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1. 씨족마을의 개념
  • 씨족마을의 정의
한필원

씨족집단은 동성동본(同姓同本)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이며, 조상의 사회적 지위, 주로 관직에 의하여 위세를 높이려는 집단이다.61)한국농촌사회연구회, 『농촌사회학』, 진명출판사, 1978, p.110. 하나의 씨족은 문중(門中) 혹은 종중(宗中)에 의해 조직화되는데, 문중이란 남계(男系)의 종족이 공동 조상의 제사를 모시고 분묘의 보존 내지 종원(宗員)의 친목과 복지를 위해 조직된 집단으로, 5대조 이상의 제사인 시제(時祭)를 봉사하는 집단이라고 정의된다.62)이광규, 『한국의 가족과 종족』, 민음사, 1990, p.199.

하나 또는 몇 개의 씨족집단이 일정지역에 공존할 때 이를 씨족마을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 와서 씨족마을은 마을구성의 지배적인 현상으로 나타나 한국사회가 근대화를 지향하면서 씨족의 결합이 약화되기 이전까지 지속되어왔다. 그러므로 씨족마을은 한국 전 통마을의 가장 중요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규정되는 씨족마을의 성립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씨족마을임을 대외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지인 정자·사당·재실(齋室)·재각(齋閣)·비각(碑閣)·종가·서당 등이 있어야 한다. 둘째, 씨족집단의 구성원이 한 지역에 밀집해 거주해야 한다. 셋째, 적어도 마을 전체의 가구주(家口主) 수의 1/3 이상이 씨족집단 구성원이어야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요건들은 씨족마을을 물리적이고 정량적으로 규정하려는 입장에서 제시된 것이다. 이에 비해 김택규는 마을 내 동성집단의 구조와 기능이 비동성(非同姓) 각성(各姓) 거주집단까지를 포함하는 마을 전체의 그것과 일치하거나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질 때 그 마을을 씨족마을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함으로써 좀 더 기능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63)김택규, 「東アジアの同族共同體 <韓國>」, 『講座家族 66』, 1974, p60 : 이광규, 앞의 책, p.243 재인용.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