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 5 왕권의 상징, 궁궐 건축
  • 04. 조선 왕조의 궁궐
  • 경희궁(慶熙宮)
이강근

광해군(재위 1608∼1623)은 1608년에 재건된 창덕궁에 거처하기를 꺼린 나머지 1615년에 창경궁을 중건하였다. 그러나 창경궁에도 들어가지 않은 채 새로 인경궁(仁慶宮)과 경덕궁(慶德宮, 영조 때 경희궁으로 고침)을 창건하였다. 인경궁은 인왕산 아래 사직단 동쪽에 지어졌으나 인조반정과 이괄의 난으로 불타버린 창경궁과 창덕궁을 다시 지을 때 헐려서 활용되었다. 지금은 그 터의 흔적만이 남아 있다. 경희궁은 1620년(광해군 12)에 완공되었다.

확대보기
숭정전 일곽(서궐도안 모사도 부분)
숭정전 일곽(서궐도안 모사도 부분)
팝업창 닫기

경희궁(임시로 서별궁으로 부르다가 명칭을 경덕궁(慶德宮)으로 정했고, 영조 36년에 경희궁으로 고침)의 창건 계획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광해군 9년(1617) 6월의 일이다. 광해군 7년에 창경궁을 중건하고 남은 재물을 인왕산 아래로 옮겨 놓고, 인경궁의 창건을 준비하던 중 인경궁(仁慶宮) 공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경희궁 건설이 시작되었다. 궁궐터로 선정된 새문동 일대에는 선조의 다섯째 아들이자 배 다른 동생인 정원군(定遠君)의 집이 있었는데, 그의 집터에 왕기가 서려 있다는 설을 내세워 그를 내쫓고 그의 집터에 왕궁을 짓는 것이 경희궁 창건 동기였다.

확대보기
복원된 경희궁 숭정전
복원된 경희궁 숭정전
팝업창 닫기

인경궁이 처음부터 큰 규모의 궁궐로서 창덕궁의 제도를 전범으로 삼았던 것과는 달리, 경희궁은 인경궁에 견주어 작은 궁궐인 소궐(小闕)로 불리면서 창경궁의 제도를 모방하여 소규모로 계획되었다. 정문을 단층으로 짓거나, 조하전(朝賀殿)과 시사전(視事殿)은 모두 창경궁의 제도에 따라 정하였다. 또 큰 재목은 인경궁 공사에 사용토록 하고 작은 재목을 골라서 경희궁의 여러 부속건물을 조성하였다. 경희궁터에 원래부터 있던 건물을 궁궐에 맞추어 쓰임새를 바꾸어 형태를 개조하였으며, 인경궁에 짓는 아문 가운데 몇 곳은 경희궁에서는 생략하였다.

그러나 광해군 10년 4월 영건도감에서 올린 계를 보면 아문(衙門)의 칸수만 203칸에 이르러 당초에는 잠시 피해 있을 곳으로 지으라던 경희궁이 법궁과 다를 바 없을 정도로 많은 아문을 갖추었음을 알 수 있다. 광해군 11년(1619) 9월에는 정전·동궁·침전·나인 처소 등 1,500칸이 완공되었다.

광해군 9년 7월에는 궁성 동서남북의 경계를 정하였으며, 9월 이후에는 3문을 세울 곳에 대한 의논이 있었으며 이때 궁역이 대체로 정해졌다. 또 1618년 윤4월에는 북문이 대내로부터 너무 가까우므로 순라할 만한 통로가 없으니 담 밖으로 다시 담을 쌓고 외북문을 세우도록 하라고 하였다.

창건 이후 경희궁에서 일어난 변화 가운데 비교적 큰 변화는 효종 7년(1656)의 경화당(景和堂)과 만상루(萬祥樓) 이건, 현종 8년(1667)의 집희전(集禧殿) 이건, 숙종 때의 대대적인 수리공사, 영조 때의 태녕전(太寧殿)·경봉각(敬奉閣) 건립 등을 꼽을 수 있다. 정조는 세손(世孫)으로 경희궁에 거처하던 시절인 1774년 『정묘어제경희궁지(正廟御製慶熙宮誌)』에 당시 경희궁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담았다.

순조 29년 10월 3일에 일어난 화재로 회상전(會祥殿)·융복전(隆福殿)·흥정당(興政堂)·정시합(政始閤)·집경당(集慶堂)·사현합(思賢閤)·월랑(月廊) 여러 곳 등이 소실되었다. 즉, 왕과 왕비의 침전 등 내전 일곽과 편전 등 대부분이 불타 없어졌다. 화재 이후 중건이 시작되는 1830년 3월까지는 영건공사에 필요한 물자와 노동력을 확보하고 영건도감의 지휘 아래 건물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중건 계획을 마련하였다.

공사가 완료된 때는 1831년 4월 27일로 1년이 더 걸렸고, 낙성 직후 공사의 시종을 기록한 보고서인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가 편찬되었다. 이 책을 통하여 당시의 영건 상황을 여러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순조 18년에는 동궁인 경현당의 북쪽에 있던 양덕당(養德堂)을 덕화전(德和殿)으로 개칭하였다. 순조 말년에 중건된 경희궁은 이후 헌종·철종 대에는 큰 변화없이 관례에 따라 수시로 보수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