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세계사(3차)
  • Ⅲ. 동양 세계의 전개
  • 2. 중국 문화의 발전과 동서 문화의 교류
  • (2) 송대의 사회와 문화
  • 송대의 문화

송대의 문화

송대의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것은 목판 인쇄술의 발전 보급과 활발한 서적의 출판이었다. 이미 당 말부터 나타난 목판 인쇄는 송대에 이르러 크게 보급되어, 유교의 경전뿐만 아니라 불교의 대장경의 관판본과 사판본까지 만들어졌다. 특히, 북송 시대에 만든 아교 활자는 비록 실용성은 없었으나, 인쇄술 발달에 획기적인 공헌을 하였다.

송대의 학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은 성리학 또는 송학이라고 불리는 유학의 새 학풍의 성립이다. 성리학은 인간의 본성이나 우주의 원리를 찾아 내어서, 이를 바탕으로 정신의 수양과 윤리의 실천에 정진하려는 학문이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본성을 철학적으로 설명하려는 학풍은 훈고학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으며, 특히 불교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이러한 학풍은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 대성되었다.

한편, 송대에는 성리학의 연구뿐만 아니라 고전에 대한 비평도 자유롭게 되어, 4서를 5경과 더불어 유교의 경전으로 중요시하게 되었다. 또, 성리학에서 대의명분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북방 민족의 압박하에 놓였던 당시 중국 사회의 사회적 배경에서 오는 것이다. 주희는 공자가 지은 ‘춘추’에 의거하여 대의 명분을 논하고, 사마광이 지은 ‘자치통감’의 기사를 자료로 ‘자치통감강목’을 지어 그 신념을 밝혔다.

확대보기
주 희의 초상과 편지
주 희의 초상과 편지
팝업창 닫기

문학에 있어서는 시보다 문장이 발달하였으며, 구양수, 소식, 소철과 같은 문장가가 나왔다. 그런데, 송대 문학의 중요한 특색은, 일반 민중들도 이해하기 쉬운 구어체로 쓰여진 작품이 나왔다는 것이다.

악곡에 붙여서 부르는 장편시인 사와 구어체로 된 소설이 유행한 것은 종래의 귀족 중심의 문학으로부터 문학의 민중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남송 시대에는 잡극도 유행하였다.

그림에는 산수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산수미의 객관적 사실을 존중하는 북종화는 주로 궁중 작가의 작품인 원화에서 그 특색이 발휘되었고, 산수미의 주관적 표현을 즐긴 남종화는 문인과 승려 등의 묵화에서 그 특색이 나타났다. 또, 남송 시대에 이르러 판화가 발달한 것은 그림에 대한 취미가 민간에게까지 보급된 결과이다.

송대의 불교는 경전의 글귀에 의존하여 깊은 이론을 따지는 교종보다 참선 거동을 존중하는 선종이 발달하였다. 그것은 당 무종의 불교 탄압으로 교종이 불경의 주석서가 대부분 없어져 타격을 받은 반면, 그것을 필요로 하지 않은 선종은 타격이 적었기 때문이다.

한편, 도교는 송대에 이르러 혁신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유교의 경우와 같이 도교도 선종의 영향을 받아 교리의 철학적 연구가 심화되었는데, 특히 금이 통치한 화북 지방에서는 선종의 영향을 받은 도교가 발전하였다. 또한, 유⋅불⋅도의 3교 일치를 주장하는 추세가 뚜렷이 나타났다.

송대의 과학 기술의 발달은 볼 만하였다. 당대에서 초석, 황 및 목탄을 섞어서 만든 흑색 화약이 송대에 이르러서는 무기로 사용되었다. 자침이 남쪽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중국인들은 묘자리나 집터를 잡는 데 그것을 이용하여 왔다. 그 뒤 12세기에 이르러 수침반을 만들어 항해에 이용하였는데, 이는 아라비아 상인을 거쳐 유럽에 전달되어 현재의 나침반으로 개량되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송대에는 천문학적으로 결정된 남북과 자침이 가리키는 그것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유럽 인들은 15세기경에야 이것을 터득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