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6. 학생운동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2) 2·8학생운동

 1919년 2월 8일 동경유학생들이 朝鮮靑年獨立團을 조직하고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재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YMCA) 강당에서<민족대회소집청원서>·<독립선언서>및<결의문>을 일본 귀족원·중의원과 각부 대신 및 각국 공사에게 우송하고, 오후 2시<독립선언서>와<결의문>을 낭독함으로써 2·8학생독립운동의 막은 올랐다.783)金成植,<日帝下 韓國學生運動史>(≪日帝下의 民族運動史≫, 高大 亞細亞問題硏究所, 1971), 137쪽. 이 운동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어날 수밖에 없는 몇 가지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이들 동경유학생들은 지적 소수자였으며 자기 나름대로 사상적 체계를 갖추고 있었던 계층이었던 것이다. 둘째 이들 유학생들은 서로간에 친선을 도모하고 학문을 서로 면려할 수 있는 조직체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단체가 1912년에 조직된 동경유학생 학우회였다. 셋째 1910년대 일본의 자유·민주주의적인 학풍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것을 들 수 있다. 조국인 한반도에서는 일제의 무단통치의 지배하에 사상의 자유가 없었지만 일본에서는 다이쇼데모크라시(大正Democracy)라고 하던 민본주의에 입각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가 팽배하고 있어서 동경유학생들도 이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것이다. 넷째 이들 동경유학생들은 웅변회·토론회 등을 통하여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의 강조를 주장하고 있었다. 다섯째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이 컸다. 1918년 1월 미국대통령 윌슨이 세계평화안으로 14개조를 미국의회에 제출하였는바 그 중에 민족자결론이 포함되어 있어서 약소민족에게는 복음과도 같았다.

 이상과 같은 배경 속에서 2·8학생운동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다음과 같은 2가지 기사를 알면서부터이다. 그 하나는 1918년 12월 1일자 영국선교사가 발행하던≪저팬 어드버타이져≫(Japan Advertiser)에 “미국에 거주하는 이승만·閔燦鎬·鄭翰景 3명이 한국민족대표로 한국독립을 제소코자 파리평화회의에 파견되었다”는 기사와 12월 15일자≪東京朝日新聞≫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이 독립운동자금으로 30만원을 모금하였다”는 기사였다. 이 두 가지 기사를 본 동경유학생들은 차제에 한국독립의 의지를 표명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고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1918년 12월 20일 동경 明治會館에서 열린 학우회 주최 망년회에서 민족자결주의에 의한 한국독립론이 주제로 거론되었으며 다음 날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개최된 동서연합웅변대회에서도 독립문제가 거론되었다. 드디어 1919년 1월 6일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학우회 주최 신년웅변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자리에서 독립선언을 위한 임시대책위원으로 崔八鏞(早稻田大 재학) 이하 9명을 선출하였다.784)이날 선출된 10명은 최팔용(早稻田大)·田榮澤(靑山學院)·徐椿(동경고등사범)·백관수(正則學院)·尹昌錫(靑山學院)·송계백(早稻田大)·李琮根(東洋大)·金相德(무직)·김도연(慶應義塾)·崔謹愚(동경고상)였다. 그러나 전영택이 신병으로 사퇴하고 이광수(早稻田大)와 金喆壽(慶應義塾)가 새로 위원으로 보선되어 대표위원은 11인이었다.

 이들 대표들은 정치적 결사로서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하고 이들의 이름으로<독립선언서>·<민족대회소집청원서>및<결의문>을 작성하기로 결의하고 문안작성은 李光洙에게 일임하였다. 이와 같이 작성된<독립선언서>원문과 결의문은 각각 600부씩 등사하였고 청원서는 1,000부를 인쇄하여 비밀리에 보관하였다.

 한편 독립운동을 유학생들만의 단독으로 감행하기보다는 국내와의 제휴를 모색하기 위하여 宋繼伯이<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국내에 들어와 玄相允·宋鎭禹·崔麟 등을 만나 독립운동에 관한 결의와 협조를 요청하였다.

 1919년 2월 8일 오후 2시 학우회 임원선거라는 명목으로 400여 명의 동경유학생이 모였다. 최팔용의 사회로 학우회장 白南奎의 개회사에 이어 白寬洙가<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金度演이 결의문을 읽자 장내는 흥분의 도가니로 화했다. 결의문의 만장일치 통과와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부르고 시위운동에 나서려고 하였으나, 이 집회를 예의주시하고 있던 일경에 의하여 해산당하고 30여 명의 학생들이 연행되었다. 그 뒤 이들 중 학생대표자 9명은 1920년 3월 모두 출옥하였다.78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학생운동>(≪독립운동사≫9, 1980), 135쪽.

 이상과 같이 2·8학생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었지만 그것이 가져다준 영향은 컸다. 적국의 심장부인 동경에서 항일운동을 학생들만으로 일으켰다는 것과<2·8독립선언서>에서 일제와의 영원한 血戰을 주장한 강력한 독립의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국내의 3·1운동과 3·5학생운동의 촉진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