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1. 씨족마을의 개념
  • 씨족마을의 형성 배경
한필원

씨족마을은 문중의 영향력 있는 어떠한 인물이 마을에 정착함으로써 성립되는데 그를 입향조(入鄕祖)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씨족마을은 대개 임진왜란(1592∼1598)으로 말미암아 폐허화된 촌락사회를 재건했던 시기인, 임진왜란 후 150년 사이에 창설된 것들이라고 추정하고 있다.64)고승제, 『한국촌락사회사연구』, 일지사, 1977, p.264. 그러나 종가를 비롯한 씨족마을의 주요 구성요소의 건립시기나 입향조의 이주시기가 그보다 앞선 경우가 발견된다.65)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p.28. 따라서 입향조를 기준으로 마을의 성립시기를 논한다면 17세기 이전에 성립된 씨족마을도 적지 않다. 여기서 사례로 설명되는 전형적인 두 씨족마을도 그러한 예이다.

씨족마을의 발생과 발달은 한국 농촌 특유의 사회조직, 가족제도, 경제구조 등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씨족마을을 형성한 이념적 배경은 고려 말에 중국에서 수입되어 조선 중기에 사회의 지배 이 데올로기이자 생활규범으로 정착한 성리학이다. 조선 전기까지는 균분상속이라 하여 상속이 아들과 딸, 맏아들과 막내 간에 균등하게 이루어졌으며, 제사 또한 윤회봉사라 하여 자녀들이 돌아가며 모셨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에 와서는 재산상속제도가 남녀균분상속에서 장자상속으로 바뀐다. 결국 재산상속이 장남에게 치중되면서 제사도 장자의 일로 변화된다. 성리학은 이런 사회 변화의 이념적 토대가 되었으며, 씨족마을은 이런 사회적 변화에 적합한 거주 유형이었다.

확대보기
의성 점곡면 사촌마을 안동 김씨 입향 기념비
의성 점곡면 사촌마을 안동 김씨 입향 기념비
팝업창 닫기

조선 후기에는 사회 변화와 함께 경제적으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새로운 농업기술인 이앙법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농업생산력이 획기적으로 증대된 것이다. 이앙법이란 논에 볍씨를 직접 뿌리는 직파법과 달리, 오늘날 농촌에서 보듯이 모판에서 모를 키워 모내기를 하는 농법이다. 그런데 모내기는 일시에 해야 하므로 이앙법으로 대규모 농지를 경영하려면 일가는 물론 소작농과 노비들까지 모두 한곳에 모여 살아야만 했다. 씨족마을은 이러한 경제 변화에 맞는 마을 형태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