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2. 해외민족운동
  • 2) 러시아
  • (1) 러시아혁명 이전의 독립운동

가. ‘한일합병’ 반대운동

 1908년 여름에 과감한 국내진입을 감행하며 정점에 올랐던 연해주 의병운동은 1908년 가을에 들어서면서 침체상태에 빠졌다. 1909년 10월 안중근의사가 한국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처단한 이후 항일열기가 다시 고조되자 연해주 의병운동 지도자들은 재기를 도모하였다. 1908년 여름 연해주로 온 의병지도자 柳麟錫은 1908년 국내 진입 의병운동의 지도자였던 李範允과 崔在亨에게 서한을 보내어 의병운동을 다시 재개할 것을 요청하였다.354) 柳麟錫,≪義菴集≫1(경인문화사, 1973), 304·308쪽. 그러나 이범윤은 1908년 가을 이후 최재형·崔鳳俊 등 原戶人 지도자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고 있었고, 최재형은 이미 의병운동에서 손을 뗀 후≪大東共報≫운영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범윤은 안중근사건 이후의 고조된 反日 분위기를 적극 활용하여 북조선지역 공격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이범윤은 이승호와 함께 노보키예브스크(煙秋)에 의병본부를 설치하고, 지부 설립·자금모집과 무기구입에 나섰다. 북조선지방에서의 전설적인 의병활동으로 명망이 높았던 홍범도 역시 국내진공을 준비하고 나섰다.

 1910년 7월,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미주 국민회 기관지인≪新韓民報≫는 미국의 만주철도 중립화 제안을 무산시키기 위하여 일본이 러시아와의 협약체결을 서두르고 있으며, 러일범죄인 인도를 위한 조항을 포함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355)≪新韓民報≫, 1910년 7월 13일. 이러한 절박한 상황에서, 1910년 7월 8일, 유인석을 비롯한 이범윤·李相卨·李南基 등은 연해주 남부 지신허마을에 가까운 재피거우에서 十三道義軍을 조직하였다. 국내진입을 목표로 했던 십삼도의군은 국내의 13도에 걸쳐 자체 조직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13도의군에는 최근 국내로부터 망명해온 安昌浩·李鍾浩·李甲 등의 애국계몽운동계열 인사들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13도의군의 중심인물들은 유인석·이상설로 대표되는 근왕주의자들이었고 기호출신들이었다. 13도의군은 유인석과 이상설의 이름으로 고종황제에게 상소를 보내어 군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연해주로 와서 망명정부를 수립하고 독립운동을 지도할 것을 호소하였다.356) 尹炳奭,≪國外韓人社會와 民族運動≫(一潮閣, 1990), 178∼179쪽. 13도의군은 또한 블라디보스톡 일본총영사관에 대표를 보내어 ‘한일합병’의 불법성과 취소를 촉구하는 일본천황에게 보내는 500명이 서명한 항의서한을 전달하였다.357)≪大東共報≫, 1910년 8월 11일.

 일본의 한국병합 소식이 전해진 8월 23일, 200명의 한인들은 한인학교에 집결하여 聲明會를 결성하고, 유인석·이범윤·김학만·차석보·김좌두·김치보 등의 명의로 된 취지서를 배포하였다. 성명회는 또한 각국에 보낼, 일본의 불법적인 한국병합을 비판하는 항의서한에 서명할 사람들을 모집하였다. 그날 밤 50명의 청년들로 구성된 결사대가 조직되었고, 다음날 가담자는 1천명으로 늘어났다. 성명회는 영·불어로 작성된 항의서한에 중국과 러시아 지역 한인 8,624명의 서명을 첨부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영국·독일·네델란드·이태리·중국·러시아·미국 등 정부에 발송하였다.358) 尹炳奭,≪李相卨傳≫(一潮閣, 1984), 137∼145쪽.

 일본의 항의를 받은 러시아당국은 9월 13일 개척리를 포위하고 42명의 한인지도자들을 체포하였다. 이 가운데 김좌두·안한주·이규풍·권유상·이기·이치권 등이 10월 10일 이르쿠츠크로 추방되었다.359) 劉孝鐘,<極東ロシアにおける朝鮮民族運動:韓國倂合から第一次世界大戰の勃發まで>(≪朝鮮史硏究會論文集≫22, 1985), 142쪽. 이에 앞서 연흑룡주 총독은 9월 9일 ‘한일합병’을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하였다는 이유로≪大東共報≫를 개칭한≪大東新報≫에 대한 정간조치를 내렸다.360)≪新韓民報≫, 1910년 10월 12일. 10월 24일에는 이범윤이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문창범 측근들의 밀고에 의하여 체포되어 이르쿠츠크로 추방되었다.361)≪新韓民報≫, 1910년 11월 23일.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