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3 무당의 생활과 유형
  • 03. 무당의 여러 유형과 역할
  • 위계나 역할에 따른 무당 구분
  • 마을의 신당을 관리하는 무당
이경엽

마을 공동체의 신당을 관리하고 공동체굿을 주관하는 무당이 별도로 있다. 제주도의 당맨심방, 전라도의 당어매, 서울·경기도의 당주무당 등이 그런 역할을 맡은 무당이다. 이들은 개인사를 주관하는 의례와 별도로 마을 단위의 제당을 관리하고 마을굿을 주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당맨심방을 통해 지속적이고 뚜렷한 마을무당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당맨심방은 마을의 본향당을 관리하고, 본향당에서 행해지는 마을굿을 주관하는 사제자다. 당맨심방이란 말에는 ‘본향당을 맨 뛰 어난 심방’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많은 심방들 중에서 마을에 하나밖에 없는 본향당을 맨다는 것은 그만큼 주민들에게 인정을 받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주도의 각 마을에는 여러 개의 당이 있는데 그 중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본향당이다. 본향당에 좌정한 당신은 주민들의 생사여탈권을 가진 존재라고 여겨지므로 주민들은 본향당에 대한 경외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굿을 할 때에도 본향당신을 중요하게 모시며, 저승차사가 죽은 영혼을 저승으로 데려갈 때도 본향당신의 허락을 받는다고 한다.

이처럼 본향당을 중요시 여기므로, 당맨심방의 존재도 각별하게 인식된다. 근래 들어 심방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당맨심방이 없는 본향당이 생기고 있다. 이럴 경우 당맨심방을 다른 마을에서 모셔오기도 하는데, 한 심방이 2개 이상의 마을을 맡아 당맨심방의 직분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으며, 당제일이 겹칠 경우 날자를 변경해서 당제를 모시기도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