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7권 농업과 농민, 천하대본의 길
  • 제3장 조선 전기 농업 발달과 농촌 사회 그리고 농민
  • 3. 벼농사 짓는 법과 밭작물 재배법
  • 농사일과 농기구의 결합
염정섭

조선 전기 15세기 농법의 양상을 살피는 작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농기구이다. 농기구는 농업 생산 활동에 사용하는 직접적인 생산 도구·생산 수단을 가리킨다. 농민들은 농사 현장에서 여러 가지 생산 도구 및 생산 수단을 축력(畜力)이나 인력(人力)을 주요 동력으로 이용하면서 사용하였다. 농기구의 구조와 구성 체계 그리고 재질 등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변화와 발전은 곧장 농업 생산력 전반의 발달을 가져오는 요인이었다.416)중국사의 경우 농기구가 직접 생산 현장에 투하된다는 점에서 그 발달과 진보의 모습이 곧장 농업 생산력의 발달로 이어진다고 파악하고 있다(퍼킨스, 양필승 옮김, 『중국 경제사 1368∼1968』, 신서원, 1997). 우리나라 역사에서 농업 생산에 철제 농기구를 활용하던 단계로 들어선 이래 오랜 세월 동안 농기구의 기본적인 재질은 철제(鐵製)의 틀을 벗어나지 않았다.417)한국사에서 많이 지적되는 4∼6세기의 신라 사회의 분화는 바로 철제 농기구의 광범위한 보급이라는 배경 속에서 나타난 것이었다(전덕재, 「신라 주군제의 성립 배경 연구」, 『한국사론』 22, 서울 대학교 국사학과, 1990 ; 「4∼6세기 농업 생산력의 발달과 사회 변동」, 『역사와 현실』 4, 한국 역사 연구회, 1990 ; 김재홍, 「살포와 철서(鐵鋤)를 통해서 본 4∼6세기 농업 기술의 변화」, 『과기 고고 연구』 2, 아주 대학교 박물관, 1997). 철제 농기구의 기본적인 재질의 변화는 아주 최근인 현대 과학 문명시대에 접어든 이후에 나타나게 되었고, 또한 농기구를 작동시키는 동력에서도 인력이나 축력 대신에 증기 기관 등의 기계력(機械力)을 활용하게 된 것도 서양에서 근대 산업 혁명이 일어난 이후의 일이었다.

확대보기
조선시대 볏과 보습
조선시대 볏과 보습
팝업창 닫기

조선시대의 농민들도 주로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철제 농기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농업 생산 수단의 대종으로 정착되어 내려오는 동안 농업 생산 활동의 각 부분인 기경·파종·제초·수확 등에 쓰는 농기구도 마찬가지로 오랜 세월 동안에 걸쳐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 이전에 이미 기경, 숙치, 복종, 제초 등 각각의 개별적인 농작업마다 대응하는 농기구가 구비되어 있었다. 『농사직설』을 중심으로 조선 전기의 농기구 구성 체계를 농작업별로 검토할 수 있다.

15세기 조선의 농업 생산에 기본적인 기경용(起耕用) 농기구로 사용된 것은 쟁기였다. 그런데도 『농사직설』의 본문 속에는 쟁기를 의미하는 ‘여(犁)’라는 글자가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우경(牛耕)’, ‘엄경(掩耕)’ 등 기경을 의미하는 단어 용례와 “두 이랑 사이를 천경(淺耕)하여 대두를 파종하고, 양맥을 수확한 다음 맥근(麥根)을 갈아서 두근(豆根)을 덮는다.”라 는 표현에서 일반적으로 기경 작업에 쟁기를 활용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418)『농사직설』 종대두소두녹두(種大豆小豆菉豆)(『농서』 1, 18면).

확대보기
쟁기와 소멍에
쟁기와 소멍에
팝업창 닫기

쟁기의 구조 가운데 볏이라는 부품이 있다. 볏의 기능은 쟁기날인 보습이 파 올린 흙덩이, 즉 쟁깃밥을 완전히 뒤집어 토양의 전면적인 기경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쟁기날이 들어가는 깊이에 자리하고 있는 하층의 토양을 상층으로 끌어올리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속품이 바로 볏이었다. 조선 초기에 활용한 쟁기에도 볏이 붙어 있었다. 『농사직설』에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녹두를 갈아엎어 땅속에 밀어 넣고 작물비(作物肥)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 있는데, 이러한 작업에 활용하는 쟁기에 볏이 달려 있지 않았다고 보기 어렵다.

