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8권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 4 무당굿놀이의 유형과 변화의 흐름
  • 02. 무당굿놀이의 세 유형과 내용
  •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
  • ●동해안 도리강관원놀이
허용호

동해안 별신굿의 천왕굿과 연결이 되어 연행되는 무당굿놀이이다. 천왕굿에 이어서 연행되기에 천왕곤반이라 불리기도 한다. 신관 사또가 영(令)을 세워 공무를 집행하는 내용과 춘향이가 사또에게 수청을 드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관원놀이, 원님놀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도리강관원놀이는 3명의 화랭이에 의해 연행된다. 등장 인물은 사또, 관아의 창고를 지키는 고딕이, 강관, 이방, 황소, 도새(도사령), 수노(首奴), 춘향, 춘향 오래비 등이다. 한 화랭이가 사또 역을 맡고, 다른 화랭이가 고딕이와 춘향 역을 겸하며, 나머지 화랭이 하나가 남은 배역을 모두 맡는다. 여러 배역으로 분화된 인물들을 3명의 화랭이가 일인다역으로 맡고 있다. 각 배역에 어울리는 분장도 한 다. 그 대략적인 내용은 신관 사또가 부임하여 관속(官屬)들의 인사를 받는 모습을 골계적으로 장황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도리강관원놀이의 내용은 도리강관 현신, 이방 현신, 황소 현신, 도사령 현신, 수노 현신, 사또 모시기, 기녀 수청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리강관 현신 대목은 강관이 현신하라는 사또의 전갈을 고딕으로부터 전해 듣고 도포를 내여 입고 사또에게 현신한 뒤 물러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방 현신 대목은 이방이 사또에게 현신하여 인사한 뒤 물러나는 내용이다. 황소 현신 대목에서는 황소가 뱃속에다 옷을 뭉쳐 넣어 불룩하게 하고 북채 두 개를 배에다 꽂고 사또에게 인사한 뒤 물러난다. 도사령 현신 대목에서는 도사령이 줄 달린 모자를 쓰고 꽹과리를 빨리 치면서 사또에게 인사한 뒤 물러난다. 수노 현신 대목에서는 수노가 평복으로 사또에게 인사한 뒤 물러난다. 이렇게 여러 관속들이 현신을 하고 나서, 사또 모시기 대목이 이어진다. 연행이 벌어지는 공간을 한 바퀴 돈 뒤, 자리를 정해 사또를 앉히고 물러나는 것이다. 사또를 모신 이후에 춘향 수청 준비가 이루어진다. 춘향이라 불리는 기생이 사또에게 수청들기 위해 단장을 하는 모습이 우스꽝스럽게 표현된다. 이어서 춘향이 사또에게 수청을 드는 춘향 수청 대목을 끝으로 도리광관원놀이는 마무리된다.

도리강관원놀이는 전반부의 ‘신관 사또의 부임과 아전 관속들의 인사 대목’과 후반부의 ‘춘향의 수청 준비와 수청’으로 대별된다. 이 과정에서 사또는 무조건 호령하고 기생 수청이나 바라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이속들에게 기롱을 당하고 있다. 이속인 도리강관, 이방, 황소, 도사령 등도 모두 지나치게 까불거나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들 역시 가장 하층 신분인 고딕이에게 조롱을 받는다. 이로 보아 도리강관원놀이의 흥미 가운데 하나가 하층이 상층을 풍자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층계급에 대한 반감과 이에 대한 비판 의식을 웃음이 난무한 가운데 풀어내고 있다. 어떤 제의적 의미의 함축 보다는 흥미와 재미를 위한 놀이적 성격이 강한 무당굿놀이인 것이다. 도리강관원놀이를 신들을 모시는 청신(請神) 부분을 기본 모티브로 하여 형성된 무당굿놀이로 파악하기도 한다. 하지만 등장 인물들의 속성과 그 골계적 분위기로 보아, 재미와 흥미를 추구하며 여흥으로 벌어지는 무당굿놀이라 할 수 있다. 신관 사또의 부임, 관속들의 인사, 기생의 수청 등 일상적 소재들을 매우 골계적으로 표현하는 무당굿놀이인 것이다.

확대보기
도리강관원놀이
도리강관원놀이
팝업창 닫기

이상에서 살핀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는 그 내용이 일상 생활을 기반으로 하며, 세속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부부간의 갈등, 여색을 탐하는 중 이야기, 상층 계급과 하층 계급의 관계 등이 이들 무당굿놀이의 주된 내용이 되고 있다.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는 대체로 외부의 연행 장르가 무당굿으로 들어와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해안 탈굿이나 남해안 탈놀이굿의 경우 가면극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동해안 도리강관원놀이 역시 전통적인 재담이나 우희와 일정한 연관성을 갖고 형성된 것으 로 파악된다. 풍요 기원의 무당굿놀이나 제액 축귀의 무당굿놀이에서 역시 외부의 연행 장르의 영향이 보이기는 한다. 판소리나 가면극, 재담, 민요 등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부분적이거나 전승 과정에서 그 영향을 주고받은 것이지, 재미 추구의 무당굿놀이에서와 같이 그 형성 과정에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