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3 정신세계의 통합공간 불교건축
  • 09. 회통불교시대의 산지가람
  • 즉세간을 닮은 중정 일곽
서치상
확대보기
범어사 가람 일곽의 단면도
범어사 가람 일곽의 단면도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범어사 가람 일곽의 단면도
범어사 가람 일곽의 단면도
팝업창 닫기

산간이라는 입지조건과 회통불교이념은 임진왜란 이후의 가람제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어느 사찰이건 긴 진입로 상의 삼문을 지나 중정과 최상단의 주불전에 이르기까지 자연적인 경사를 이용해서 불전·법당·요사 등을 적절히 안배했다. 불교이념과 자연지세를 잘 조화시킨 이러한 배치 형상은 오늘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 평지 1탑식 가람을 시작으로 비보사찰, 선종사찰, 원당사찰 등을 거쳐서 천 년이 넘게 지나오면서 산지중정형 내지는 4동중정형 가람 배치로 귀착된 것이다.

확대보기
숭림사 배치도
숭림사 배치도
팝업창 닫기

이러한 산지중정형 가람배치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원각사와 같은 국초의 원당사찰에서 삼문이나 중정의 형태가 보이지만, 평지가람에서 유래된 회랑의 흔적이 중정 문루의 좌우로 연결된 남행랑의 형태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남행랑도 없어지고, 주불전과 문루, 선당과 승방이 각기 중정의 전후, 좌우로 마주보게 세워졌다. 마치 종축상으로는 안채와 문간채가 마주 보고, 좌우의 횡축상으로는 부속채가 각기 마주보는 살림집의 배치와 흡사하다.

그 무렵 사찰들은 사판승들이 거주하는 대규모의 살림집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깊은 산중 암자에서 공부에 전념하는 이판승들과 달리 사판승들은 사찰 살림을 도맡아야 했다. 그들은 경제난을 타개하고 가람을 유지하기 위해서 탁발, 기도, 염불을 통해서 시주전을 얻거나, 염전·화전 등을 개간하고, 심지어 공장이나 역군으로의 사역 외에도 미투리나 종이, 빗자루 등의 생산을 위한 수공업을 일으켜야 했다. 이러한 일들은 사찰 자체적으로 필요했지만, 궁방이나 관아의 수요에 응하기 위해서도 불가피했다. 이제 가람은 본래의 성스러운 만다라로서 뿐만 아니라 승려 집단의 거주공간이어야 했다. 세속과의 분리를 위한 평지가람의 회랑이나 원당사찰의 긴 남행랑은 다시 중시되지 않았다.

확대보기
안동 봉정사 덕휘루(만세루)
안동 봉정사 덕휘루(만세루)
팝업창 닫기

정형적인 일직선의 회랑이나 남행랑은 지형 조건상 짓기도 어려웠다. 기능적으로도 필요하지 않았던지 오래 전 평지가람으로 지어진 사찰에서도 금당 좌우의 회랑이 무너지면 다시 짓는 대신 그 자리에 선당이나 승방을 지었다. 엄정한 정형성은 자연에 대한 겸양과 인공의 절제를 최고 덕목으로 쳤던 그 무렵의 미의식과도 맞지 않았을 것이다. 통일신라 이래 평지 2탑식을 유지하다가 임진왜란 이후의 중창 때 이런 식으로 변개된 불국사가 대표적이다. 1970년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 때 동회랑지 밑에서 온돌과 마루 유적이 나온 것이다. 회랑을 복구하지 않고 그 자리에 승방을 지어서 중정을 중심으로 주불전과 그 전면의 누각이 마주보고 좌우에는 선당과 승 방이 마주보는 배치형식으로 바꾼 것이다.

