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Ⅴ. 교통·운수·통신
  • 5. 마정
  • 3) 목장의 발달과 실태
  • (2) 목장의 실태

(2) 목장의 실태

조선시대의 名馬 생산지로 이름난 목장은 함경도의 산이 깊고 풀이 무성하며 샘물이 좋은 都連浦(함흥), 馬郞耳島(흥원), 四訥島(문천), 末應島(영흥), 豆彦臺(단천) 목장과 평안도의 身彌島(선천), 大串(철산), 椵島(철산)목장 그리고 경기도의 鎭江場(강화), 煤音島(강화), 경상도의 絶影島(동래), @背串(장기) 목장 등이었다. 그 중에서도 북쪽의 도련포, 남쪽의 제주도목장은 우리나라의 冀北(중국 준마 명산지)이라 불리어 유명하였으며, 특히 제주도목장은 원나라 이래 명·청대까지 알려졌다.0940)≪宣祖實錄≫권 98, 선조 31년 3월 기유.
≪牧場地圖≫正色圖·進獻馬.
≪增補文獻備考≫권 125, 兵考 17, 馬政.

도련포목장은 沃沮가 자리잡았던 곳으로 神馬가 난다는 명산지인데, 李成桂가 그 곳에서 난 駿馬를 타고 조선을 건국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목장은 큰 들 가운데 있어 해마다 고을 백성을 동원하여 모래를 쌓고 목책을 세워도 홍수 때마다 떠내려가 숙종 35년(1709)에 사복시 제조 趙泰采가 그 대비책을 건의한 바 있으나 영조 이후 점차 부진해졌다.0941)≪增補文獻備考≫권 125, 兵考 17, 馬政.

제주도목장은 고려 충렬왕 2년(1276)에 몽고식목장을 설치한 이래 발달된 것으로 섬 전체가 목장으로 되어 15개소(뒤에 64)의 목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숙종 4년에 목자의 수는 1,386인(濟州牧 754인, 旌義縣 365인, 大靜縣 126인, 別牧場 141인)으로 전국 목자수(5,178인)의 약 4분의 1이 배치되고, 말은 전국의 반이 넘는 12,411필을 관리하고 있었다.0942)南都泳, 앞의 글(1969 b). 따라서 제주도의 마정기구는 다른 곳과는 다르게 濟州牧都安撫使知監事(牧使 겸임·정3품)-監牧官(濟州牧 判官 겸임, 大靜·旌義縣 縣監 겸임)-群頭-群副-牧子의 체제로서 운영되었다. 제주도의 말은 국내만이 아니라 중국 수출품으로도 유명하였다.

馬籍에 오른 제주도 각 목장의 말의 수는 세종 28년(1446)에 9,780필, 숙종 4년(1678)에 12,411필이었다. 마정이 발달하였던 성종 때는 약 20,000∼26,400여 필을 관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제주도 마필수를 전하는 문헌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의<표 8>과 같다.

한편 목장에서 생산된 말의 종류는 혈통·털빛·높이의 칫수·나이 등으로 분간하여 정해졌는데, 문헌상 그 이름은 약 90여 가지에 달하고 있다.0943)南都泳, 앞의 글(1977), 174∼177쪽. 원래 한국 고유의 말은 고구려·예 등에서 생산된 果下馬였다. 이 말은 높이가 세 자에 불과하여 이를 타고서 과일나무 아래를 달릴 수 있다하여 일컬어졌는데, 산을 오르는 데 편리하였다. 삼국·고려시대를 거치는 동안 우리나라에 북방마(중국·서역·몽고 말)가 전래됨으로써 다양한 말을 생산하게 되었다.

문 헌 명 濟州牧 大靜縣 旌義縣 別牧場 牛 島 기 타 합 계
世宗實錄 권 11
세종 28년 3월 1일
3,810 2,090 3,880       9,780
世 宗 實 錄 地 理 志 3,352 2,009 3,352       8,713
耽 羅 志 6,454 1,552 2,383       10,385
牧 場 地 圖 5,788 1,248 2,077 2,605 410 (28.3%) 12,411

<표 8>제주도 목장 마필수

조선시대의 명마는 먼저 태조가 개국할 때에 타고 다녔다는 여덟 필의 준마를 꼽을 수 있다. 첫째는 橫雲鶻으로서 여진산인데 元의 나하추(納哈出)를 패주시키고 홍건적을 토평할 때에 탄 것이다. 둘째는 淤麟靑으로 함흥산인데 兀剌[여진]를 빼앗고 왜구를 격퇴할 때 탄 것이다. 셋째는 追風烏로서 여진산이며, 넷째는 發電赭로서 안변산인데 장단에서 사냥할 때에 탄 것이다. 다섯째는 龍騰紫로서 단천산인데 해주에서 왜를 토평할 때에 탄 것이다. 여섯째는 凝霜白으로 제주산인데 압록강에서 회군할 때에 탄 것이다. 일곱째 獅子黃으로 강화부의 煤島산인데 지리산에서 왜를 토평할 때에 탄 것이다. 여덟째는 玄豹로서 함흥산인데 兎兒洞에서 왜를 격퇴할 때에 탄 것이다.0944)태조가 탄 8駿馬 기록은≪世宗實錄≫권 123, 세종 31년 3월 갑술조에 보이고 그 내력은≪增補文獻備考≫권 125, 兵考 17, 馬政에 자세히 전한다.

다음은 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탄 명마 12필을 들 수 있다. 첫째 靖世驃, 둘째 流霞騮, 셋째 梨花驪, 넷째 玉英虯, 다섯째 凌空鵠, 여섯째 逐風駒, 일곱째 薾雲馬离, 여덟째 騰霧豹, 아홉째 軼警鴻, 열째 翼飛龍, 열한째 載房麟, 열두째 照夜驥 등이다.0945)위와 같음.

