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사
  • 40권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 5 사냥의 의례와 놀이
  • 03. 굿과 놀이에서의 모의 사냥
  • 제주도 굿의 산신놀이
  • 1. 산신놀이의 절차와 내용
임장혁

<산신놀이>는 제주도의 무속에서 수렵의 풍요를 비는 놀이굿이다. 산신은 산을 차지한 신인 동시에 산에 사는 동물도 차지한 신이므로 수렵의 풍요를 얻으려면 산신에게 빌어 그 수확을 얻지 않으면 안 되었다.

제주도의 수렵 생활은 농경 생활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한라산과 그 주위 광야에서 노루·사슴·산돼지·꿩 등을 잡아 생활을 영위해 온 것이다. 중산간의 마을에서는 근세에까지 농경과 더불어 수렵을 계속해 왔다. 그래서 이들 수렵하는 집안에서는 수렵이 잘되게 수호해 주는 ‘산신일원’이라는 조상이 있다고 믿어 최근까지 큰 굿을 할 때에 이 신을 위하여 산신놀이를 해왔다. 실제로 조상 중에 한라산에 나가 사냥을 하며 살았던 조상이 있었거나, 산에서 죽었으나 시체를 못찾은 영혼이 있는 경우, 그 죽은 조상을 모두 산신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집안에 불행이 닥치면 산에 가서 죽은 영혼들을 위로하는 굿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산신놀이는 바로 제주도민의 수렵생활의 습속이 신앙에 반영된 놀이로 생업의 풍요를 기원하는 동시에 조상의 노여움을 풀어주는 놀이굿이다.

산신 놀이는 ①초감제 ②사냥 ③분육 ④산신군졸 지사빎의 순서로 진행된다. 초감제는 먼저 굿을 하는 사유를 노래하여 신이 하강할 문을 연 후, 산신에게 수렵의 수확을 빌고 이어서 산신과 포수를 청해 들이는 과정이다.

수심방이 굿하는 날짜와 장소를 설명하고 굿하는 연유를 고하고 제상 앞에 서서 산신이 오는 군문을 열어 산신을 청하여 앉힌다. “높은 옥황상제 열시왕 저승 염라대왕 시왕연맞이 제청도업입니다.” 하고 악기를 올리고 춤을 추어 배례한 다음, 수심방이 날과 국을 잠깐 사이 섬기고서 다시 창을 한다. “시황연맞이 옥황상제 저승 염라대왕 산신일월신이 굽어사저는 시군문이 어찌되며 모릅니다. 신고래 대전산 서만전 신이 굽어, 옥황 도성문 열립던 금정옥술발 무르와다 시군문도 돌아보자.”하는 창을 한 다음 문을 돌아보는 춤을 춘 후 다시 창이 이어진다. “시군문 돌아보니, 문문마다 초군문 초대장 이근문 이대장 삼소도군문 도대장 인정없이 열리니까 저승 헌패지전 발목공저인정 불천수시켜 저인정 걸었더니 시군문 잡아온다. 신군문 열리거라 하니 신의 가남으로 열릴 수 없어, 하늘 옥황도성문 열리옵던 금정옥술발 본도신감상 좌절영기 무르와 시왕도군문 소재 차사산신일월 산신대왕문 열리레가자….” 이러한 창을 하고 신이 하강할 문이 열리는 도량 춤을 추며 포수를 청해 들인다.

청신을 하면 포수 2명이 등장한다. 포수들은 막대기에 천으로 멜빵을 만들어 묶은 총을 들고 나타난다. 이 총을 ‘마사기총’이라 하는데, 실제 옛 조상들이 사냥할 때 쓰던 총이다. 등장한 포수들은 서로 엉켜 붙어 잠을 잔다. 잠에서 깨어난 포수들은 각자 길몽을 꾼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포수 1: 자네 꿈 본 소식 어서(없어)?

포수 2: 나 봐서(봤어)!

포수 1: 무슨 꿈 말이라(말이지)?

포수 2: 벌겅헌(빨간)베로 두건 쓴 사람이 행상을 매영(매고) 막 산으로 올라 뵈고(보이데)

포수 1: 나도 좋은 꿈을 봤저(보았지).

