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2권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 2 토기 제작전통의 형성과 발전
  • 02. 삼국의 토기생산과 발전
  • 고구려
  • 고구려 토기의 특징과 제작기술
최종택

고구려에는 기와 만드는 일을 관장하는 ‘조와소(造瓦所)’라는 관청이 있었다. 또한, 고구려를 이은 궁예(弓裔)의 후고구려(後高句麗)에는 그릇 만드는 일을 관장하는 ‘주도성(珠陶省)’이라는 관청이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고구려에도 그릇 제작을 관장하던 기관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토기를 비롯해 흙을 빚어서 기물(器物)을 만드는 일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었으며, 고구려의 성장과 함께 발전하였다.

고구려 토기는 백제나 신라·가야 토기와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는데, 우선 모래가 거의 섞이지 않은 고운 점토질[泥質]의 바탕흙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른 시기의 토기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토기는 물레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자기를 만드는 것 과 같이 점토 소지를 물레에 얹고 회전력을 이용해 그릇을 뽑아 올리는 것이 아니라, 테쌓기를 이용해 대체적인 형태가 완성된 그릇의 외형을 말끔히 마무리하는데 물레를 사용하였다.

고구려 토기의 제작방법은 오늘날 전통 옹기의 제작법과 유사한데, 납작한 바닥을 만들고 그 위에 일정한 두께의 점토 띠를 겹겹이 쌓아올리는 방법으로 그릇을 만들었다. 그릇의 형태가 갖추어지면 물레에 올리고 표면을 마무리하거나 예새 같은 도구를 이용해 몸체 아래쪽을 깎아 내거나 표면을 문질러서 마무리하였다.

고구려 토기는 회색이나 황색 및 흑색이 많다. 모든 토기의 바닥은 납작한 것이 특징이며, 같은 시기 백제나 신라·가야의 항아리는 모두 둥근 바닥인 점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고구려 사람들이 평상 위에서 생활하였고, 입식생활을 하였던 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확대보기
고구려 토기에서 관찰되는 각종 제작 흔적
고구려 토기에서 관찰되는 각종 제작 흔적
팝업창 닫기

또한, 고구려 토기는 문양으로 장식된 것이 드물다. 간혹 무늬가 장식된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고분에서 출토된 부장용이거나 의례용기이다. 대부분의 생활용기는 무늬가 없는 간소한 형태이며 실용적이지만 전체적인 모양과 손잡이 등을 이용해 조화된 형태를 만들어내었다. 또한, 삼국 중 가장 먼저 유약이 발라진 토기를 사용하는데, 4세기 이후에는 낮은 온도의 유약을 바른 황유도기(黃釉陶器)나 녹갈도기(綠褐陶器) 등이 제작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