그리고 명마로서 중국에 조공하는 말로 지정된 鐵靑駿·紫騮馬 등 正色馬 21종이 유명하였다.

조선시대의 전국 각 목장에서 관리하는 말의 수는 성종 때의 약 40,000필을 최고로 하여, 그 후 연산군 8년(1502)에 30,000필, 중종 17년(1522)에 20,000필로 감소하고 있다. 말이 가장 많이 번식하였던 때인 성종 원년(1470)의 상황을 살펴보면, 司僕寺가 제주도를 제외한 마필수를 13,599필로 보고하고 있고 또한 중종 17년에 特進官 高荊山이 성종 때의 총 마필수를 40,000여 필로 보고하고 있어, 이를 기준으로 제주도의 마필수를 정리하면 다음<표 9>와 같다.

목 장 명 소의 필수
필 수 비 교
목 장 명 고실 유실 범이 잡아
먹은 수
京畿道 江華府

長湍府
陽城縣
北 一 場
鎭 江 場
壺 串
槐 台 吉 串
331
1,302
340
 
49
122
30
 
6

8
 
 


101
忠淸道 泰安郡



瑞山郡
洪州牧
大 小 山
薪 串
知 靈 山
梨 山 串
安 眠 串
元 山 島
458

300
322
354
122
117

24
25
39
 





10
19

7
44
8
 

77



 
全羅道 靈光郡

康津郡
興陽郡

長興郡
海南郡
珍島郡
珍 山 下
古 耳 道
新 智 島
道 陽 串
折 爾 島
來 德 島
貢 原 串
知 歷 山
214
219
299
666
364

1,449
1,312
40
53
49
163
72

152
131



5



 
 




188

 
慶尙道 東萊府
固城縣

蔚山府
吾 海 也 項
末 乙 上 串
海 平 串
魴 魚 津
793
284
742
360
78
59
101
57



11
38


67
 
黃海道 瓮津郡
康翎縣
黃州牧
豊川府
昌 比 島
登 山 串
鐵 島
席 島
167
551
78
122
26
102

 



5

49
20
 
 
咸鏡道 端川府
北靑府
文川郡
豆 彦 台
羅 萬 北
反上四訥島
103
389
 
50
119
 
   

121
平安道 鐵山府

宣川府
定州牧
大 串
椵 島
身 彌 島
都 致 串
1,293
145
280
240
420
42
49
52
     
    소 계 13,599 2,221 45 252 487
  濟州島   26,401        
    총 계 40,000        

<표 9>전국 목장 마필수(성종대)

   시 대 별
도 별
전 기
성종 원년(1470)
후 기
숙종 4년(1678)
경 기 도
충 청 도
경 상 도
전 라 도
황 해 도
함 경 도
평 안 도
소 계
1,973(101)
1,556(77)
2,179  
4,523(188)
918  
491(121)
1,958  
13,599 (487)
1,387(581)
613  
1,488  
2,465  
340(314)
670  
992  
7,955(895)
574 <813>
167 <446>
484 <1,044>
927 <1,535>
95 <245>
197 <473>
359 <633>
 




濟 州 牧
旌 義 縣
大 靜 縣
別 牧 場
牛 島
기 타

소 계
 







26,401?  
 
5,788  
2,077  
1,248  
2,605  
410  
?  
12,128ⓐ 
12,411ⓑ 
12,258ⓒ 
2,017 <3,771>
649 <428>
429 <819>
867 <1,738>
174 <236>



 
총 계 약 40,000(487) 20,213(895) 숫말 6,739
암말 13,274

<표 10>전·후기 마필수 비교표

① ( )는 소,< >는 암말.
② 후기 제주도의 마필수는 기록마다 차이가 있다. ⓑ牧場地圖는 총 12,411필로 되어 있으나, ⓐ그 내역으로 기록된 濟州牧·旌義·大靜縣·別牧場·牛場의 마필수를 합치면 12,128필로서 283필이 부족하다.
③ 그리고 ⓒ牧場地圖는 전국 마필수를 20,213필로 하고 있어, 여기서 제주도를 제외한 마필수 7,955필수를 빼면 제주도 마필수는 12,258필이 되어야 된다. 이런 차이가 나는 세 수치를 모두 밝혔다.

조선 후기 숙종 4년의 목장지도에 의하면 말이 있는 목장이 50개소, 소가 있는 목장이 1개소로 감소되었다. 그 중 5,000필 이상인 목장은 1개소(濟州牧), 2,000필 이상 2개소(旌義縣, 別牧場), 1,000필 이상 1개소(大靜縣), 800필 이상 1개소(泰安 梨山串), 500필 이상 4개소(珍島 智力山, 順天 突山島, 瑞山 大山串, 宣川 身彌島), 기타는 400필 미만으로서, 총 마필수가 20,213필(그 중 숫말이 6,939필), 소가 895필(그 중 숫소가 212필)이었다. 이상<표 10>의 내용을 정리하면 위의<표 10>과 같은 비교가 가능하다.

그 뒤 마필수는 순조 5년(1805)에 8,337필,0946)≪增補文獻備考≫권 125, 兵考 馬政. 철종 9년(1858)에 10,137필,0947)≪日省錄≫권 156, 철종 9년 12월 무오. 그리고 고종 7년(1870)에 5,646필을0948)≪高宗實錄≫권 7, 고종 7년 12월 29일. 기점으로 계속 감소되어 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