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전라도 삼설양굿
허용호

삼설양굿은 전라남도 순천에서 전승되는 무당굿이다. 정신병을 치유하는 굿을 일컫는 명칭이자, 그 굿의 한 굿거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무당굿놀이로서의 삼설양굿은 정신병을 치유하는 굿의 한 굿거리를 말한다. 무당굿놀이로서 삼설양굿은 정신병자를 치유하기 위해 벌이는 병굿의 마지막 굿거리로 연행된다.

삼설양굿 무녀들이 여러 배역의 역할을 맡아 차례로 등장하여, 악사와 재담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연행된다. 도시, 한량, 총각, 처녀, 꼽추, 총 맞고 죽은 자, 소동패, 벙어리, 목메고 죽은 자, 수사자(水死者), 임산부, 봉사, 도채비, 도수 등의 배역을 4명의 무녀가 일인다역을 하며 나누어 맡는다. 일부 등장 인물인 경우 연행자들이 가면을 쓰고 그 역할을 맡는다는 점에서 가면 연행이 벌어지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동시에 환자 대신 잡혀가게 되는 대수대명의 존재인 허새비 진생을 인형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어, 인형 연행도 벌어지는 무당굿놀이라고 할 수 있다.

확대보기
삼설양굿
삼설양굿
팝업창 닫기

삼설양굿의 진행은 각 등장 인물들이 등장하여 자신의 문제를 이야기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재담과 춤과 노래를 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도시는 한 손에 손대를 들고 등장하여, 악사와 재담을 주고받다가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고는 춤추며 퇴장한다. 한량은 부채질을 하며 등장하여, 악사와 재담한 후 춤추며 퇴장한다. 총각은 짚으로 만든 남근을 과장되게 내보이며 무녀와 성행위를 흉내낸다. 그리고 총각으로 죽게 된 원한을 말한 후 위로를 받고 춤추며 퇴장한다. 처녀는 흰 손수건으로 얼굴을 가리고 등장하여 악사에게 자신의 원한을 말한다. 악사가 앞서 등장했던 총각의 행적을 알려주고 뒤따라가게 하니, 처녀는 춤을 추며 퇴장한다. 등에 혹이 불룩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곱추는 악사와 재담을 한 후 혹을 다 해체하고 음식을 먹으며 퇴장한다. 총 맞고 죽은 자는 목총을 사방에 겨누고 다니며 등장한다. 총 맞고 죽은 사연을 악사에게 말하고 위로를 받은 후 춤추며 퇴장한다. 소동패는 바가지를 소고 삼아 치면서 등장한다. 단가와 민요를 부르고, 무녀의 권주가를 안주 삼아 술을 얻어 먹고는 춤추며 퇴장한다. 벙어리는 등장하다가 신발 한 짝을 잃어버렸다고 악사에게 신발값을 달라고 한다. 악사가 신발값을 주자 말문이 트이게 되어, 축원을 한 후 춤추며 퇴장한다. 목을 매고 죽은 자는 새끼줄을 목에 걸고 죽은 사람 흉내를 내며 등장한다. 자신의 사연을 하소연하고 악사와 재담을 주고받은 후, 음식을 먹고 춤추며 퇴장한다. 수사자는 헤엄치는 흉내를 내며 등장한다. 자신의 사연을 말한 뒤 재담을 주고 받은 후 춤추며 퇴장한다. 임산부는 배에 바가지를 넣어 임산부처럼 꾸미고, 배를 감싸 쥐고 등장한다. 출산의 고통을 표현하다가 바가지를 낳는다. 다른 무녀가 바가지를 들고 복과 재수를 주는 물건이라며 바가지를 판 후, 춤추며 퇴장한다. 봉사는 지팡이를 짚고 더듬거리며 등장한다. 악사가 앞에 강이 있다고 멈추게 하고, 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강타령을 불러야 한다고 한다. 이에 노래를 부르며 강을 건너니 눈을 뜨게 된다. 봉사는 즐거워 지팡이를 던지고 춤을 추며 퇴장한다. 도채비는 짚으로 만든 관을 머리에 쓰고, 허리와 팔다리에도 짚을 감은 모습으로 등장하여, 한바탕 춤을 추다가 퇴장한다.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도수는 환자에게 붙은 잡귀를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 막을 치고 그 안에 항아리를 준비해 놓은 다음에 환자를 항아리에 앉힌다. 환자의 머리 위에 바가지를 씌우고 식칼과 도끼 등으로 잡귀 잡신을 내쫓고 복을 불러오는 축원을 한다.

삼설양굿은 크게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이는 내용과 정신병의 원귀를 퇴치하는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도시가 등장하는 대목 이전의 내용은 잡귀 잡신들을 풀어먹이는 것이다. 여러 잡귀 잡신들은 삼설양굿에서 배불리 얻어 먹을 뿐만 아니라, 자기들의 원한도 해소한다. 곱추는 등이 펴지고, 벙어리는 말문이 트인다. 애를 낳다 죽은 임산부는 바가지를 낳고, 봉사는 눈을 뜬다. 삼설양굿은 이렇게 잡귀 잡신들을 대접하여 보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시가 등장하는 대목은 정신병의 원인이 된 잡귀를 퇴치하는 내용이다. 환자의 병을 일으킨 존재를 구체적으로 쫓아내는 내용이 삼설양굿의 후반부에 자리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