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4. 일본과의 관계
  • 5) 경제적 교류
  • (1) 무역왜인의 종류

(1) 무역왜인의 종류

 일본측의 교역상대자는 단순교역을 목적으로 하는 흥리왜인과 외교사절의 명목으로 오는 사송왜인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조선정부의 통제책에 의해 모든 통교자는 사송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사송왜인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들의 주된 목적은 경제적 교역이었다. 따라서 일본측 통교자는 형태면에서는 사절이고 실제목적과 행위는 교역이라는 점에서「使送貿易人」이라 할 수 있다. 조선측으로부터 접대가 허용된 통교자는 일본국왕사·거추사·구주탐제사·대마도주사·수도서인·수직인과 기타 문인소지자로 한정되었다. 이전까지 자유롭게 도래하던 흥리왜인은 대마도주의 문인이 있어야 도항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측 통교자의 교역 양상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은 일본국왕사와 거추사로서 이들은 경제적 교역 이외에 문화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고, 동남아시아의 물산과 일본국내의 물품을 싣고 와서 조선의 佛典·麻布 등과 바꾸어 갔다.

 둘째 유형은 제추사로서 각지의 소호족·대마도주 일족·수직인·수도서인들이다. 이들은 대개 왜구의 잔류집단에서 상인적 성격으로 변모해 갔던 세력들로서 쌀·콩·목면 등 생활필수품을 얻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셋째 유형은 구주지방의 博多를 중심으로 하는 상인층이다. 이들은 태종 말기 내지 세종대 초기에 성행한 세력으로서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구해가는 정도가 아니라 국제적인 교역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당시 박다상인 宗金과 그의 아들 家茂 등은 대조선무역으로 대단한 부를 축적한「국제상인」이었다. 이 점에서 대마도의 대조선무역과는 성격이 다르며 통교시의 상품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져온 남방물산이 대부분이었다. 어떤 의미에서 보면 고려 중기 이래의 進奉船貿易體制가 이들에 의해 계승되고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섰다고도 할 수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