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제주도 세경놀이
허용호

제주도에서는 농사의 신을 세경이라 부른다. 세경놀이는 이러한 농사의 신에게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세경놀이는 제주도 큰굿에서 세경신의 내력을 구송하는 세경본풀이를 한 후 벌어진다. 낫과 호미 등과 같은 간단한 농기구와 아이로 취급되는 병 등이 세경놀이에 활용된다. 세경놀이는 수심방 한 명과 여인 역할을 하는 소미, 그리고 악기 반주를 맡은 악사 등이 중심이 되어 진행된다. 팽돌이라 불리는 아이는 병을 이용하는데, 인형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경놀이는 인형 연행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세경놀이는 먼저 수심방이 등장하여 옥황상제 이하 여러 신이 등천(登天)하고 농경신을 위한 세경놀이가 연행될 차례가 되었음을 알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 여인 역할을 하는 소미가 등장하여 배가 아프다고 소동을 벌인다. 놀이는 수심방과 소미 사이의 대화로 전개되는데, 이 대화를 통해 여인이 시집살이가 싫어서 도망치다가 들판에서 건달총각을 만나 임신을 하고 해산할 때가 되었다는 사연이 밝혀진다. 진통 끝에 아이를 낳은 여인은 아이 이름을 팽돌이라고 짓고 글공부를 시킨다. 하지만 팽돌이는 공부는 전혀 못하고 농사일에 소질을 보이고 농사짓는 과정이 이어진다. 제주도의 주식이었던 조농사 짓는 과정이 심방과 소미들에 의해 충실하게 행해진다. 밭을 갈고, 흙덩이를 무수고, 씨를 뿌리고 밭을 밟고 김을 매는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어서 밭에서 조를 수확해서 운반해서 타작하고 그 곡식으로 모든 빚을 갚고 생활에 드는 모든 비 용을 마련한 뒤 남은 곡식을 광에 저장하는 것으로 세경놀이는 마무리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