확대보기
영주 부석사 안양루
영주 부석사 안양루
팝업창 닫기

대웅전과 마주보도록 중정 초입에 세워진 중층의 누각은 자연과 잘 조화되면서 공간적 깊이를 더해 준다. 중정 누각은 기능은 다르지만 향교나 서원 일곽의 초입에 세워지는 누각과 흡사하다. 그래서 향교나 서원의 배치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도 한다. 다만, 사찰에서는 문루가 종루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중정으로는 누하주로 지지된 아래층을 통해서 들게 했다. 위층에는 범종·법고·운판·현어 등 법구사물을 비치하고 벽체가 없이 기둥 밖으로 헌함을 돌출시켜서 마치 주변 경치를 관람하기 위한 사대부들의 별서같은 모습이다. 송광사 종고각과 봉정사 덕휘루(만세루)가 종루의 대표적인 예들이다. 중정누각 중에서도 부석사 안양루는 여느 별서에 못지않게 빼어난 경관을 연출한다.

중정누각은 중정과 하단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축대에 걸쳐서 세워진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하층 누하주 사이를 통해서 중정으로 드는 이른 바 누하진입 형식이다. 긴 진입로 상의 삼문을 거치면서 속진을 걸러낸 마음은 우뚝 솟은 누각의 위용 앞에서 다시금 조여진다. 그러다가 좁은 누하주 사이의 계단을 오르면서 갑자기 시야가 트이고, 주불전이 눈에 들어오면서 조여졌던 마음은 환하게 열려진다. 조임과 열림의 반복을 통해서 히에로파니를 극대화시키는 빼어난 공간연출이다. 조선 후기에 사찰 침탈을 일삼았던 유학자들이 이러한 누각에서 피서를 즐기면서 많은 제영을 남긴 것도 빼어난 경관 때문이었을 것이다.

<표> 주요 산지가람의 중정누각의 건축 형식과 진입 방식
사찰명 누각명 칸수 층수 진입방식 청건중건 벽체창호 헌함나간 전후주높이차 상하단지 배치도 단면도
해인사 구광루 7 × 2 2 누하 1490 판벽
판문
송광사 종고루 3 × 2 2 누하 1843
1955
부석사 안양루 3 × 2 2 누하 1580
쌍계사 팔영루 5 × 3 2 우각 1641 판벽
판문
전등사 대조루 5 × 2 2 누하
우각
1749
1932
판벽
판문
용문사 자운루 5 × 3 2 우각 1166
1561
판벽
판문
용주사 천보루 5 × 4 2 누하 1790 판벽
판문
동화사 봉서루 5 × 3 2 누하 1725 판벽
판문
봉정사 덕휘루 5 × 3 2 누하 1680
화암사 우화루 3 × 3 3 우각 1711 판벽
판문

일부 사찰에서는 단층 누각을 짓기도 했다. 범어사 보제루를 비롯해서 태안사 보제루, 선운사 만세루, 선암사 만세루 등이 그런 예들이다. 다만, 범어사 보제루는 1700년 창건 때 그 전부터 있던 옛 종루를 헐고 그 자리에 중층 누각으로 지었다가 1813년 중창 때 단층으로 바꾸었다. 종루 자리에 단층의 법회용 강당을 세우면서 생긴 변화이다. 단층이므로 건물 좌우측을 돌아서 중정으로 들게 된다. 그런 탓에 위를 쳐다보면 시선이 차단되어 중정 일곽은 내밀성이 커지지만 답답한 느낌을 피할 수 없다.

해인사 구광루는 원래 중층의 종루였는데 강당으로 바뀌면서 이층이 내부공간으로 바뀌고 누각 아래의 진입로가 막히면서 우각진입형식이 되었다. 원래 이 건물은 종루와 같은 이름인 원음각이라 하여 이층에는 법구사물을 비치하고, 누하주를 통해서 중정으로 진입하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종루를 다른 곳에 새로 지으면서 법회용 강당으로 바뀌고, 기둥 사이에 판벽이 쳐져서는 실내공간으로 바뀐 것이다. 많은 경우 법회용 강당의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빼어난 공간이 연출되던 중정 누각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