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Ⅰ. 청동기문화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2) 사회
  • (3) 의식주생활

(3) 의식주생활

 우리 나라 전통문화의 原形은 바로 무문토기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의 원형을 쌀농사를 위주로 한 정착농경을 생계의 기반으로 하는 촌락공동체로 본다면 그 전형적인 패턴이 비로소 무문토기문화에서 나타나 청동기시대의 기간 동안에 완성되었다.

 한반도의 도처에 농경과 정착취락이 가능한 강변의 평야지대와 저구릉지대와 골짜기 사이사이의 저평한 대지 위에 이룩된 요즈음의 동족부락 공동체와 동일한 취락입지와 사회구조를 갖춘 사회의 원형은 바로 무문인들의 취락과 사회이다. 전통가옥인 초가집도 바로 무문인들의 장방형 수혈주거지에서 발전한 것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주거생활의 집락형태나 입지조건도 무문인들의 입지와 집락형태와 동일하며 따라서 과거 역사시대에 자연농경 취락이 자리잡았던 한반도 곳곳이 무문인들의 터전이라고 간주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정착 취락생활에서 요구되는 다종다양한 생활용기들의 기본형도 무문인들이 사용한 각종의 토기에서 대부분을 찾아볼 수 있으며, 비록 돌을 갈아서 만든 도구들이지만 웬만한 철제의 농기구와 목공구의 전신도 또한 무문인들의 마제석기에 나타나고 있다.

 사회생활의 측면을 보아도 농경생활이 요구하는 마을 단위의 협력체제와 공동 노동방식이 무문인들 때부터 시작하였으며, 따라서 고고학적인 자료의 제한과 부재로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생활상을 복원하기가 어려우나 그러한 청동기시대 이래의 우리 나라의 전통 농경생활 패턴을 염두에 두면 훨씬 가깝게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