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Ⅲ. 3·1운동
  • 4. 3·1운동의 영향과 의의
  • 2)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3·1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가. 자주독립의 민족정신

 3·1운동은 일본의 한국지배체제가 총독부 헌병경찰체제의 확립, 토지조사사업의 완성, 전면적인 지방행정구역 개편 및 面里체제 확립, 제1차 세계대전 승전국으로서의 일본의 위상강화, 제1차 세계대전의 특수 경기에 힘입은 일본 자본주의의 완성 등으로 가장 강고한 체제가 구축·기능하고 있었던 시점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이었다. 그에 비하여 우리 독립운동은 1910년대 해외 독립운동기지 개척 및 독립전쟁 준비라는 큰 방향의 전략이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破綻되고, 무력화된 속에서 독립운동지도자는 해외로 망명하여 대중과 십년 이상 분리되어 있었다.

 국내에는 3·1운동 발발 당시, 헌병경찰체제하에서 학교와 종교단체 이외의 모든 사회단체와 조직이 해체되어 조직적 역량이 미약하였다.

 이런 불리한 여건 속에서 어떻게 전 민족적인 3·1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은 불가사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3·1운동은 그 자체가 오랜 독립국가의 역사와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이 바탕이 된 독립정신과 불굴의 민족정신의 표상이다. 실제로 3·1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재판정에 섰던 수많은 무명의 지사들은 “4천년 문화국민이 어떻게 일본의 노예로 살 수 있는가”하며 당당하게 독립운동의 정당성을 밝혔다. 한국인의 독립정신은 3·1운동으로 응축되어 이후의 독립운동이 모두 여기에서 영감과 힘을 얻게 되었다. 이것은 한말 이래 일부 세력들이 근대화를 위해서라면 외세에 의지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 의존적 사고의 청산을 의미하기도 한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