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동해안 여처낭굿
허용호

동해안 지역에서 미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벌어지는 광인굿 중 마지막에 벌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사람을 미치게 한 귀신인 여처낭을 사처낭이 쫓아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화랭이들이 중심이 되어 연행하는데, 가면 연행적 요소와 인형 연행적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여처낭굿에 등장하는 인물은 여처낭과 사처낭이다. 여처낭은 가 면을 쓰고 초라한 여자 복장을 한 화랭이가 역할을 맡는다. 여처낭의 등에는 아이가 업혀있다. 사처낭은 4개의 허수아비로 표현된다. 이 허수아비들은 흰 두루마기에 검정 갓을 공통적으로 쓰고 있다. 연행 내내 마당에 세워진 3m 높이의 기둥 위에 매어진 널판 위에 서 있는다. 사처낭의 대사는 반주를 하는 화랭이들이 집단적으로 맡는다.

여처낭굿은 여처낭이 슬프게 울면서 문안으로 들어서는 것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여처낭은 마당 안 네 구석에 세워진 사처낭을 보면서 울며 자신의 처지를 호소한다. 이에 사처낭은 여처낭을 부른다. 여처낭은 사처낭에게 차례로 절을 하고 주저 앉아 운다. 이어서 여처낭은 자신의 정체와 지금 울고 있는 이유를 말한다. 사처낭은 여처낭에게 밥과 떡 등을 먹고 물러가라고 하고, 마침내 여처낭을 몰아내는 것으로 연행을 마친다.

이렇게 여처낭굿은 아이를 업고 굶주린 가엾은 여자귀신 여처낭을 환자에게 병을 준 귀신으로 설정하고, 이 여처남이 보다 강력한 귀신인 사처낭에게 쫓겨나가는 과정을 주 내용으로 한다. 사처낭이 굿판에 좌정함으로써 이미 궁지에 몰린 여처낭이 스스로 죄를 자백하고 물러가는 것으로 연행은 마무리된다. 여처낭굿에서는 사람을 미치게 하는 원흉인 여처낭이 구체적으로 쫓겨나고 있다. 이는 여처낭굿이 병을 불러일으키는 악귀를 몰아내는 악귀 축출의 무당굿놀이임을 말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