포수 2: 무슨 꿈을 봐서(봤니)?

포수 1: 재수가 좋은면 좋으나(좋든지), 말면 마나(말든지), 망이(요행이) 아니면 늬망이나(일든지), 영헌 꿈을 봤네. 무슨 꿈인고 허니.

포수 2: 시집가는 거 봐서(보았나)?

포수 1: 저 우트로(위로) 바라보니.

포수 2: 바라보난(보니)?

포수 1: 새끼 밴 암톳(암돼지) 닮은 거.

포수 2: 암톳 닮은 거?

포수 1: 응.

포수 2: 아이구. 망일었저(소망 이루었네 또는 운이 트였네).

포수 1: 또끄망(똥구멍) 뒈벨란(딱 벌려서)

포수 2: 뒈벨라 놔안(딱 벌려놓고)?

포수 1: 응

포수 2: 옷은 안 벗어서(벗었어)?

포수 1: 옷은 안 벗언(벗고), 벌겅케(부리나케 핸(하고 암성게(뛰고 있대 우트래(위쪽으로)

포수 2: 게믄(그러면 망 아니면 늬망이여).

이때의 길몽은 ‘상이 나가는 꿈’이나 ‘동물이 새끼를 잉태하는 꿈’이며, 흉몽은 ‘꿈에 여자를 보거나, 시집가는 꿈’이다. 길몽을 꾼 포수들은 좋은 꿈을 꾸었으니 산신제를 잘 지내야 한다고 하면서 사냥터로 출발하기 전에 산신제를 지낸다.

수심방: 산신님 전에 제를 드려야 허여.

포수1: 옳거니.

포수2: 꿈도 좋은 꿈 봐시난(보았으니). 제를 잘 드려야주(드려야지) 절도 잘곡(잘하고)(절을 한다)

소무: [절하는 동작의 서투름을 나무라며] 에구 늙으면 사냥도 못허켜(못하겠네) [웃음]

단골들: [모두 웃는다] 병신인 생이여(모양이여)! 절하는 거 보난(보니)

포수1: [절을 한다.]

단골들: 절하는 것도 젊은 사람이 낫다. [일동 웃는다]

포수2: 앙? 젊은 사람이 나사(나아)? [화를 낸다]

산신제를 마친 뒤에 포수들은 ‘마사기총’을 둘러매고 사냥을 떠날 채비를 한다. 포수 1은 닭을 끌고 먼저 나가고, 포수 2는 뒤따라 반대쪽으로 나가게 된다.

수심방: 정포수, 한포수[정, 한씨는 원래 역을 맡은 심방의 성씨]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었는디. 어느 지경으로 가젠 햄서(갈 예정인가)? 한 포수는 어느 지경으로 가젠(가려고)?

포수 2: 나는 어디로 가느냐 허면, 동남(東南) 어깨로 해서, 저 민오름으로, 웃바매기(=지명)로, 알바매기로, 눈오름으로 해서, 그 뒤에서 만나보카(만나볼까)?

포수 1: 난 어디로 가느냐? 우리 저 소낭(=소나무) 어깨로? 아니 저 배부른 동산에서 만나주.

포수 2: 배부른 동산?

포수 1: 옹.

포수 2: 배부른 동산이 어디더라 마는? (어디드라) [여자의 몸을 말하는 줄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고 찾는 시늉을 하면, 단골들 웃는다]

포수 1: 엉?

포수 2: 어디드라마는?

포수 1: 한라산이? 내려오다 보면 이? 가운데 동네게.

포수 2: [건성으로 알았다는 듯이] 아 아, 가운데 동네?

포수 1: 게민(그러면) 글로(거기서) 만나기로 하고, 한포수 댕기당(다니다가) 뭣 하나 눈에 보이거든 어떵 해(어떻게 해)보자 이? [작별을 고한다]

포수 2: [인사를 하며] 웅 나 감느니(가네).

