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
  • ●제주도 강태공 서목시놀이
허용호

제주도에서 새로 집을 짓고 성주풀이굿를 할 때 행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강태공 서목시[姜太公 首木手]라는 목수를 불러 집을 짓는 모습을 보여준다. 강태공 서목시라는 신이한 목수가 신이한 나무를 베어다 새집을 지었기 때문에 집이 단단하고 집안에 복을 불러들일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행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강태공 서목시가 나무를 베어다가 기둥을 세우고 서까래를 걸고 백기와를 덮고 하여 조그마한 집을 짓는 식의 행위가 중심이 된다. 숫돌·먹·쌀·된장을 자루에 담아 메고 한쪽 어깨에는 도끼를 멘 소미[小巫]가 강태공 서목시로 분장한다. 연행은 강태공 서목시 역할을 하는 소미와 수심방의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이 되며, 구체적으로 집을 짓는 행위가 강태공 서목시에 의해 행해진다.

강태공 서목시놀이는 수심방이 “강태공 서목시” 하고 세 번 부르면 대답을 하고 문 앞에 나타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수심방이 무명천을 목에 걸어 제장으로 끌어들이면 강태공 서목시는 비틀거리 며 들어와 죽은 체한다. 수심방이 “봄병아리는 꽁무니를 불면 죽은 놈도 살아나는 법”이라며 강태공 서목시의 꽁무니를 불려고 하면 강태공 서목시는 간지러워 벌떡 일어나 앉는다. 이때부터 수심방과 대화를 나누며, 강태공 서목시는 도끼 하나로 모든 연장을 대신하는 비범한 목수임을 과시한다. 돌래떡으로 도끼날을 갈고 나무를 베러 가면 다른 소무들은 악기를 들고 따르며 집안 곳곳을 돈다. 집안을 한 바퀴 다 돌면 강태공 서목시는 대나무로 만든 성줏대를 도끼로 찍어 끊고, 잘게 깨어서 실제로 작은 모형의 집을 짓는다. 주춧돌은 시루떡 네 개로, 기둥은 댓가지로, 상마루·대들보·서까래는 댓가지를 걸쳐서, 기와는 백지를 덮어서 만든다. 이렇게 집을 지은 뒤 점을 치고, 새로운 지은 건물이 배치나 상태를 제주에게 말한다.

구체적인 집짓기 과정이 구체적으로 연출되는 강태공 서목시놀이는 새로 지은 집이 튼튼하고 별탈이 없기를 바라는 목적에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새로 지은 집이 마치 신이한 목수 강태공 서목시가 지은 것처럼 튼튼하고 복 많은 공간이 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확대보기
강태공 서목시놀이
강태공 서목시놀이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