확대보기
써레
써레
팝업창 닫기

논과 밭을 기경한 뒤에 수행하는 숙치, 마평 작업에 활용하는 대표적인 농기구는 써레(鄕名 所訖羅)와 쇠스랑(鐵齒擺, 鄕名 手愁音)이었다.419)목작(木斫)과 소흘라(所訖羅)의 문제는 다음 연구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 김용섭, 「조선 시기 목작과 소흘라를 통해서 본 농법 변동」, 앞의 책, 1990. 써레는 특히 논에 물을 채운 다음 바닥을 평탄하고 고르게 만들 때 이용한 농기구이다. 그리고 쇠스랑은 전답을 정돈할 때 사용할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작업을 할 때 이용한 농기구였다. 농가에서는 삽(鍤·臿)이나, 가래도 활용하여 전답의 숙치, 마평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특히 가래는 수전의 논 고르기 등 전토 정리 작업에 대략 세 명이 한 조가 되어 작업을 수행할 때 활용한 농기구이다.

확대보기
호미의 모양과 분포
호미의 모양과 분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나물 캐는 여인
나물 캐는 여인
팝업창 닫기

제초는 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또한 잡초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제대로 농업 생산에 반영되지 않는 이른바 쭉정이를 없애는 것도 필요한 작업이다. 『농사직설』에서 잡초 제거와 쭉정이를 없애는 작업은 수운(手耘)이라고 하여 손으로 수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호미를 농기구로 이용하였다. 제초 작업은 가뭄이 들기 시작하는 시기라 하더라도 멈추어서는 안 되었다.420)『세종실록』 권112, 세종 28년 5월 신사. 물을 채운 수전에서 제초 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온몸이 진흙으로 더럽혀지기가 일쑤였다. 제초가 고된 농작업이기 때문에 호미를 활용하는 작업이 마무리된 다음 ‘호미씻이’라는 성대한 행사가 벌어졌 던 것이다. 당시의 농민들은 기본적인 제초용 농기구인 호미를 손에 들고 앉는 자세로 제초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현재 통용되는 호미와 형태나 기능 면에서 동일하였다.

확대보기
벼베기
벼베기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벼타작
벼타작
팝업창 닫기

『농사직설』의 수확용 농기구는 낫이었다. 미리 풀을 베어 시비 재료를 만들도록 권장할 때 등장하는 농기구도 자루가 긴 낫이었다. 낫을 수확 작업뿐 아니라 산야의 초목을 베어 내는 작업에 이용하는 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관행이었다. 낫으로 작물을 수확한 다음 이렇게 획득한 작물을 사람이 먹으려면 몇 단계 작업을 더 거쳐야만 하였다. 농사일의 고단 함은 이렇듯 땅을 기경하는 순간부터 수확한 이후까지 이어지는 것이었다. 농민의 수고로움이 곡식의 한 알 한 알에 배지 않을 수 없었다.

확대보기
디딜방아
디딜방아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연자방아
연자방아
팝업창 닫기

수확한 곡물은 일련의 도정(搗精) 작업을 거쳐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우선 곡물의 낟알을 떨어내는 작업을 수행하고, 그런 다음 낟알에서 겉껍질과 속껍질을 차례로 벗겨내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전자는 타작(打作)이라 부르고, 후자는 구체적으로 도정이라 불렀다. 타작에 동원되는 농기구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도리깨를 많이 이용하였다. 그리고 도정 작업에 사용한 농기구는 맷돌과 절구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뉜다.421)이춘녕·채영암, 『한국의 물레방아』, 서울 대학교 출판부, 1990. 먼저 맷돌은 곡식의 껍질을 벗겨 낼 때 사용할 뿐 아니라 도정한 알곡을 빻을 때에도 사용하였다. 맷돌은 기본적으로 인력에 의존하는 농기구였지만, 축력으로 소의 힘을 이용하면서 연자매라는 농기구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절구 계통에 속하는 돌절구와 나무절구도 맷돌과 마찬가지로 이용되었다. 절구 계통에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되 인력에 의지하는 디딜방아와 수력(水力)을 사용하는 물방아가 있었다. 물방아의 원리를 좀 더 발전시켜 수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물레방아도 도정하는 데에 이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