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28권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 제2장 가족과 친족 생활
  • 4. 친족 조직과 활동
  • 문중의 조직과 활동
  • 서당 설립을 통한 후손 양성
전경목

문중은 대부분 선조의 위업을 널리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후손을 위한 사업도 벌이기 시작하였다. 그 중 하나가 문중 서당(書堂) 혹은 문중 서재(書齋)의 설립이었다. 이와 같이 문중에서 서당이나 서재를 설립하여 어린 자제들을 교육시킨 이유는 문중에서 관리나 학자를 지속적으로 배출시켜야만 선조가 이룬 위업을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는 각 문중에서 서당이나 서재를 설립하고 훌륭한 훈장(訓長)을 영입하여 어린 자제들을 교육시켰다.

확대보기
양동 강학당(良洞講學堂)
양동 강학당(良洞講學堂)
팝업창 닫기

우반동의 부안 김씨들도 문중 서당을 설립하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와 관련된 자료가 상세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숙종 연간(1674∼1720) 무렵에는 문중 서당이 설립되어 있었고 종가에서 이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688년(숙종 14)에 김번이 자녀에게 재산을 나누어 준 바 있는데, 이때 차자 김수창(金守昌)의 몫 가운데 고공 한 아무개에게 사들인 7마지기의 논이 있었다. 그런데 김번은 그 논에 대해 다음과 같은 당부의 글을 첨부하였다.

이 논은 (내가) 서당(의 재정)을 지원하기 위해 잠시 빌려 주었으니 (혹시 훗날) 서당이 훼철된 후에는 (너희들이) 돌려받아 차지하라.132)『부안 김씨 우반 고문서』, 213∼217쪽, 분재기류 29.

종손이던 김번은 이와 같이 문중에서 설립한 서당에 7마지기의 논을 내놓아 재정적인 지원을 하였다. 이러한 지원 덕택에 이 서당은 상당히 오래 유지되다가 정조 초기에 훼철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79년(정조 3)에 김정하가 형제들과 부모의 유산을 나누고서 작성한 문서를 살펴보면,133)원문에는 김정렬(金鼎烈)로 되어 있는데 이는 김정하의 초명이다. 서당기전(書堂基田), 즉 서당이 있었던 터와 그 주위의 텃밭이 ‘전래승중전민(傳來承重田民)’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조 초에는 서당이 이미 훼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서원 터와 그 텃밭이 종가의 승중전민으로 포함된 이유는 김수창이 일찍 사망하고 동생 김수경의 손자 김득문이 종손으로 입양되어 이들에게 분배되었던 재산이 다시 종가로 회수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번의 당부대로 된 셈인데, 이를 통하여 우반동의 부안 김씨들도 문중 서당을 설립하고 이를 통해 자제들을 교육시켰음을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