각종 제도가 정비되면서 왕을 견제하는 장치도 적절히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에서 왕권을 견제하는 조치는 건국의 일등 공신(一等功臣)인 정도전에게서 비롯되었다. 정도전은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의 저술을 통하여 신권이 왕권을 견제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1398년(태조 7) 왕권 강화주의자인 이방원(후의 태종)에게 정도전이 죽음을 당하면서 왕권 강화로 회귀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왕권과 신권의 문제는 조선 정치사의 핵심 용어로 떠올랐다. 조선시대 정치사에서 큰 축을 차지하는 왕권과 신권의 문제는 결국 왕권을 누가 어떤 방식으로 행사하느냐에 따라 갈등 양상을 보이기도 하고 조화를 이루기도 하였다. 세종 같은 왕이 절대 권력을 휘두르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뜻에 맞게 강력한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이루었던 측면이 크다.

518년간 지속된 조선은 역사적으로 많은 파란을 겪었다. 크게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과 같은 국제 전쟁에서부터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 각종 역모(逆謀) 사건, 북벌(北伐) 같이 시대적 소명으로 떠오른 난제가 조선의 왕 앞에 닥쳐왔다. 세종대의 공법(貢法), 광해군대의 대동법(大同法), 영조대의 균역법(均役法), 정조대의 신해통공(辛亥通功)처럼 역사의 한 획을 그을 만한 각종 경제 정책을 최종 결정하는 것도 왕의 몫이었다. 안정기에 국가 체제가 제자리를 잡게 했던 왕, 보수와 개혁의 갈림길에서 역사적 선택을 요구받았던 왕, 조선이 신하의 나라로 전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왕권을 유지하려 했던 왕, 전란의 소용돌이에 맞서거나 피해 가야 했던 왕. 이처럼 조선의 왕은 안정기와 격동기를 막론하고 자신의 정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야 하는 위치에 서 있었다.

확대보기
대동법 시행 기념비(大同法施行記念碑)
대동법 시행 기념비(大同法施行記念碑)
팝업창 닫기

조선의 왕위 계승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적장자(嫡長子)의 왕위 세습을 원칙으로 지키면서도 실제로 적장자가 왕위를 계승한 경우가 드물다는 점이다. 27명의 역대 조선 왕 가운데 적장자로 왕위에 오른 경우는 8명에 불과하였다. 30%도 되지 않는 수치이다. 왕위 계승에 있어서 여러 변수가 발생하였다는 뜻인데, 이러한 변수의 배경에는 어떠한 시대적 조건이 자리하고 있었을까? 태조는 계비 소생(繼妃所生)인 막내아들 방석(芳碩)을 세자로 책봉하였고 이 과정에서 본처 소생 아들들의 저항을 받았다. 그 결과 1398년(태조 7)에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고 둘째인 방과(芳果)가 정종으로 즉위하였다. 정종을 이은 태종은 태조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다. 세종은 세 번째 아들이었지만 태종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왕으로 즉위하였다. 문종이 적장자로 처음 왕위에 올랐으나 재위 기간이 짧았다. 역시 적장자였던 단종은 숙부인 수양 대군(首陽大君)의 왕권 야심에 짧은 생애를 마감하였다. 세조의 뒤를 이은 예종은 세조의 차남이었으나 형 의경 세자(懿敬世子, 덕종(德宗)으로 추존)가 죽자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성종은 의경 세자의 차남으로, 예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의 물망(物望)에 올랐다. 성종에게는 형인 월산 대군(月山大君)이 있어서 서열상 왕위 계승에서는 뒤쳐져 있었으나 장인인 한명회(韓明澮)의 후원 등으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이처럼 열 번째 왕인 연산군이 왕위에 오를 때까지 적장자로 왕위에 오른 경우는 문종과 단종 두 번에 불과하였다. 문종과 단종은 재위 기간이 짧아 적장자 왕으로서의 특권을 거의 누려 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성종의 장남인 연산군이야말로 적장자 출신이라는 이점 속에서 왕위에 올라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 준 최초의 왕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이러한 정통이 그의 독선적인 기질과 더하여 독재적 군주상을 만들어 나가는 한 요인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정통성이 취약하였던 세종이나 세조가 큰 업적을 남긴 것과 대비해 볼 때 연산군의 적장자로서의 특권은 그를 긴장의 끈에서 이탈하게 하였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적장자 프리미엄을 갖지 못한 왕은 신하들에게 꼬투리를 덜 잡히기 위해서라도 전권을 행사하지 못하였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왕위 계승에서 적장자 세습의 원칙이 대부분 무너졌다는 점 또한 조선 국왕의 권위를 약화시킨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