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상)
  • Ⅲ. 중세 사회의 발전
  • 3. 중세의 사회와 경제
  • (4) 경제 활동의 진전

(4) 경제 활동의 진전

농업

농업을 국가 경제의 기반으로 하였던 고려는, 농민 경제의 안정이 국가 재정의 확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고려 전기에는 농민의 유민화, 민전의 상실, 전호로의 몰락 등을 막기 위한 권농 정책을 실시하였다. 농업 기술면에 있어서는 우경에 의한 심경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2년 3작의 윤작법이 보급되어 갔다. 심경법은 제초 작업에 큰 성과를 보여 휴경 기간의 단축과 생산력의 증대를 가져왔다. 한편, 비료로서 가축의 뒷거름이 널리 쓰여 땅힘을 높였다. 재배 품종은 주로 5곡과 채소류였다.

고려 후기에는 이암이 원의 농상집요를 소개, 보급한 것으로 보아, 농업 기술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공민왕 때 문익점이 목화씨를 들여옴으로써 종래의 베, 모시를 주로 사용하던 의생활에 대혁신을 가져왔다.

수공업

고려 시대의 수공업은 관청 수공업이 중심이 되었다. 관청 수공업에서는 주로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무기류와 귀족층의 생활 용품인 장식물, 도자기 등을 제조하였다. 특히, 고려에서는 공예를 중시하여 기술이 뛰어난 자들을 관청 수공업에 종사하게 하였다.

확대보기
청동 은입사 포류 수금무늬 정병
청동 은입사 포류 수금무늬 정병
팝업창 닫기

한편, 농촌 수공업에서는 가내 수공업이 중심이 되었다. 가내 수공업에서는 대체로 자급 자족을 위한 생활 필수품의 생산과 관청에 납부하기 위한 포목류의 생산이 중심이 되었다.

또, 천민들이 수공업에 종사하는 소에서는 공납을 위해 특수한 물품을 제조하기도 하였다. 이 밖에, 불교가 융성함에 따라 제지, 직포 등의 사원 수공업도 발달하였다.

상업과 금융

고려 사회는 농업 중심의 자급 자족 경제를 기본으로 하였으므로, 상업은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다만, 관청의 수요품과 왕실 및 귀족층의 생활품을 공급하기 위한 시전 상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을 뿐이다. 특히, 각종 생산물이 집중되는 개경에는 시장과 상점이 세워졌으며, 이러한 상행위를 감독하고, 물가 조절을 위한 경시서(京市署)가 있었다.

상품의 매매에 이용된 교환 수단은 대체로 곡물과 포였다. 그리고 쇄은이라 하여, 은을 무게로 달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환 수단은 간편하지 못하여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성종 때에는 철전인 건원중보를 주조하였으나, 고려가 자급 자족적인 농업 사회였기 때문에 널리 유통되지는 못하였다. 그 뒤, 숙종 때에 해동통보, 해동중보, 삼한통보, 활구(은병) 등을 주조하였으나, 역시 널리 유통되지는 못하였다.

확대보기
고려 시대의 화폐
고려 시대의 화폐
팝업창 닫기

한편, 귀족들에게 부가 집중되면서 고리대업이 행해졌다. 고리대업은 귀족, 사원 등에 의해 성행하였다. 생활이 빈곤했던 농민들은 고리대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 그들의 생활은 더욱 어렵게 되었다.

고리대업의 성행과 더불어, 기금을 만들어 그 이자로 사업 경비를 충당하는 보(寶)가 발달하였다. 보에는 학교 재단인 학보, 불경 간행을 위한 경보, 팔관회 경비를 위한 팔관보, 빈민 구제를 위한 제위보 등이 있었다. 이들 보는, 때로는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식에만 급급하여 농민들의 생활에 막대한 폐해를 끼치기도 하였다.

대외 무역

국내의 상업이 발전함에 따라 외국과의 무역도 활발해졌다. 예성강 어귀의 벽란도는 이러한 대외 무역의 발전에 따라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고려의 대외 무역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대송 무역이었다. 고려는 송으로부터 비단, 약재, 서적 등을 수입하였으며, 금, 은, 나전 칠기, 화문석 등을 수출하였다. 대송 무역은 벽란도를 기점으로 하여 북송 때에는 벽란도-옹진-산둥 반도-덩저우, 남송 때에는 벽란도-흑산도-밍저우의 통로가 이용되었다.

거란, 여진과도 무역이 이루어졌다. 거란은 은을 가지고 와서 식량, 문방구, 구리, 철 등을 수입해 갔고, 여진은 은, 모피, 말 등으로 식량, 철제 농기구 등을 바꾸어 갔다. 일본과도 무역을 하였으나, 송, 거란 등에 비해 그리 활발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아라비아 상인들도 수은, 향료, 산호 등을 가지고 송을 거쳐 고려에 들어와서 무역을 하였다. 이들의 고려 왕래로 고려(Corea)라는 이름이 서방에 알려지게 되었다.

확대보기
고려의 해외 무역
고려의 해외 무역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