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4차(상)
  • Ⅱ. 중세 사회의 발전
  • 3. 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
  • (1) 무신 정권의 성립과 변천

(1) 무신 정권의 성립과 변천

무신 정변

인종의 뒤를 이은 의종은 일부 젊은 문신들과 더불어 향락을 일삼았는데, 왕의 향락이 거듭될수록 징발되는 농민의 재물과 노역은 증가하여, 민중은 더욱 도탄에 빠지게 되었다. 또, 문신들은 왕을 호위하는 무신들에게 항상 멸시와 조롱을 퍼부어, 무신들의 반감이 커졌다. 무신에 대한 차별이 지나친 데 불만을 품어 오던 무신들은, 의종 때 정중부,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켜, 문신들을 죽이고 의종을 폐하여 거제도로 귀양 보내고 명종을 세웠다(1170).

문신들의 이와 같은 급격한 몰락으로, 문신 중심의 정치 조직은 그 기능을 상실하고, 무신들이 집권하게 되었다. 무신들의 회의 기관인 중방(重房) 아래 장군방, 낭장방 등이 있어서, 이러한 기관들이 국정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나라의 정치는 중방을 장악한 정중부의 지휘 아래 움직였다.

무신들은 문신들이 지내던 고관 요직을 모두 차지하고, 사전과 노비를 늘렸으며, 또 사병을 두고 저마다 권력을 다투었다. 경대승이 정중부를 죽이고, 호위병을 둔 도방(都房)에서 정치를 하였으며, 그가 병사하자 이의민이 세력을 잡았고, 이의민은 얼마 후 최충헌에게 피살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

사회의 동요

무신 정변 이후 무신들이 정권을 독점하자, 명종 때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이, 다음에는 서경 유수 조위총 등이 중앙의 무신들을 공격하려다 실패하였다. 한편, 승려들이 무신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혼란은 다른 지방에까지 파급되었고, 마침내 천민과 농민들도 난을 일으켰다. 즉, 공주 명학소에서 일어난 망이, 망소이의 난, 전주 관노들의 난, 운문의 김사미 등 유민들의 난이 그것이었다.

그리고, 개경에서는 노비 만적이 난을 일으키려다 실패하였는데, 이러한 일은 문신 중심의 지배 체제가 무너지자 고려 사회의 모순이 노출된 당시의 사회 상태를 말해 주는 것이었다.

확대보기
민란도
민란도
팝업창 닫기

최씨 무신 정권

정권을 잡은 최충헌은, 처음에 정치를 개혁하고자 왕에게 10조의 시무를 올렸다. 즉, 토지 겸병을 막고, 왕실이 일부 승려들과 결탁하여 고리대업을 하거나 원당을 지어 재산을 사원에 도피시키는 일 등을 금해야 하며, 조세 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충헌의 시무 10조

1. 새 궁궐로 옮길 것.

2. 관원의 수를 줄일 것.

3. 농민으로부터 빼앗은 토지를 돌려 줄 것.

4. 선량한 관리를 임명할 것.

5. 지방관의 공물 진상을 금할 것

6. 승려의 고리대업을 금할 것.

7. 탐관 오리를 징벌할 것.

8. 관리의 사치를 금할 것.

9. 함부로 사찰을 건립하는 것을 금할 것.

10. 신하의 간언을 용납할 것.

그러나, 개혁의 주장과는 달리 최충헌은 정적을 타도하면서 세력을 잡자, 그의 토지와 노비를 늘려 광대한 농장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사병을 길러서 자기 세력을 확고히 하였다. 또, 민란이 그치지 않아 안정될 날이 없자, 도방을 두어 자기 신변을 경호하게 하였다.

한편, 문신들은 그들이 재산을 희사하고 기탁하였던 사원으로 피하였다. 이에 대하여 무신들이 사원을 탄압하자, 무신들과 승려들 사이에 충돌이 자주 일어났다. 왕실에서는 이름뿐인 왕권을 다시 회복하고자 최충헌을 숙청하려다가 도리어 명종, 희종 등 두 왕이 폐출당하였다.

최충헌은 따로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정적을 감시하고 숙청하면서 무단 정치를 단행하였다. 그 장관인 교정별감의 자리는 최씨 일가가 대대로 세습하였고, 도방과 삼별초는 이 정권을 유지하는 군사적 배경이 되었다.

최충헌의 아들 최우는 자기 집에다 정방(政房)을 두어 스스로 관리를 임명하여 정치를 마음대로 하였으나, 전날의 무신들과는 달리 문신들을 우대하였다. 이인로, 이규보, 최자 등이 모두 최우 집권하에서 활동한 문인들이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