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5권 기록과 유물로 본 우리 음악의 역사
  • 제2장 기보법의 발달과 악보
  • 1. 기보법의 발달과 종류
  • 합자보
권오성

합자보는 악기의 연주법을 기본으로 하여 음악을 표기하는 악보로, 안법(按法, 또는 지법(指法)), 현법(絃法), 탄법(彈法)을 표시하는 약자(略字)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부호로 기보한다. 다시 말하면 합자보는 거문고의 괘(棵) 순서를 표시한 부호, 거문고의 어느 줄(현법)을 왼손의 어느 손가락으로 어떻게 짚는가(안법), 오른손의 어느 손가락으로 어떻게 연주하는가(탄법)를 표시하는 약자가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부호에 따라 해당하는 음을 내도록 되어 있는 악보이다.

확대보기
합자보 기호
합자보 기호
팝업창 닫기

합자보는 성종대에 음악 이론가이자 기악의 명수들인 성현(成俔)·박곤(朴棍)·김복근(金福根) 등이 창안하여 체계화하였다.97)이규경(李圭景),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경사편(經史篇) 1, 악(樂), 속악(俗樂)에 대한 변증설. 성종의 명에 따라 펴낸 『악학궤범』에는 현금·가야금·향비파·당비파에 대한 합자보가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각종 악기의 연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악가들은 더욱 구체적인 약자들을 첨가하면서 합자보의 형태를 좀 더 완성시켜 나갔다. 더욱이 16세기에 들어와서 거문고와 가야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악기로 편성되는 실내 기악과 개별적인 악기의 독주 양식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합자보는 한층 더 발전된 음악 표기법으로 완성되어 갔다.

합자보로 된 악보로 현전하는 최초의 것은 『금합자보』이다.98)황준연, 「조선 전기의 음악」, 『한국 음악사』 한국 예술사 총서 Ⅲ, 대한민국 예술원, 1985, 218쪽. 『금합자보』는 거문고 연주를 위한 합자보이지만, 합자보·오음약보·육보의 세 가지 기보법을 사용하였다. 합자보는 대개 육보와 나란히 병기하여 썼으며, 19세기 말의 『삼죽금보』에 이르면 합자보는 줄과 괘의 순서만 드문드문 나오고 육보만 남게 되었다.

확대보기
『금합자보』
『금합자보』
팝업창 닫기

합자보는 개별적인 악기의 연주에서 정확성을 보장하고, 연주가의 연주 기술을 높이며, 해당 악곡을 전수하는 데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 음악 표기법이었다. 곧, 악기의 연주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기여한 것이다.

『금합자보』의 서문 중에서 “산간벽지(山間僻地)에서 현금(玄琴, 거문고)을 배우고 싶으나 스승을 얻지 못하는 사람이 이 금보를 얻어 보면 마치 스승이 옆에 앉아서 지시하는 것 같고 제자도 어려운 것이 없다.”라고 한 것은 합자보의 우수성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합자보는 거문고를 애호하고 혼자 연주하던 사대부들에게 특히 각광을 받았으며, 풍류객들이 만든 수많은 거문고 합자보가 전파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