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
  • ●제주도 영감놀이
허용호

영감놀이는 영감이라 불리는 도깨비신이 등장하는 무당굿놀이이다. 영감놀이는 풍어를 기원하는 굿에서 행해지는 경우와 미친 환자를 치료하는 병굿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풍어를 기원하는 굿에서의 영감놀이는 칠머릿당의 영등굿에서 요왕맞이가 끝난 뒤, 어부들을 위한 선왕굿으로 연행되는 경우이다. 병굿에서 행해지는 경우는 도깨비 또는 영감을 조상으로 모신 집안에서 미친 환자가 생길 때이다. 어부나 해녀들이 아프면 치르는 두린굿에서도 영감놀이가 행해진다. 영감이 환자의 몸에 붙어 병이 생겼다고 여겨서, 영감을 놀리고, 환자와 영감을 분리시키며, 달래고 보내는 과정이 굿을 통해 보여 진다.

영감놀이는 마당에서 간단한 영감상을 배설하고 밤에 벌어진다. 제상 위에는 여러 제물을 올리는데, 영감신이 좋아하는 돼지머리, 수수떡, 소주 따위의 음식을 올린다. 영감놀이에서 영감과 그 형제들은 가면을 쓰고 등장하기에 가면도 준비한다. 가면은 창호지에 눈과 코와 입의 구멍을 뚫어 만든다. 얇은 헝겊으로 가면을 만들기도 한다. 그 밖에 짚으로 만든 작은 배도 준비된다. 짚을 실이나 노끈으로 엮고, 가는 막대기를 배 중심에 꽂아서 돛대를 달고, 백지를 달아 돛을 삼는다.

확대보기
영감놀이
영감놀이
팝업창 닫기

영감놀이는 영감의 형제들과 수심방의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가면을 쓰고 등장하는 영감 형제들은 헌 갓을 쓰고 헌 도포를 입었으며, 곰방대를 입에 문다. 연행에 따라 등장하는 숫자가 다른데, 2명이 등장하기도 하고 7명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영감놀이는 영감본풀이라는 무속 신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영감본풀이에 따르면, 이 영감신들은 서울 먹자고을 허정승의 칠형제들로서 삼각산, 백두산, 금강산, 계룡산, 태백산, 지리산, 한라산 등 각각 유명한 산들을 차지하였다. 제주도의 한라산을 차지한 영감신은 7형제 중 막내이다. 이 신은 망만 붙은 헌 깨진 삿갓을 쓰고 깃만 붙은 베 도포를 입고 미투리를 신고 짧은 곰방대를 물고 다니는 허름하고 우스운 차림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 손에 연화(煙火)를 들고 또 한손에는 신화(神火)를 들고 순식간에 천리만리를 다니는 신이기도 하다. 영감신은 돼지고기와 수수범벅, 그리고 소주를 즐겨 마시고 미녀를 좋아하며 같이 살자고 따라붙어 병을 주거나 밤에 몰래 규방에 드나들기도 하는 호색한의 속성도 있다. 이러한 영감신을 잘 위하면 일시에 부자가 되기도 하고 어업도 번창한다고 한다.

영감놀이가 시작되면, 먼저 소미 2명이 영감 가면을 쓰고 횃불을 들고 바깥으로 멀리 나가서 대기한다. 수심방은 굿판에서 영감신을 청배하는 의식을 행하고 밖을 향해 영감을 부른다. 그러면 영감신으로 분장한 소미 두 명이 횃불을 흔들며 굿판으로 들어온다. 영감신들과 수심방은 서로 대화를 하며 연행을 전개시켜 나간다. 영감신들은 한라산 구경 온 동생을 찾으러 왔다가 영감을 부르는 소리를 듣고 왔다고 말한다. 영감신들의 동생은 노는 것을 좋아하여 전국을 유람하다가 제주도까지 온 것이다. 이에 수심방은 이 집 아무개가 영감에 빙의되어 앓고 있어 영감신들을 청한 것이니, 동생을 데려가 달라고 요청한다. 그러면 영감신들은 환자에게 빙의된 동생에게 왜 그리 무심하냐면서 탓한 후, 환자도 불쌍하니 그만 나와서 함께 떠나자고 타이른다. 그것을 보던 수심방은 영감이 좋아하는 음식을 묻고 상을 잘 차려 대접하고 한참 즐겁게 논다. 한바탕 놀고 난 뒤, 미리 준비한 작은 짚배에 여러 가지 음식을 싣고 떠나 보내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