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4권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 2 음악과 일상 생활
  • 03. 세시풍속과 음악: 정월 대보름굿
  • 세시풍속과 음악: 정월 대보름굿
  • 농악패의 편성
이용식

농악패의 구성원을 ‘잽이’ 혹은 ‘ㅋ’라고 한다. ‘잽이’란 용어는 악기를 ‘잡는다’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고, ‘치배’란 용어는 악기를 ‘치는 패(牌)’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불가(佛家)에서 범패승을 일컫는 용어인 ‘차비’ 혹은 ‘채비’의 와음일 수도 있다. 농악패의 구성은 악기를 연주하는 잽이(앞치배)와 여러 종류의 분장을 하고 춤을 추면서 흥을 돋우는 잡색(뒷치배), 그리고 각종 깃발을 드는 기수로 구성된다.

앞치배는 쇠(꽹과리, 깽매기, 꽹쇠), 징, 장구, 북, 소고의 순서로 편성된다. 마을에 따라 소고보다 크기가 약간 큰 법고(벅구)를 편성하 는 곳도 있는데, 최근에는 소고를 법고라고 부르는 마을도 많다. 또한, 태평소(호적, 날라리, 새납)나 나발, 혹은 나무로 만든 영각(令角)을 편성하는 곳도 많다. 이들 중에서 쇠를 치면서 농악패를 주도하는 이가 상쇠인데, 상쇠는 농악패의 음악과 행렬을 주도하는 역할 외에도 굿을 하면서 집안의 가신(家神)을 위한 고사소리나 덕담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상쇠는 두 종류로 구분하는데, 평소에는 농사를 짓다가 마을굿을 거행할 때 상쇠를 하는 비전문음악가를 ‘두렁쇠’라 하고, 걸립굿을 다니는 전문적인 예능인을 ‘뜬쇠’라고 한다.

잡색(뒷치배)은 대포수(포수), 양반, 무동, 농구, 각시, 호미중(조리중) 등이 편성되는데, 마을에 따라 잡색의 수는 다양하다. 대포수는 잡색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쇠 대신에 고사소리나 덕담도 해야 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농악패의 깃발은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는 글자가 적힌 긴 농기(農旗)와 ‘령(令)’이라는 글자가 적힌 작은 영기(令旗)가 기본이고, 마을에 따라 용(龍)을 그린 용기(龍旗)가 있는 곳도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