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6권 한 해, 사계절에 담긴 우리 풍속
  • 3 세시 풍속과 생업: 생산
  • 04 생업과 세시의 장기 지속과 단기 지속
  • 7월
  • 20세기 7월 세시와 생업
주강현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고 하여 농번기이면서도 비교적 한가한 철이다. 세벌 김매기가 끝났으니 사실 일년 농사에서 가장 어려운 고비를 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중이나 칠석 같은 절기를 이용하여 대대적인 여름철 휴한기 축제가 벌어지는 달이기도 하다.

20세기 전반에 이런 기사가 엿보인다. ‘삼백여 농민 흥분 끝에 충돌-백종날 술먹고 놀다가 싸워 외인 중재로 무사 해산’이란 제목의 기사다. “전라북도 장수군 읍내에서는 지난 칠일 석양에 북동리 농민과 교촌리 외 여덟 동리 농민 약 삼백여 명이 충돌되어 일대 육박전이 있어 일시는 자못 위험하였던 바, 수십 인의 극력 중재로 무사히 헤어졌다. 그 이유는 음칠월 십오일인 백중날에 여러 동리 농민 삼백여 명이 모여 놀다가 저녁 돌아갈 시간이 되었는데 북동리 농민들이 간다는 인사도 없이 먼저 감을 남은 다수 사람들이 그 무례함을 분개하여 그와 같이 싸우게 된 것이라 한다.”107) 『동아일보』 1930년 9월 10일자. 칠월 백중놀이의 적극성을 역설하는 자료이다.

지역적 편차는 존재한다. 민속지를 검토해 볼 경우, 충청남도의 경우에는 백중보다는 칠석이 중요하다. 칠석에 칠석놀이가 벌어져서 대동의 놀음이 이루어졌다. 백중에도 이루어지기는 하였지만, 이날은 백중장으로 머슴들을 내보내는 경우가 많아 칠석과 백중이 일정한 역할 분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방면으로 제출되고 있는 다양한 민속지는 바로 백중과 칠석의 관계처럼 『동국세시기』 등에서 미처 담보하지 못한 현실적인 측면들을 입증시키고 있다.

날짜별로는 7월 7일과 15일이 중요하며, 7월 1일과 20일에 약간의 생업적 세시가 분포된다.

