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9권 통일신라
  • Ⅲ. 경제와 사회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가. 남자

 머리장식은 頭飾과 冠帽로 나눌 수 있다. 남자의 머리 형태는 小人은 묶은 머리이고 大人은 상투머리형이었다.

 남자의 대표적 관모로는 幞頭와 弁이 있으나 禁制에는 복두에 대한 것만 나와 있다. 그러나 그 당시에 복두 외에도 다른 여러 종류의 관모를 사용하였을 것이다. 복두에 대해서는 그 만든 직물에 관한 금제가 있는데, 진골대등은 어떤 직물로 만든 복두든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었고, 6두품은 繐羅0581)매우 얇게 짠 고급 무늬비단.
참고로 색복지에 나오는 신라 직물을 귀중도에 따라서 그 대강을 열거하면 布-綿紬-絹-絁-紗-綾(中小文綾·小文綾)-羅(昇天羅·越羅·繐羅·野草羅·布紡羅·繡羅)-錦(繡錦)-罽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絁·絹0582)굵은 실로 성기게 짠 비단.·布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5두품은 羅0583)매우 얇은 비단.와 시·견·포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4두품은 紗0584)엷은 透織으로서 지극히 곱고 가벼운 비단.·시·견·포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평인은 견0585)매우 얇고 성기게 무늬없이 짠 비단.·포로 만든 것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복두의 모양은 唐制를 습용했을 당시에는≪宋史≫輿服志에 나오는 紗·羅 등의 직물로 만들어 下垂帶를 한 것과 같았으리라 추정된다. 그러나≪高麗圖經≫에 貴人의 복두는 兩帶이고 庶民은 四帶여서 서민은 양대복두를 보면 피한다고0586)≪高麗圖經≫권 19, 農商. 하였으므로, 고려시대 귀인은 이 兩脚이 옆으로 下垂한 복두를 착용하였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던 복두는 처음에는 뒤로 대를 내렸을 뿐, 옆으로 뻗치는 각이 없었던 것이다. 이것이 발전하여 고려시대·조선시대에까지 전승되었을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