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
  • ●동해안 탈굿
허용호

동해안 지역의 마을 별신굿에서 행해지는 무당굿놀이이다. 별신굿이 행해지는 동해안 지역 어느 곳에서나 연행되는 것은 아니다. 주로 경북 울진군과 영덕군을 중심으로 그 연행이 이루어진다. 대체로 용왕굿이 끝난 다음에 하지만 천왕굿이나 놋동우굿이 끝나는 다음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그 연행되는 순서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탈굿에는 양반·할미·서울애기·싹뿔이·의원 등이 등장한다. 때에 따라서 어딩이와 말뚝이라는 아들들이 삭뿔이와 함께 등장하기도 하기도 한다. 간호원 역시 의원과 함께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탈굿의 등장 인물들은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갈등이 탈굿의 주된 내용이 된다. 가족 간의 문제 중에서 가장 핵심적이라 할 수 있는 부부 사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탈굿이다. 탈굿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할은 화랭이들이 주로 맡는다. 무녀들도 일부 참여하는 경우가 있지만, 화랭이들이 중심이 되어 연행되는 것이 탈굿이다. 화랭이들은 일인일역으로 복색을 갖추어 입고 맡은 역할을 한다. 탈굿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화랭이들은 각 배역에 걸맞는 종이탈을 쓰고 등장한다.

탈굿의 내용은 ‘서울애기의 등장과 관중 유혹’, ‘싹불이의 등장과 서울애기 유혹 실패’, ‘영감의 등장과 서울애기 유혹’, ‘영감의 자기소개’, ‘할미의 등장과 신세 한탄’, ‘영감의 쓰러짐’, ‘영감의 소생’, ‘연행자들의 인사와 뒷마무리’ 등으로 이어진다. 그 내용을 연결시켜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집안은 전혀 돌보지 않는 양반이 서울애기를 유혹하여 첩으로 삼는다. 양반의 부인과 아들인 할미와 싹불이는 양반을 찾아 다닌다. 그러다가 양반과 서울애기가 정답게 노는 모습을 발견하고, 한바탕 싸움을 벌인다. 그 과정에서 양반이 갑자기 쓰려져 죽는다. 양반을 살려내기 위하여, 의원, 봉사 등을 부르지만 양반은 살아나지 않는다. 마침내 무당이 등장하여 굿을 하여 양반을 살려내고, 등장 인물 모두가 춤을 추며 끝을 맺는다.

확대보기
동해안 탈굿
동해안 탈굿
팝업창 닫기

이러한 탈굿은 연행 상황에 따라 그 내용의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서울애기와 눈이 맞아 집을 나간 영감과 이를 찾아다니는 할미, 그리고 등장 인물 모두가 직접 맞닥뜨려진 상황에서 벌어진 영감의 졸도와 소생이라는 기둥 줄거리는 거의 유사하다. 또한, 일상의 시각에서는 용납하기 힘든 일들이 벌어진다는 점도 거의 유사하다. ‘연행 전반에 걸쳐 난무하는 온갖 욕설 과 속어 사용’, ‘아버지의 첩을 노리는 아들의 행위’, ‘공공연한 신체 노출’, ‘공공연하게 보여주는 이 잡기와 오줌 싸기’, ‘노골적인 성행위의 공개와 느낌 공유’, ‘어머니와 아들간의 근친상간적 상상과 대화’, ‘죽은 사람에 대한 모독적인 태도’ 등 파격과 일탈적 상황들이 웃음을 근간으로 하여 공공연하게 벌어지는 것이 탈굿이다.

따라서 탈굿은 여흥과 재미를 위해 연행되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탈굿의 목적은 잡귀를 쫓아내고 마을 사람들의 효도와 부부화목을 기원하는 데 있다고도 하지만, 주된 목적은 굿판의 여흥과 재미를 추구하는 데 있다. 탈굿 연행에서는 동해안 지역 무당굿놀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행 목적의 설명도 없거나 두드러지지 않는다. 어떤 제의적·주술적 목적을 강조하는 설명이 거의 없다는 점도 탈굿을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로 보게 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