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2 모둠살이와 살림집: 전통마을과 한옥
  • 01. 전통마을
  •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3.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공간요소들의 관계
한필원

[상관성] 공간요소들이 결합해 전체공간을 이루는 과정에서 앞서 형성된 요소는 뒤에 형성되는 요소에 일정한 영향을 준다. 또한, 어떤 한 요소의 변화는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미친다. 마을공간에서 요소들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요소를 고려해 형성되고 변화되므로 어떤 한 종류의 요소들 사이에는 일방적이기보다는 서로 대등한 관계가 형성된다.

상관성이란 공간요소들 사이의 상호관련성, 곧 공간요소들이 결 합하는 원칙을 말한다. 전체 마을공간은 공간요소들이 결합되는 원칙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므로 공간요소의 결합원리인 상관성은 공간구조의 해석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상관성의 기초적인 원리는 서로 근접성을 가지려는 ‘통합(integration)’ 그리고 격리되어 독립성을 가지려는 ‘분리(segregation)’이다. 이 통합과 분리는 물리적인 연결과 단절로 나타나기도 하며 더욱 복잡한 건축적 처리로 표명되기도 한다. 사람들은 통합과 분리의 관계로 공간요소들을 배열함으로써 전체 마을공간을 형성해 나가는데, 상관성은 요소들 사이에 이러한 통합과 분리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느냐 하는 문제를 다루는 개념이다.

확대보기
나주 도래마을(道川) 홍기응 가옥
나주 도래마을(道川) 홍기응 가옥
팝업창 닫기

일반적인 건축공간에서 두 개의 동등한 영역이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동등한 두 영역은 대개 그것들이 같이 접하고 있는 좀 더 공적인 영역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련된다.70)Habraken N. J., Transformations of the site, Awater Press, 1988, p.164. 그러므로 동등한 두 영역의 사이는 기본적으로 분리의 관계를 이룬다. 영역 구조상의 단계(level)가 다른 요소들의 연결관계는 통합과 분리의 두 측면을 동시에 갖는 복합적인 관계인데, 그 요소들이 갖는 성격의 차이가 클수록 분리의 관계에 가까워진다. 이를테면 공 적인 길과 사적인 주거공간의 관계는 공간이 가지는 성격의 차이 때문에 통합보다는 분리의 관계에 가깝다.

마을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인 개별 주택들 사이는 기본적으로 분리의 관계이다. 그렇지만 씨족마을에서는 마을사람들 사이가 혈연관계로 구성되는 특수성 때문에 거주자들 사이에 일상적인 왕래가 잦다. 따라서 주택들 사이가 서로 통합될 필요성도 존재한다. 서로 모순되는 요구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해 씨족마을의 개별 주택들은 독립적인 주거생활을 확보하면서도 동시에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통합과 분리의 변증법적인 균형을 이룬다. 아래 그림은 도래마을의 주택들이 보이는 이러한 이중적 관계를 나타낸다.

확대보기
나주 도래마을 주택들 사이의 분리와 통합
나주 도래마을 주택들 사이의 분리와 통합
팝업창 닫기

도래마을 주거지의 뒤쪽에 인접해 있던, 석계공파 종가를 비롯한 6집은 각각 대문과 담장으로 독립된 주거 영역을 형성하면서도 옆집으로 왕래할 수 있는 샛문을 두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 집들의 거주자들은 서로 형제 관계 혹은 그에 버금가는 친밀한 혈연관계로 맺어져 있었다. 여기서 샛문은 일상생활에서 그런 긴밀한 관 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물리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는 종가와 그 옆집은 철거되었고 주택들 사이를 통합시켜 주던 샛문들은 폐쇄된 상태여서 이전의 재미있고 아름다운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위계성] 위계의 개념은 동일한 종류의 요소 혹은 비교될 수 있는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크기와 형상·위치의 차이를 말한다. 곧, 예외적인 크기, 독특한 형상, 중요한 위치는 어떠한 형태나 공간이 시각적으로 독특하게 보이도록 하며 하나의 공간조직에서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하므로 위계를 높이는 요인들이다.71)Ching, Francis D.K., Architecture: Form, Space & Order, VNR, 1979, pp.350∼351. 그리고 여러 가지의 구성 요소를 구비해 격식을 갖춘 공간이나 건축물은 그렇지 못한 것보다 위계가 높다고 간주된다. 이러한 차이는 요소가 전체 마을 공간 조직에서 가지는 상대적 중요성과 기능적·형태적·상징적 역할을 나타내 준다. 전통마을에서 이 상대적 중요성을 결정하는 가치체계는 개인적이기보다 집합적이다. 곧, 위계성은 마을의 문화를 반영한다.

씨족마을은 성리학적 유교문화의 자연·공간관을 반영하고 있다. 성리학에서는 위계적 질서의 표현, 곧 예(禮)가 강조되며 이는 주거공간에서 위계성이나 차별성이라는 개념으로 자리 잡는다. 이러한 개념들이 마을의 공간이나 영역의 구조화와 관련된다.

씨족마을에서 공간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뚜렷한 위계를 가지며, 특히 의례(儀禮)를 구성하고 수용하는 상징적 요소들이 중요시된다. 씨족마을의 위계성을 공간요소 별로 요약하면, 길은 ‘안길 〉 샛길’의 위계관계를, 주택은 ‘종가 〉 일반 주택’의 위계관계를 가지며, ‘공동시설 〉 주택’의 위계관계가 성립된다. 각 공간요소 별로 위계가 높은 요소들은 마을 공간구조의 기본 틀을 이룬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