포수 1: 자 우리 청석더리(개이름). 흑석더리 거느리고. [개 부르는 소리] 머루. 머루머루머루머루. 백구. 백구백구백구[계속해서 개이름을 부르며, 포수 2의 반대쪽으로 멀어진다]

이리하여 두 포수는 제 각기 반대 방향으로 길을 떠난다.

포수들은 사냥 놀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포수 1은 쫓기는 역을 맡고, 포수 2는 쫓는 역이 된다. 포수 1은 닭(노루의 대용물)을 끌 고 다니며, 사냥감인 노루의 역할과 포수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사냥 놀이는 제장(祭場)을 떠나 사방으로 확대되며, 포수들은 사냥을 하려고 이리 저리 뛰어 다닌다. 포수들은 밭담을 넘기도 하고, 덤불숲을 헤치며, 사냥감을 찾는다. 포수들이 눈에 보이지 않을 때에도 개를 부르는 소리, 휘파람 소리가 계속 들려온다. ‘머루머루머루’하는 소리만 들리다가, 쫓기는 포수가 제장 근처에 나타났다가 재빨리 사라진다. 이 장면을 ‘사농놀이’라 한다.

포수 2: [반대쪽으로 길게 외친다] 정포수-머루머루머루머루

포수 1: [반대쪽에서 대답한다] 한포수-머루머루머루머루. 벅구벅구벅구벅구.

이어 두 포수가 만나는데 쫓기던 포수와 쫓던 포수는 동시에 노루를 쫓던 포수가 되고, 쫓기던 포수가 끌고 다니던 사냥감은 두 포수의 노획물이 된다. 이제 두 포수는 서로 자기가 닭(노루의 대용물)을 잡았다고 주장한다. 서로 어떠한 방법으로 잡았는지에 대해 설명하면서 자신이 사냥감을 잡았다고 우긴다.

포수 1: [개에서 물리는 시늉을 하며] 백구 칙 칙. 걸렸다. 잡았다. 한포수. 이거 어디서 봔(보고) 이렇게 했어?

포수 2: 쏘았어! 쏘았어!

포수 1: 일로(이리로) 진짜? 진짜?

포수 2: 어디로 보았냐고? 하로영산(한라산에서 봤어. 물장오리(지명). 태역장오리(지명)에서 봤어. 여수동 삼진머리로 [웃는다]

포수 1: 어허. 이리줘. 내가 맞혔지.

포수 2: 내가 맞혔어.

포수 1: 어디로 맞혔어?

포수 2: 입주둥이로 맞히니까 똥고망(똥구멍)으로 나완(나왔지)

포수 1: 어허. 그러니 틀려먹었어. 난 제라게(정식으로) 오목가슴(심장)으로 맞현(맞혀서)똥고망으로 나왔어.

두 포수의 다툼이 계속되고 수심방이 끼어들어 중재에 나선다. 수심방은 향장(鄕長)역으로 나서서 잡을 당시의 상황을 듣고 둘이 같이 잡은 것이니 반씩 나누라고 하여 닭을 분배하는 장면을 벌인다.

수심방: 한포수. 정포수. 우리 싸우지 말고. 좋게 화해해 가지고. 분배합시다. 분배 못하겠어요?

포수 1, 2: [모두] 분배합시다.

이리하여 분육한 고기는 우선 산신대왕이 좋아하는 더운 설, 단 설(더운피, 단피)를 뽑아 신에게 올리고, 마을의 어른들부터 단골 신앙민에 이르기까지 나누어 준다. 이 때 먹는 ‘분육한 고기’는 모든 병을 낫게 하고, 모든 액을 막아주는 신의 음식이다.

분육이 끝나면 그 고기를 상전에게 갖다 바치고 산신 군졸을 대접하여 사귀는 <산신군졸 지사빎>으로 들어가는데 이 장면은 각각 칼에 고기를 꿰어 들고 칼춤을 일제히 추며 신에게 향을 베푼다. 마지막에는 칼을 내던져 칼날의 방향을 보아 수렵의 풍요 여부를 점치고 놀이는 끝을 맺는다.565) 문무병 외, 앞의 글, pp.422∼428.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