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Ⅰ. 청동기문화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2) 교역

(2) 교역

 우리 나라 청동기문화의 전개과정에서 식량생산 단계로의 진입과 발전은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초래하였다. 특히 재생산 경제구조의 발전은 식량의 잉여와 이의 교역 가능성이 제기되며 나아가 청동기와 관련된 물품의 교역이 예상된다. 즉 이의 농업생산물, 권위상징물 및 기타 수공제품 등이 교역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0441)Chang K. C., Ancient Trade as Economics or as Ecology, Ancient Civilization and Trade, Univ. of New Mexico Press, 1975, pp.216∼217.

 우선 청동기문화의 대표적인 교역물로는 청동제품과 관련된 물품을 들 수 있다. 청동제품은 실용성 및 의례 관련 용품으로 사용되는 점과 운반의 용이성 등에 의해 가장 중요한 교역품이었을 것이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청동검 및 다뉴경의 경우는 중국의 청동제품과 성분이 달라 자체 원료채굴 및 정련, 제작이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0442)馬淵久夫·平尾良光,<鉛同位體比からみた銅鐸の原料>(≪考古學雜誌≫68-1). 그런데 청동기의 분포는 매우 광범하고 수요에 비해 이들을 생산하기 위한 동광 원료지가 제한되고 용범의 반출지역도 극히 제한적이란 사실 등은 이들 생산품의 상당수가 교역에 의해 분산되었다고 이해된다.

 현재 확인된 우리 나라의 청동원료 생산지역은 예산일대이다.0443)金貞培,<목지국고>(≪韓國古代의 國家起源과 形成≫, 高麗大 出版部, 1986).
예산일대의 지역은(예산·청양·대흥 등) 자연동이 산출되는 지역으로≪世宗實錄地理志≫에 경주와 함께 거명되는 단 두 지역으로, 특히 이 일대 예산 동서리, 아산 남성리 등지의 청동기 일괄유물과의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청동원료가 생산되어 중요한 교역품으로서 청동이 생산되지 않은 지역으로 반출되었다고 이해된다. 또한 완제품의 경우에도 중요한 교역품이었을 것이다. 이형청동기와 팔주령 등의 방울류가 한반도 중남부에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적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에서도 확인된다.0444)岡內三眞,<朝鮮の異形有文靑銅器の製作技術>(≪古代東アジアの靑銅器製作技術の硏究≫, 1990), 63∼106쪽. 특히 여기서는 동검류와는 달리 이형의 문양이 있는 청동기가 예산 동서리, 아산 남성리, 대전 괴정동, 경주 등지에서 나타나고 팔주령 등의 청동방울류가 한반도 남부에 편중된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물론 이것이 문화권의 상정으로도 이해될 소지가 있지만 역시 교역의 범주에서 이해될 수 있다.

 두만강유역과 동해연안 청동기시대 주민들 사이에서 보급된 크고 작은 흰 연옥제 고리장식품은 이 지방의 청동기시대 주민들이 목단강 또는 송화강 유역의 주민들과 교환관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0445)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조선전사≫1:원시편(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217쪽.

 한편 북한학계는 상품생산과 교환발전의 초기에 집짐승, 짐승가죽, 쌀 또는 조개껍질 등의 물건이 일반적인 등가물로 나타난다는 점을 전제로 평안남도 및 황해남북도 지방의 신흥동유형의 주거지에서 발견되는 원판형 돌제품을 ‘돌돈’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제시하고 있다.0446)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위의 책, 218쪽.

 이같이 우리 나라 청동기문화 단계에서는 초보적이고 한정된 물품이기는 하지만 지역적 정착을 통해 자체 생산된 물품을 다른 지역과 교역하고 있었으며 이는 전쟁을 통한 약탈에 의한 물자확보와 달리 잉여물자의 평화적 분산과 교류라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청동기문화 단계의 이같은 농업생산에 의한 잉여와 이의 배분문제, 그리고 대외적 교역의 진행은 이를 조정하고 관리할 재분배자의 존재가 부각되게 된다. 요컨대 단위체의 사회경제적 양상의 변화에 따른 내외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구성원의 공동이익과 합의를 주도하고 이를 유지하게 하는 존재로서 권위에 기반한 재분배자인 君長의 출현을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0447)Service, E. R., Primitive Social Organization:An Evolutionary Perspective, New York, Random House, 1962.
金貞培,<君長社會 發展過程 試論>(≪百濟文化≫12, 公州師大, 1979;앞의 책, 1986).

<金貞培>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