【7월 1일】
지역 세 시
경기 호미걸이와 우물 고사(경기도 화성)
전라 충제(전라남도 진도)
【7월 7일(칠석)】
지역 세 시
경기 호미걸이(경기도 안양), 머슴 세경 받는 날(경기도 남양주)
강원 논에 가서 칠석 할아버지 위하기(강원도 춘천), 밭고사(강원도 양구), 날씨보고 풍흉 점치기(강원도 영월), 여자들 논밭에 가지 않기(강원도 인제), 농신제(강원도 인제), 호무씨세(강원도 인제), 용신제(강원도 인제), 밀전병 부쳐먹기(강원도 철원), 논밭에 밀전병 가지고 가기(강원도 화천)
충청 들돌 들기(대전), 두레셈 보기(대전), 두레 먹는 날(대전), 논에 나가지 않기(충청남도 공주), 깃놀이(충청남도 공주), 칠석놀이(충청남도 공주), 논과 밭에 일찍 나가지 않기(충청남도 금산·천안), 아침에 들에 나가지 않기(충청남도 서천·연기·예산), 합두레(충청남도 논산), 술멕이(충청남도 논산), 두레 공사(충청남도 논산), 두레 먹기(충청남도 보령), 칠석 물(충청남도 부여), 술멕이(충청남도 논산), 진쇠술(충청남도 부여), 깃발 고사(충청남도 부여), 논둑 깎아 두기(충청남도 당진), 논둑·밭둑 풀깎기(충청남도 홍성), 머슴 생일·머슴 명절(충청남도 천안), 머슴 대접(충청남도 천안), 두레 잔치(충청남도 천안), 까치·까마귀·풍흉 점치기(충청북도 제천), 일꾼들의 잔치(충청북도 청주), 머슴날 잔치(충청북도 청주), 아침 일찍 들판에 가지 않기(충청북도 청주), 은하수 보아 풍년 점치기(충청북도 옥천)
전라 술멕이(전라북도 익산·옥구), 깃생일(전라남도 남원), 진서턱과 장원술(전라남도 장흥), 장원놀이(전라남도 장흥)
경상 일꾼들 노는 날(경상북도 구미), 풋굿 먹기(경상북도 안동), 머슴날(경상북도 김천·군위), 칠석물 지우기(부산), 논 굿(경상남도 창선), 칠석 날씨점(부산)
【7월 15일(백중)】
지역 세 시
서울·경기 호마씻이(서울시 염곡동), 머슴 놀리기(경기도 강화), 호미걸이(경기도 남양주·안양·화성)
강원 호미씻이(강원도 강릉·원성·영월), 호미시시(횡성·홍성), 호무씨심(강원도 삼척), 헤미씻이(강원도 인제), 질먹기(강원도 동해), 판례(질을 먹인다·질을 헤친다)(강원도 강릉), 호무 씻고 일꾼들 먹기(강원도 명주), 일꾼들 백중장 가기(강원도 원주), 난장(강원도 인제), 난장판(강원도 원주), 백중장 가기(강원도 화천) 머슴 대접(강원도 영월), 일꾼 들잔치(강원도 춘천), 삼굿찌기(강원도 동해)
【7월 15일(백중)】
지역 세 시
충청 머슴 명일(대전), 백중장(충청남도 논산), 일꾼들 백중장 가기(충청남도 논산), 머슴날(충청남도 공주), 머슴 명절(충청남도 공주), 농군에게 휴가주기(충청남도 부여), 머슴 휴가(충청남도 연기), 머슴 놀라기(충청남도 청양), 일꾼들의 생일(충청남도 홍성), 백중 살이(충청남도 태안), 일꾼들의 생일(충청남도 태안), 머슴 대접하기(충청북도 괴산), 호미씻이(충청북도 보은), 백중장 가기(충청북도 음성·진천), 머슴 휴가일(충청북도 청원), 머슴날(충청북도 충주)
전라 백중장(전라북도 고창·무주), 소 태우기(전라북도 익산), 호미씻기(전라북도 부안), 만두레(전라북도 임실), 술멕이(전라북도 김제), 들돌(전라남도 광주), 진사들기·진쇠(전라남도 광양·순천), 만드리·만두레(전라남도 나주), 술맥이(전라남도 남원), 머슴날(전라남도 순천), 농사 장원(전라남도 화순), 들에 나가지 않기(전라남도 영광), 부깨미 먹기(전라남도 장성), 길꼬냉이(전라남도 진도), 농신제(전라남도 장흥)
경상 일꾼들 써레술 대접(경상북도 영천), 머슴 대접(경상북도 상주), 풋굿(경상북도 문경·안동·봉화·예천·달성), 호미씻이(경상북도 예천·상주), 들돌 들기(경상북도 고령), 백중장(경상북도 문경), 두레삼(경상북도 김천), 가을 꼼비기(경상북도 구미), 꼼비기(경상북도 선산·왜관), 푸슬먹기(경상북도 울진), 머슴날(경상북도 울릉·김해·양산·의령·하동·함안·함양), 호미씻이(부산), 머슴날(부산), 일꾼날(부산), 캥말타기(경상남도 거창), 호멩이씻기(경상남도 거창), 농신제(경상남도 김해), 머슴회치·잔치(경상남도 김해), 꼼배기날(경상남도 마산·밀양·양양), 진사턱(경상남도 사천), 낟알이먹기(경상남도 양산), 써리씻금(경상남도 함안), 쇠미꼬지(경상남도 합천), 팽이자루타기(경상남도 함안)
제주 백중굿, 날씨점, 테우리고사, 우마멩질, 쉐밍질, 말축굿, 갈옷만들기, 백중물맞이
【7월 20일】
지역 세 시
충청 회계닦는 날(충청남도 서산)
전라 머슴날(전라남도 영광)
【처서】
지역 세 시
강원 여자들 밭에 나가지 않기(강원도 영월)
경상 처서 점풍(경상북도 구미), 처서 날씨 점(부산)
【월내】
지역 세 시
경기 호미걸이(경기도 안양·백령도·고양·화성), 호미씻이(경기도 고양·광주·안성·양평·연천)
강원 호미걸이(강원도 원주·춘천·영월·홍천·횡성), 호미씻새(강원도 평창), 호미 달아맨다(강원도 춘천), 품몫회(질먹기)(강원도 강릉·동해·속초), 화전 불지르기(강원도 평창), 두레기 싸움(강원도 홍천), 논밭에 가서 밀떡 먹기(강원도 화천) 호박전 부쳐 먹기(강원도 화천), 퇴비 장만(강원도), 콩두렁 깎기(강원도), 가을누에 놓기(강원도), 조히밭매기(강원도 인제), 밀 파종(강원도 인제), 감자 수확(강원도 인제), 갈풀 썰기(강원도 태백), 삼찌기(강원도 정선)
충청 머슴 명일(대전), 제풀 풍앗이(대전), 7월 나무 깎기(대전), 어정 칠월(대전), 샛거리 먹기(충청남도 논산), 대장간 호미날 달임(충청남도 논산), 칠석 이전에 논두렁 깎기(충청남도 당진), 모시 두레(충청남도 부여), 보리풀(충청남도 연기), 대추나무에 막걸리 붓기(충청남도 연기), 삼굿(충청남도 예산), 도토리 열매로 풍흉 점치기(충청남도 천안), 호미씻이(충청북도 제천·단양)
전라 만두레(전라북도 김제), 보리풀(전라북도 고창), 들돌들기(전라남도 순창·남원), 진서술내기(전라남도 남원), 소동꾼 풀베기(전라남도 장흥)
경상 풋굿(경상북도 군위·문경·상주·영덕·안동·의성), 호미씻기(경상북도 경주), 꼼비기(경상북도 선산), 복달임(경상북도 달성), 마당술 먹기(경상북도 안동), 휘초·회초(경상북도 의성), 돌개삼(경상북도 영주), 두레삼(경상북도 영주), 써레술 먹기(경상북도 포항), 깽말타기(경상북도 칠곡), 볼달임(경상남도 울산·영동·합천·함양·사천·산청·거창), 낟알이 먹기(경상남도 울산), 힘발림(경상남도 밀양), 망실놓기(경상남도 밀양), 머슴 옷해주기(경상남도 통영), 써레싯이(경상남도 고성), 풋굿(경상남도 고성)
확대보기
들돌들기
들돌들기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들돌
들돌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남한의 호미 분포
남한의 호미 분포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