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6권 쌀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 제4장 개항에서 일제강점기 쌀 수출과 농촌 사회
  • 3. 일제의 전쟁 수행과 조선의 쌀
  • 조선 총독부의 농촌 통제 정책과 농촌 사회
  • 조선 총독부의 농촌 통제 정책
김윤희

1932년 시작한 농촌 진흥 운동은 일본의 전쟁 수행 과정에서 성격이 변화되었다. 농촌 진흥 운동 수립 초기인 1933년 조선 총독부의 ‘농가 갱생 계획 수립에 관한 방침’에서는 개별 농가를 대상으로 하여 농촌 노동력을 최대한 동원하기 위해 종합 경영을 지도하고 자급자족을 위해 ‘식량 충실, 현금 수지의 균형, 부채 근절’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표방하였다. 또한 ‘농가 경제 갱생 지도 계획’을 통해 구체적인 시행 계획을 세웠는데 그 내용은 ‘지도 부락 설치, 지도 부락의 선정, 농어촌 현황 조사, 농가 경제 갱생 계획과 실행’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때 농촌 진흥 운동은 면사무소를 비롯하여 조선 총독부의 농촌 행정 기관이 총동원되었다. 그리고 초기 계획이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를 내리고 10년간 농강 갱생 계획을 수립하여 모든 농촌의 촌락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농촌 진흥 운동의 정책 방향이 농가 갱생에서 식량 증산으로 변화하였다. 이때 발표된 ‘시국의 진전에 대처해야 할 농산어촌 진흥 운동의 사명 수행에 관한 정무총감 통첩’에서는 농산어촌민에 대한 시국 인식에 관한 사항, 농산어촌민의 휼병(恤兵)·위문·헌금·헌물 헌납 등에 관한 사항, 생업 보국에 관한 사항, 그리고 농회(農會)를 비롯한 농어촌의 각종 단체 활동에 관한 사항 등을 내용으로 하여, 전쟁 수행을 위해 농어촌에 대한 통제 강화와 생산 증대를 목적으로 하였다.

확대보기
면사무소의 집무 광경
면사무소의 집무 광경
팝업창 닫기

특히, 시국 인식에 관한 사항에서는 모든 촌락에 진흥회를 설치하고 진흥 위원회를 매월 1회 이상 개최할 것 등을 지시하였다. 이는 인적·물적 동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정신적 동원을 수행하여 농민의 ‘자발성’을 생산력 증진으로 연결하려는 것이었다. 특히 앞서 5년간 갱생 계획을 완료한 촌락을 공려 부락으로 선정하여 부락시(部落是)를 수립하도록 하여 전통적인 자치 규범과 질서를 통해 통치 체제로 흡수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전쟁이 태평양 전쟁으로 확대됨에 따라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 생산이 시급한 과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전 촌락을 대상으로 생산 보국 운동 이 전개되었다.

농가의 갱생을 목표로 전개되었던 농촌 진흥 운동은 일제의 전쟁 수행 과정에서 촌락을 단위로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이를 위해 체제 내화 및 통제 강화라는 성격으로 변화되어 갔다. 이에 따라 농촌 통제는 극단적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소위 애국반 체제를 통해 노동력 동원과 물자 통제 및 생산 독려가 진행되었다. 특히 전 지역 구장, 부락 연맹 이사장, 그리고 식산계 주사를 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하여 농촌 단위에서 행정과 사회적 지배 그리고 경제적 지배를 일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