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광복 전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신탁통치 논쟁과 좌우대립
  • (3) 좌익세력의 통일전선-민주주의민족전선

(3) 좌익세력의 통일전선-민주주의민족전선

 이처럼 우익진영이 신탁통치 절대 반대라는 명분으로 결집하자, 좌익진영도 이에 대응하여 모스크바 결정의 지지를 조직적으로 전개시켜 나갈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가 전개되기 이전에도 좌익진영은 미·소공동위원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국내 정치세력은 물론, 해외세력이었던 이승만 및 김구(임정) 계열과의 통일전선 형성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통일전선의 수립은 처음부터 쉬운 일은 아니었다.

 우익과의 통일전선 구축에 대해 좌익진영 내부에서조차도 노선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박헌영이 이끄는 조선공산당은 일제하 지주 및 자본가계급 전체가 민족해방운동에 동참하기는 고사하고, 제국주의적 수탈의 도구로 존재했기 때문에 그들 계급을 친일 민족반역자세력이라고 규정하면서 이들과의 합작을 반대했다. 그러나 여운형 등의 온건 좌익세력은 이와는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여운형은 이승만이나 임정세력은 제한적이나마 민족해방운동에 참여해 왔고, 그들과 국내의 반민족적 집단과는 별다른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들과의 통일전선 수립에 적극적이었다.

 이러한 내부적인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좌익진영은 우익진영의 정당들과 통일전선을 모색하였다. 1946년 1월 6일, 조선공산당·인민당·국민당·한민당 대표들의 비공식적인 회합이 있었고, 다음 날 7일에는 정식으로 4당 간담회가 열렸다. 4당 대표들은 민족통일의 필요성에 관해 의견일치를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 코뮤니케를 발표했다. 그러나 한민당과 국민당측이 ‘신탁통치’ 문제에 관한 이견을 이유로 이미 발표된 공동 코뮤니케를 파기한다고 선언함으로써 좌익과 우익을 망라한 통일전선의 구축은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조선공산당은 좌익진영만의 통일전선체 구성에 나서게 되었다. 1946년 1월 9일, 좌익진영의 29개 단체가 서울 YMCA 강당에 모여 민주주의민족전선 발기준비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발기준비위원회에서는 통일전선 결성에 관한 일체의 준비 공작을 공산당과 인민당에 일임하였다.188)양동주,<해방후 좌익운동과 민주주의민족전선>(≪해방전후사의 인식≫3, 한길사, 1988), 93쪽.

 좌익의 통일전선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의 결성대회는 1946년 2월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개최되었는데,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조선인민당·독립동맹·노동조합전국평의회·농민조합전국총연맹·청년총연맹·부녀총동맹·문학가동맹·과학기술단체 등 29개 정당, 사회단체와 각 지역의 사회단체가 참가하였다. 임정세력에서 이탈한 김원봉·성주식·김창숙·장건상 등도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적극 가담하였다. 결성대회는 좌익진영의 각계 각층을 대표하는 305명의 인사들로 중앙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아울러 47명으로 된 집행위원회도 두도록 하였다. 중앙위원은 각 단체의 조직원 비율에 따라 선거로 선출하였다. 사무국에는 사무국장(이강국) 아래에 조직부·선전부·문화부·재정부·기획부·조사부 등을 두었다.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조선민족의 완전한 독립 달성과 민주주의정권 수립을 위시하여 긴급한 민족문제에 이르기까지 조선민족의 현 단계에 부여된 역사적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규약 2조)” 조직되었고, 이를 위해 “민주적 여론과 요구를 총괄적으로 대표하고 민주주의의 공동적 투쟁본부와 정부수립에 있어서 수시로 의회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앞으로도 의회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고 단계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투쟁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 이것으로 볼 때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우익의 비상국민회의에 대항하기 위한 조선공산당·인민당·신민당 등의 결집체였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인적 구성으로 보아서는 조선인민공화국의 후신이라 할 수 있다.189)양동주, 위의 글, 136쪽.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