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10권 발해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3) 신라협공계획 무산 후의 양국관계

3) 신라협공계획 무산 후의 양국관계

 일본과 발해의 신라협공계획은 발해의 도중 하차와 당을 중심으로 한 국제정세 및 일본 내부의 사정으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발해는 당의 안사의 난을 계기로 하여 변방의 요동 즉 이른바「小高句麗」지역에 신경을 쓰고 있는 처지여서 일본의 신라공격 제안에 대해서 끝까지 도울 수 있는 형편이 아니었다. 비록 당의 변방 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이었다고 하더라도 발해가 요동지역의 통치를 강화하고 아울러 신라를 공격하는 두 가지 정책을 동시에 수행하기에는 무리였던 것이다. 발해는 이미 일본에 파견하는 사신을, 문왕 대흥 23년(759)의 輔國大將軍 高南申·高興福을 끝으로 무관에서 문관으로 바꾸었다. 즉 대흥 26년에 일본의 사신파견에 대한 答聘으로 紫綏大夫 行政堂省左允 王新福을 파견한 이후 줄곧 문관만을 파견하여246)≪續日本紀≫권 22, 淳仁天皇 天平寶字 3년 및 권 24, 天平寶字 6년. 신라협공계획의 포기를 통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발해는 일본에 보내는 사신을 문관으로 바꿈으로써 일본의 혜미압승의 반란(764) 이전에 일본과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하려던 계획을 이미 포기하였던 것이다.

 발해가 일본과 함께 신라를 치려던 계획을 포기하게 된 또 다른 원인은 발해와 당의 관계개선이었다. 당과 발해의 완충지역에서 일어난 안사의 난을 평정하기 위하여 당은 발해의 도움이 필요하였고 발해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양국의 평화관계가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동아시아의 정세변화가 결국 발해의 신라공격계획을 포기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당의 발해에 대한 유화책은 안사의 난 이후 문왕 26년에 당나라가 발해왕을 ‘郡王’에서 ‘國王’으로 인정하였던 사실에247)≪新唐書≫권 219 下, 列傳 144, 北狄 渤海 寶應 원년.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발해측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신라공격계획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그 계획의 중심인물이었던 혜미압승이 건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孝謙천황과 淳仁천황 사이의 세력 분열이 심화되어 순인천황의 배후세력이자 신라 정벌계획의 입안자이기도 했던 혜미압승이 764년 반란을 일으켜 敗死하게 되자248)岸俊男, 앞의 책, 382∼417쪽
野村忠夫, 앞의 글, 102쪽.
일본도 신라 정벌계획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의 신라 정벌계획에 따른 발해와 일본 양국간의 우호관계는 758년 小野田守가 발해에 파견된 이후 763년의 板振鎌束의 파견까지 이어졌다. 이 기간에 일본은 5차례, 발해는 3차례 각각 상대국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특히 일본이 발해에 파견한 14차례의 사신들 중 이 기간에 파견된 사신들이 가장 빈번하게 왕래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교섭은 모두 발해가 일본에 먼저 사신을 파견하였다. 그 방식은 건국 초기와 같은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국 초기의 목적이 정치·군사적인 면이 강했다고 한다면, 그 이후의 것은 경제·문화적인 면이 강했다고 할 수 있다. 문관 중심의 사신들이 주로 파견되었기 때문이다.

次 數 出 發 時 期 年代 氏 名 散官, 位階 先,答 備 考
日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渤海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武王 仁安 9
 
仁安 10
文王 大興 3
 
大興 4
大興 16
大興 22
 
大興 22
大興 23
大興 23
大興 24
大興 25
大興 26
大興 27
大興 35
大興 36
大興 37
寶曆 3
寶曆 4
寶曆 5
寶曆 5
寶曆 6
大興 50
康王 正曆 2
正曆 3
正曆 5
正曆 5
正曆 6
定王 永德 1
永德 2
永德 2
定王 朱雀 3
簡王 太始 1
宣王 建興 2
建興 4
建興 6
建興 8
建興 10
彛震 咸和 12
咸和 19
大虔晃 3
大虔晃 4
大玄錫 1
大玄錫 6
大玄錫 12
大玄錫 21
大玄錫 24
大諲譔 2
大諲譔 14
727

728
739

740
752
758

758
759
759
760
761
762
763
771
772
773
776
777
778
778
779
786
795
796
798
798
799
809
810
810
814
818
819
821
823
825
827
841
848
859
860
871
876
882
891
894
907
919
高 仁 義(死)
首 領 高 齊 德
引 田 蟲 麻 呂
胥 要 德
已 珍 蒙
大 伴 犬 養
慕 施 蒙
小 野 田 守
楊 承 慶
楊 泰 師
高 元 度
高 南 申
陽 侯 玲 璆
高麗大山(死)
王 新 福
板 振 謙 束
壹 萬 福
武 生 鳥 守
烏 須 弗
史 都 蒙
高 麗 殿 嗣
張 仙 壽
大 網 廣 道
高 泮 弼
李 元 泰
呂 定 琳
御 長 廣 岳
藏 賀 茂 麻 呂
大 昌 泰
滋 野 船 白
高 南 容
高 南 容
林 東 人
王 孝 廉
慕 感 德
李 承 英
王 文 矩
高 貞 泰
高 承 祖
王 文 矩
賀 福 延
王 文 矩
烏 孝 愼
李 居 正
楊 成 規
楊 中 遠
裴 頲
王 龜 謀
裴 璆
裴 璆
裴 璆
寧遠將軍(武)

從 五 下
忠武將軍(武)
雲麾將軍(武)
外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歸德將軍(武)
外 從 五 下
輔國大將軍(武)
外 從 五 下
從 五 下
紫綬大夫(文)
正 七 位 下
靑綬大夫(文)
正 六 上

獻可大夫(文)
正 六 上
獻可大夫(文)
正 六 上


匡諫大夫(文)
五 六 上
外 從 五 下
慰軍大將軍(武)
正 五 上


從 六 上











慰軍大將軍(武)























































黑水靺鞨
(신라견제)
上同




新羅挾攻件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上同


































발해와 일본의 사신왕래표

<韓圭哲>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