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위계나 역할에 따른 무당 구분
  • 역할에 따른 무당의 호칭
이경엽

예전에는 굿에서 맡은 역할에 따라 무당을 구분하는 경우가 있었다. 서울지역에서는 역할과 비중에 따라 무당의 위계를 세분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조상거리 전담자는 조상방, 불사거리 담당자는 불사당, 대감거리 전담자는 대감방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뒷전을 담당하는 사람을 뒷전무당이라고 했다. 그리고 굿을 담당하는 비중에 따라 위계를 나누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원무당·창부무당·뒷전무당으로 무당의 위계를 나누었음을 볼 수 있다. 원무당은 진정한 의미의 무당으로 가망·산마누라·별성·제석·천황·호귀·군웅·말명 등의 여덟 거리를 맡은 무당이라고 한다. 창부무당은 기예와 가무를 전담하는 무당으로 신이 내리지 않은 무당을 말한다. 뒷전무당 역시 뒷전만을 전담하는 무당이다. 창부무당과 뒷전무당을 포함해서 정성무당이라고도 한다. 어떤 굿에 초청되어 역할을 부여받은 무당은 청송무당이라고 한다. 굿 전체를 주관하는 무당을 당주라고 하며, 그 당주가 불러 굿판에 서는 무당을 청송무당이라한다.

무당을 부르는 명칭 중에는 역할에 따라 붙여진 것들이 많다. 예를 들어 점을 치는 이들을 점쟁이라 하고, 독경하는 이들을 경쟁이라 한다. 경상도와 강원도 등지에서 주로 활동하는 막음쟁이나 비래쟁이도 이런 식으로 명명된 존재들이다. 그리고 마을 공동체의 제사를 주관하는 무당을 별도로 지칭하는 용어도 있다. 제주도의 당맨심방이나 전라도의 당어매 등이 그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