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Ⅱ. 고조선
  • 3. 고조선의 문화와 사회 경제
  • 3) 고조선의 사회경제
  • (2) 경제성격

(2) 경제성격

 고조선의 교역의 증거는 단편적으로 보이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管子≫輕重甲편과≪國語≫에 나온 石弩歌를 들 수 있다.≪관자≫에서는 관자가 齊나라 재상인 桓公에게 주변지역의 주요 특산물인 7개의 보배를 언급하는 가운데 發朝鮮의 文皮를 들고 있다.342)≪管子≫揆道篇 및 輕重甲篇. 그것은 조선의 물품이 교역을 통해서 중국에 수입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고조선은 아니지만≪국어≫권 5, 魯語 下에는 공자가 고대의 肅愼이 西周 왕실에 진상한 石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進上’은 일반적으로 고대사회에 있어서 일종의 물자교역 즉 조공무역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증거들로 보아서 고조선시대에도 중국과의 교역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강상무덤에서 발견된 부장품 가운데 보배조개는 그 원산지가 동남아시아나 남부 중국의 아열대지방이어서 타지역과의 교역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이러한 단편적인 기록 및 고고학적 증거가 보이며, 본격적인 무역중심지의 역할은 위만조선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보여진다.

 위만조선은≪史記≫조선열전에서 보는 바와 같이 漢나라의 外臣이 되어 한으로부터 선진문물을 받아들였으며, 그리고 한과 한반도의 예·진국·衆國 등의 사이에서 무역을 통제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무역중심지 역할을 행한 것 같다. 이러한 무역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통해서 위만조선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위만조선이 무역을 통해서 국가의 발전을 이루었다는 것은 크게 2가지 증거로 알 수 있다. 첫째로 중국과의 조공관계, 두번째로 명도전의 존재를 들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