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조선 시대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Ⅴ. 문학과 예술
  • 3. 음악
  • 1) 궁정음악의 전승과 변화
  • (8) 제향아악

(8) 제향아악

 임란 이후 회례아악은 영조대에 잠시 복원되었을 뿐이어서 조선 중기의 회례아악은 거의 유명무실한 형편이었다.0923)≪英祖實錄≫권 106, 영조 41년 10월 계축.

 반면에 중기의 제향아악은 초기와 마찬가지로 社稷, 文廟, 山川, 先農, 先蠶 등의 제사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그 아악곡은 다음<악보 9>와 같은 성종대의 祭樂0924)≪樂學軌範≫권 2, 時用雅部祭樂.을 그대로 썼을 것이다.

확대보기
<악보 9> 시용아부제악 황종궁
<악보 9> 시용아부제악 황종궁
팝업창 닫기

 조선 중기 제향아악의 편성도 초기에 비하여 상당히 축소된 것이다. 인조대의 편성은 登歌 22명, 軒架 20명, 文舞·武舞 각 36명으로 당시 종묘의 편성규모와 비슷하게 되었다.0925)≪仁祖實錄≫권 20, 인조 7년 6월 갑술.
≪增補文獻備考≫권 105, 樂人.
그리고 그것은 향후 정조대까지도 달라지지 않고 계속 이어졌다.0926)宋芳松,≪韓國音樂通史≫(一潮閣, 1984), 381쪽,≪춘관통고≫소재 악현참조.

 이 시대 제향아악의 등가는 앞 시대에 비하여 歌 24명이 4명으로, 琴·瑟이 각 6명에서 각 2명으로 감소되고, 管 등의 수종의 악기가 없어졌고, 또한 헌가는 編鍾·編磬 각 9架가 각 1가로 줄었고, 管·簫 등 각각 10명씩 담당하던 여러 관악기의 인원이 평균 2명으로 축소된 것이다. 조선 중기의 등가와 헌가악현은 아악편성의 최소 요건만을 갖춘 것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조선 중기 궁정음악의 여러 악곡들은 그 악곡내용에서 대체로 새로워졌다. 특히 제향악 외의 조회·연향 악곡들은 대부분 노래가 탈락한 기악곡의 형태로 바뀌게 되었고, 그러한 기악곡도 장단이 분명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분되는 발달양상을 보인다고 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