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Ⅳ. 종교
  • 3. 불교
  • 2) 3·1운동과 불교계의 각성
  • (3) 불교의 자주화와 통일기관

(3) 불교의 자주화와 통일기관

 3·1운동 직후 불교계는 3·1운동에 큰 영향을 받으면서 일제의 사찰정책을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꾸준히 전개되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우선 불교의 종단을 자주적으로 설립·운영하려는 노력과<사찰령>철폐운동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리하여 이같은 움직임이 노정되면서 자주적인 종단의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통일기관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일제의 사찰정책을 부정하면서 대두되었기에 일제 및 친일주지층의 억압과 반발에 직면하였다.

 한편 이같은 정황의 추동은 일면 당시 본격화되었던 불교청년운동의 가시화로부터 가능하였다. 3·1운동 이전 임제종운동의 발발 당시부터 불교청년들은 전국적인 단체를 지향하였지만 좌절되었다. 그러나 3·1운동 직후 불교청년들은 전국적인 청년단체조직의 출범을 준비하여 1920년 6월경 조선불교청년회의 창립을 이끌어 냈던 것이다. 불교청년들은 당시 불교계 제반 모순과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점차 종단 건설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기존 연합제규의 보완을 통한 불교계 통일을 지향하였으나 일제가 그를 인정하지 않자, 더욱 본격적인 불교개혁에 나서게 되었다.321)金光植,<朝鮮佛敎靑年會의 史的 考察>(≪韓國佛敎學≫19, 1994). 그 개혁을 추진하려는 단체를 별동대로 만들었으니 그것이 바로 조선불교유신회였다. 당시 유신회의 강령이 현행제도의 타파와 통일기관의 건설에 있었음은 그를 예증하는 것이었다.

 조선불교유신회가 제기한 통일기관의 건설에 대한 논란은 1922년 1월의 30본산주지총회에서 본격화되었다. 그 총회에서는 격렬한 토의속에 새로운 통일기관인 朝鮮佛敎總務院의 설립을 결의하였다.322)≪동아일보≫, 1922년 1월 10일,<統一機關이 又問題>. 그러나 이 결의에 반발한 20여 본산이 있었기에, 총무원의 출발은 간단치 않았다. 한편 총독부 및 반총무원 진영은 총무원의 노선에 비판·반발하고 별도의 기관을 만들었으니 그것은 재단법인 朝鮮佛敎中央敎務院이었다.323)≪동아일보≫, 1922년 5월 28일,<中央機關은 敎務院>.

 이렇듯이 불교의 자주화를 기치로 내세우면서 통일기관인 총무원을 설립하였지만 일제 및 현실에 안주하려는 본산들의 반대로 완전한 의미의 불교계 통일은 큰 한계성을 갖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조선불교유신회에서는 보다 본격적인 일제의 사찰정책 부정을 위한 운동을 추진하였으니, 그것이<사찰령>철폐운동이었다. 즉 유신회에서는 전국의 승려 및 불교청년 2,284명의 동의를 받은<사찰령>철폐를 위한 건백서를 총독부에 제출하였다.324)≪동아일보≫, 1922년 4월 21일,<寺刹令의 弊端을 말하고>;1923년 1월 8일,<寺刹令撤廢에 對하여>. 그리고 불교통일운동의 틀을 정비한 교헌을 제정하려고 노력도 하였다.

 그러나 불교청년들의 이러한 노력은 즉각적인 성과는 나타나지 못하였다. 그것은 일제와 친일주지들의 반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친일 주지의 대표격인 용주사 주지 姜大蓮을 욕보인 鳴鼓逐出 사건은 그 와중에서 나왔다. 또한 총무원과 교무원이 대립하는 정황에서 나온 이른바 각황사문패 철거 및 부착사건에서 빚어진 충돌도 그 정황을 말하는 것이다. 총무원과 교무원의 대립은 1923년 내내 지속되었다. 그러나 당시 일제는 총무원에 참여한 본산에 압력과 조종을 가하여325)金淳碩,<1920년대 초반 朝鮮總督府의 佛敎政策>(≪한국독립운동사연구≫13, 1999), 95∼96쪽. 점차 총무원의 위세가 약화되었다. 마침내 1924년 3월경에 이르러서 총무원이 교무원에 합류하는 형태로 양 진영의 대립은 소멸되었다. 요컨대 교무원이 불교계를 대표하는 기관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무원은 불교사업을 추진하는 재단법인에 불과하였기에 불교의 자주화 및 통일기관의 지향과는 근본적으로 거리가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