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Ⅳ. 예술
  • 1. 음악
  • 3) 향악과 향악정재
  • (1) 향악기와 향악곡

가. 향악기

 고려의 향악기들이 거의 그대로 선초의 향악기로 전승됐음은 세종 12년(1430) 임금께 올린 儀禮詳定所의 상소문512)≪世宗實錄≫권 47, 세종 12년 3월 무오.에서 확인된다. 즉 그 당시 악공의 취재 때 언급된 거문고·가야고·향비파·젓대·장고·해금·당비파·향피리 등 8종의 향악기 중에서 당비파를 제외한 나머지 7종은 모두≪高麗史≫樂志에 기록된 향악기와 같다. 그런데 세종대의 향악기 중에서 해금·장고·당비파는 성종대에 이르는 동안 당악기로 분류되었다.≪악학궤범≫권 7의 향부악기도설에는, 거문고·가야고·비파·젓대·향피리·小管子·草笛 등 7종만이 향악기로 설명되어 있다. 세종대에 향악기로 취급되었던 해금·장고·당비파는 모두≪악학궤범≫에서 당악기로 도설되었는데,513)≪樂學軌範≫권 7, 唐部樂器圖說 杖鼓·唐琵琶·奚琴. 그 이유는 成俔이 악기의 역사적 유래에 따라서 세 악기를 분류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젓대 곧 대금의 도설에서는 “중금과 소금의 제도와 악보도 같다”514)≪樂學軌範≫권 7, 唐部樂器圖說 大笒.라고 했는데, 이것은 대금을 대표적으로 도설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금과 소금은 생략되었음이 확실하므로 고려 향악기의 뼈대를 이룬 三絃과 三竹이 조선 초기의 향악기로 모두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종대에 새로 나타난 향악기는 소관자와 초적인데, 세로로 잡고 부는 횡적의 일종인 소관자는 吹孔 1개와 指孔 3개짜리의 관악기였고, 초적은 목동들이 입에 넣고 불던 풀잎피리의 일종이었다.515)≪樂學軌範≫권 7, 小管子·草笛. 소관자와 초적은 조선초 궁중에서 많이 연주되어 영조 20년(1744)까지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나,516) 張師勛,≪韓國樂器大觀≫(문화재관리국, 1969), 219쪽.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한편 초적은 민간에서 草笒이라는 이름으로 전승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요컨대 조선초의 향악기는 고려 향악기의 기둥인 삼현과 삼죽의 전통을 그대로 전승하면서, 그 바탕 위에 소관자와 초적을 첨가시킴으로써 숫적으로 늘었다. 그러나 조선초의 향악기 중에서도 거문고·가야고·젓대·향비파·향피리가 대표적이었으므로, 조선초 향악도 고려의 향악을 거의 그대로 전승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