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5 사냥의 의례와 놀이
  • 03. 굿과 놀이에서의 모의 사냥
  • 우이동 도당제의 사냥놀이
  • 3. 우이동 도당굿의 사냥놀이의 의미
임장혁

우이동 도당굿의 사냥놀이와 황해도 굿의 사냥놀이의 공통점은 사냥의 성과를 올리기 위한 산신제라 할 수 있는 장구제를 지내며, 사냥에서 얻은 사냥감은 군웅거리에서 제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냥놀이는 군웅신을 위한 굿에 사용될 제물을 확보하기 위해 행해진다.

한편, 차이점은 황해도 굿에서는 미리 마련된 제수를 갖다 놓고 이를 활로 쏘아 제물을 확보한 것으로 표현하지만, 우이동 도당제는 미리 마련된 제수를 감춰 놓고 군웅할아버지로 가장한 무당이 이를 찾아내도록 하여 무당의 영험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두 굿의 사냥거리에 등장하는 인물의 구성에도 차이를 보인다. 황해도 굿에서 상산막둥이의 역할은 산에 사냥감이 많은 장소로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우이동 도당제에서 문복쟁이는 점쟁이로서 영력을 갖은 인물로 등장한다. 그러나 상산막둥이와 문복쟁이는 각각 배역은 다르나 예지력이나 남다른 경험을 갖고 있는 인물로 사냥의 성공을 돕는다는 점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이동 도당제에서는 마을 주민이 사냥감을 감추어 만신으로 하여금 이를 찾도록 해 영력을 시험한다. 마을 주민은 무당에게 도당제를 의뢰하면서 무당의 영력에 대해 의심을 가졌을 것이고, 사냥거리가 놀이적인 형태로 발전되면서 무당의 영력을 시험하는 놀이로서도 행하였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황해도 굿과 마찬가지로 사냥놀이를 통해 미리 마련된 제물이 가축이 아닌 사냥을 통해 얻은 제물임을 은유적으로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사냥놀이는 제물을 산신이 내어준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감사의 의미와 살해된 동물에 대한 위령이나 속죄의식이 나타나 있다.

사냥놀이에서 제물을 어르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것은 실제 수렵에서 노루 사냥을 한 다음에 노루가 총에 맞아 죽은 것이므로 사냥꾼에게는 죄가 없는 것으로 죄를 전가하는 태도와 유사하다. 사냥꾼이 책임을 전가하는 행동은 죽은 동물에 대한 두려움과 속죄의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우이동 도당굿의 사냥놀이는 수렵민적인 산신관이나 의례가 계승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