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2. 상업·수공업·광업의 변모
  • 4) 장시의 발달
  • (3) 장시의 시장권 형성과 상설시장화

(3) 장시의 시장권 형성과 상설시장화

 장시가 전국적으로 개설되고 장시를 거점으로 한 상품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장시의 시장권 형성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시장권의 형성이란 일정한 범위 내에서 4∼5개의 장시가 設場日을 달리하며 개시함으로써 해당 지역 내에서의 상품 거래가 항상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1028)韓相權,<18世紀末 -19世紀初의 場市發達에 대한 基礎硏究>(≪韓國史論≫7, 서울大, 1981), 225쪽.
李憲昶,<舊韓末 忠淸北道의 市場構造>(≪近代朝鮮의 經濟構造≫, 比峰出版社, 1989), 181쪽.
―――,≪開港期 市場構造와 그 變化에 관한 硏究≫(서울大 博士學位論文, 1990), I·III장.
―――,<朝鮮後期 忠淸道地方의 場市網과 그 變動>(≪經濟史學≫18, 1994) 참조.
이러한 모습은 16세기말부터 미약하게나마 보이고 있었다. 대체로 4∼5개의 장시들이 시장권을 형성하면서 근거리 지역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생산되는 물자도 유통·집하하고 있었다. 제주에서 생산된 미역이 전라도 지방에서 거래되기도 하는 등 각 지방에서 생산된 물품이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먼 거리에까지 운반되어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었던 것이다.

 장시의 시장권 형성은 장시의 신설이나 이설, 폐지, 設場日 변경 등 장시 내부의 질적인 변화와 상인들의 商圈 확대 등에 의해 더욱 확산되어 지역마다의 시장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부분의 장시는 5일장으로 통일되어 가게 되었고, 소규모 장시에 대한 대장시의 흡수 양상도 나타나게 되었다. 아울러 장시의 시장권 형성과 지역간 연계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중·소읍에서의 장시 신설이 증가하였다. 즉 대읍에서는 소규모 장시의 흡수에 따라 장시의 수가 감소하게 되었지만, 중·소읍에서는 장시가 늘어나게 되었던 것이다.1029)韓相權, 위의 글.

 장시의 지역적 시장권의 형성은 점차 전국적인 양상으로 변모되어 갔다. 이에 따라 物貨 유통이 활발한 교통의 요충지나 포구에는 대장시가 형성되거나, 상설 시장화하는 곳이 증가하게 되었다. 아울러 대도시 주변의 경제적 요지와 지방의 행정 및 상업 중심지에서는 장시들이 차츰 상설 시장화하고 있었다.

 이처럼 장시가 상설 시장화된 데에는 각지의 물화 집산지에 상설 점포인 鋪子가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던 점이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 같다. 포자는 관영과 민영의 두 가지가 있었던 바, 관영포자는 물화 유통뿐만 아니라 殖利 활동을 통해 지방 재정의 일부를 보충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1030)관영포자는 정책적 목적에서 설치된 때문이었는지 모르나 운영과정에서 많은 폐단을 남긴 채 결국은 폐지되었다. 민간인이 개인적으로 설치한 민영포자는 말할 것도 없이 상리를 취하여 부를 축적하기 위한 것이었다. 상업의 중심지에 광범하게 설치되었던 포자는 각 지방의 장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나아가 장시의 상설화를 촉진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장시가 상설 시장화되면서 경제적 중심지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종래의 정치·행정적인 기능과 성격을 지닌 전통적인 도시들과는 별개로 상업과 수공업 중심지의 도시들이 성장한 것이다. 이전에는 도시적 성격을 지니지 않았던 지역들이 장시의 발달과 상품 유통의 확대로 말미암아 상업의 중심지로 변모되어 간 것이다. 경기도 廣州의 沙坪場·松坡場, 安城의 邑內場, 交河의 恭陵場, 稷山의 德坪場, 南原의 邑內場, 平昌의 大化場, 黃州의 邑內場, 鳳山의 銀波場, 昌原의 馬山浦場, 博川의 津頭場, 德源의 元山場 등 전국의 15대 장시로 유명했던 지역이 그러하였다. 광주의 송파장 같은 곳은 명목상 5일장이었지만 매일 개설되어 서울 시전인의 상권을 능가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었다.

 장시의 상설 시장화는 4∼5개의 장시가 지역적으로, 나아가서는 전국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시장권의 형성을 더욱 축진시키게 되었다. 결국 개개의 장시가 매일 개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지역민의 입장에서는 장시가 상설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양상이었던 것이다.

<吳 星>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