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4 지배 정치 이념의 구현: 유교건축
  • 03. 종류별 유교건축
  • 향교
  • 2. 입지와 건물배치
김지민
확대보기
충청도 홍주목(洪州牧) 지도(『여지도서』)
충청도 홍주목(洪州牧) 지도(『여지도서』)
팝업창 닫기

향교가 설립된 곳은 대개 읍성 밖의 한적한 곳이었다. 성밖에 자리한 것은 번잡한 성내보다는 아무래도 교육환경이 성밖이 더 좋았을 것이고, 또한 넓은 터를 얻기에도 용이했기 때문이다. 거리로는 보통 읍치에서 4리 이내로 아주 먼 곳은 아니였다. 이처럼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한 까닭은 향교가 중앙의 조직에 의한 관학이었으며, 또한 강학의 장으로써만이 아니라 지방민의 교화사업에도 큰 몫을 담당하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 향교에서는 호랑이 출몰로 향교를 옮겼다는 사실도 있어 꽤 한적하고 외진 산중에 위치했던 향교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교가 자리한 지형은 크게 평지와 경사지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지형의 문제는 강학과 제향 구역의 설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전체적으로 평지를 택한 향교는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향교는 구릉성 산록에 자리 잡았다.

확대보기
고려 영해향교 배치 추정도
고려 영해향교 배치 추정도
팝업창 닫기

향교의 건축구성은 성균관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규모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문묘가 반드시 있고 이와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독자적인 영역(강학 구역)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한편, 고려시대 향교에서는 지금의 향교처럼 건축적으로 두 구역이 분리되지 않고 한 건물 또는 하나의 영역에 공존한 묘학동궁(廟學同宮)의 향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예로 고려 충렬왕(1347) 때 이곡이 지은 「영해향교 기문」87)『동문선』 권71, 「영해부 신작소학기」.에 따르면 한 건물에 묘와 학이 함께 하고 있어 너무 무례하므로 대성전을 독립시켜 공자의 상을 모시고 그 앞 좌우로 무(廡)를 지어 공부하는 곳으로 삼았다고 되어 있다. 공간상으로 그 전보다 상당히 예적 질서를 찾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확대보기
충청남도 홍주향교 제향 구역(문묘)
충청남도 홍주향교 제향 구역(문묘)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전라남도 낙안향교 강학 구역
전라남도 낙안향교 강학 구역
팝업창 닫기

조선시대에 조성된 향교는 제향과 강학 구역의 배치가 모두 4가지 유형으로 정착이 된다. 즉, 다양한 건축적 구성이 있는데 거기에는 지형을 세심히 고려한 흔적이 보인다.

확대보기
향교의 배치유형-(가) 전묘후학
향교의 배치유형-(가) 전묘후학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향교의 배치유형-(나) 전학후묘
향교의 배치유형-(나) 전학후묘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향교의 배치유형-(다) 좌묘우학
향교의 배치유형-(다) 좌묘우학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향교의 배치유형-(라) 좌학우묘
향교의 배치유형-(라) 좌학우묘
팝업창 닫기

‘가’ 유형은 문묘가 앞에 오고 강학 구역이 뒤에 오는 ‘전묘후학(前廟後學)’유형이다. 이 유형은 우선 향교가 입지한 곳의 지형이 반드시 평지이다. 즉, 동일한 선상에서 유교적 위계성은 ‘후(後)’보다 ‘전(前)’이 당연히 앞선다는 논리이다. 이 형식의 건축적 규범이 잘 드러난 향교로는 조선시대 부와 목의 큰 고을에 건립됐던 경주·전주·나주향교와 이 외에 함평(현)향교·영광(군)향교·정읍(현)향교 등도 있다. 한편, 평지이면서도 전묘후학의 배치형식을 취하지 않은 향교도 몇 곳이 있는데 이들은 주로 향교의 기능이 쇠퇴한 조선 중기 이후에 설립된 향교들이다.

‘나’ 유형은 ‘가’ 유형과 반대로 앞쪽에 강학 구역이 오는 ‘전학후 묘(前學後廟)’ 형식이다. 이 유형은 한국 향교 건축 배치의 절대적인 유형으로 전국(남한) 향교의 약 90%가 이 유형으로 되어있다. 이 배치 유형을 결정짓는 물리적 요소는 무엇보다도 지형인데 거의 대부분 선택된 입지는 야트막한 야산의 산록 경사지가 되고 있다. 이는 건축적으로도 공간의 위계성(상·하 개념)과 잘 부합되는 조영 규범으로 여겨진다. 즉, 자연지리상 평지의 발달보다는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형편을 감안할 때 전학후묘의 배치기법은 자연과 건축, 그리고 유교의 기본 정신이 3박자로 조화된 우수한 건축 기술로 여겨진다. 한편, 경사지에 입지한 향교 중 ‘전묘후학’ 형식을 한 향교는 한곳도 없다.

확대보기
전라남도 나주향교 배치도
전라남도 나주향교 배치도
팝업창 닫기

‘다’와 ‘라’ 유형은 두 구역이 직렬이 아닌 병렬식으로 놓이는 형식이다. 좌향 기준으로 좌측에 문묘가 놓이면 좌묘우학(左廟右學), 그 반대이면 좌학우묘(左學右廟)가 된다. 전국적으로 ‘다’ 유형은 제주향교 등 4개소, ‘라’ 유형은 밀양향교 등 12개소가 보인다. 이러한 형식은 주로 남 부지방 향교에서 많이 보이고 건립시기도 조선 후기로 한정된다. 지형은 경사지와 함께 평지도 보인다.

확대보기
강학 구역의 건물조합 형식
강학 구역의 건물조합 형식
팝업창 닫기

전학후묘 배치에 있어 강학 구역 내의 건물 조합 패턴에도 ‘전재후당(前齋後堂)’과 ‘전당후재(前堂後齋)’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역적으로 경상도 지역에서는 전자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후자 형식은 익산향교 한 곳만을 제외하고 전라도 지역의 모든 향교가 전당후재 형식으로 되어 있다. 중부 및 강원도 지역은 두 형식이 혼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영·호남지방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지역 유림에 의한 조영 인식의 차이인지 아니면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라는 성리학적 사상이 내면에 있는지는 향후 검토해 볼 과제로 여겨진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