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상)
  • Ⅳ. 근세 사회의 발전
  • 2. 근세의 정치와 그 변천
  • (2)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2)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사림의 대두

조선의 문물 제도가 정비된 성종 때를 전후로 하여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을 사림이라고 불렀다.

사림의 연원은 고려 왕실에 절의를 지켰던 정몽주, 길재 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길재는 고향인 선산에 은거하면서 많은 제자를 길러 냈다. 그 후, 김종직에 이르러 그 수가 부쩍 늘어나, 영남 일대에서 점차 큰 세력을 형성하더니, 뒤에는 그 세력이 기호 지방에까지 확대되었다.

확대보기
김종직의 글씨
김종직의 글씨
팝업창 닫기

그들의 가계는 대개 고려 말기의 향리로서, 과거나 군공 등으로 신분이 상승한 지방의 중소 지주 계층이었다. 또, 그들은 조상 전래의 사회⋅경제적 기반과 성리학적 소양을 발판으로 향촌 사회에서 지배 기반을 구축해 갔다. 동시에, 그들은 절의와 명분을 중시하여 세조의 찬탈을 불의로 간주하였다.

사림의 학풍은 사장(詞章) 중심의 관학과는 달리 경학에 치중하고,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성리학을 학문의 주류로 삼았다.

사림은 성리학 이외의 학문과 사상을 이단으로 배격하고, 중앙 집권 체제보다는 향촌 자치를 내세웠다. 그들은 도덕과 의리를 숭상하고, 학술과 언론을 바탕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추구하였다.

사림은 학문 활동을 통하여 그들의 의식을 굳히고 있었으나, 왕권이 강화되고 제도의 정비가 진척되던 조선 초기에는 그들의 뜻을 펼 수가 없었다. 그러나 성리학이 조선 왕조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를 굳히고, 향촌 사회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자, 사림은 중앙 정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이들은 3사에서 주로 언론과 문한을 담당하였다.

확대보기
이언적을 모신 옥산 서원
이언적을 모신 옥산 서원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사림파의 계보
사림파의 계보
팝업창 닫기

사림의 정치적 성장

성종 때부터 지방의 사림들이 대거 중앙의 정치 무대에 등장함으로써 훈구 세력과의 정치적 갈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성종은 훈구 세력의 일방적인 비대를 막고, 그들의 정권 독점을 견제하기 위하여 학식과 덕행을 겸비한 참신한 인재들을 발탁, 등용하였다.

이에 따라 사림들이 중앙 정계에 많이 진출하게 되었다. 새로 진출한 신진 사류들은 하나의 정치 세력을 형성하여, 당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훈구 세력과 대립하였다.

사림들이 현실을 비판하고, 그들의 주장을 펴게 된 데에는 훈구 세력이 지배하고 있는 현실 사회의 모순이 많이 드러난데다가, 훈구 세력이 권세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농장을 더욱 확대하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사림들의 세력 기반을 많이 침해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와 같이, 두 세력 사이에는 그들의 학문적, 정치적 입장의 차이에서 은연중에 대립의 형세를 자아내었다.

그리하여 연산군의 실정을 계기로 무오사화,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두 차례에 걸친 사화로 사림들은 커다란 화를 입었다. 그러나 중종 반정을 계기로 중용된 사림들은, 조광조를 중심으로 그들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급진적인 개혁을 꾀하였다.

확대보기
조광조의 글씨
조광조의 글씨
팝업창 닫기

조광조 등은 왕도 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량과(賢良科)를 실시하여 인물 중심으로 사림을 등용하였으며, 삭훈 문제를 내세워 훈구 세력을 제거하는 데 적극성을 띠었다. 또, 그들은 불교나 도교와 관련된 종교 행사를 폐지하고 공납 제도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하였으며, 향약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소학 교육을 장려하여 향촌 자치와 성리학적 윤리를 강화하려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은 사림의 사회적, 정치적 지위를 높여 주었을 뿐 아니라, 백성들의 여망에도 어느 정도 부합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정치적 경험이 부족한 사림들은 모든 개혁을 일시에 달성하려는 조급함을 드러내어, 마침내 반대파의 공세를 받게 되었다. 그리하여 기묘사화가 일어났다.

한편, 젊은 사림들이 물러난 뒤, 조정 권신들의 정권 다툼은 외척 간의 싸움으로 번져 명종 때 을사사화가 일어났다.

서원과 향약

되풀이되는 사화 속에서 사림들은 거듭 심한 타격을 받았다. 그리하여 사림 세력은 한때 크게 위축되었다. 그러나 향촌에 확고한 사회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이들의 세력은 서원과 향약을 토대로 발전하여 갔다.

단순한 교육만을 맡은 사학의 서재는 고려 말부터 있었으나,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를 겸한 서원은 중종 때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 그 시작이다. 이 서원은 이황의 건의로 소수 서원으로 사액(賜額)되고, 국가로부터 서적과 토지, 노비 등을 받아 경제적 기반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많은 서원이 여러 지방에 설치되었는데, 특히 이황과 그 제자들의 노력이 컸다.

확대보기
소수 서원
소수 서원
팝업창 닫기

서원의 확산은, 성리학을 깊이 있게 발전시키고, 학문과 교육을 지방으로 확대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사화를 통해 탄압을 받았던 사림들은 서원을 중심으로 학파 또는 정치⋅사회적 결속을 강화하여 다시 뜻을 펼 기반으로 삼았다. 또, 사림은 서원에 들어감으로써 양반의 지위를 보장받고, 국가의 각종 부담에서 면제되었다.

서원과 함께 지방에 있어서의 사림들의 지위를 강화해 준 것은 향약이었다. 조선 초기부터 군현을 단위로 유향소의 조직과 권능을 규정한 향규(鄕規)와, 재난과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에 상부 상조하는 각종 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 향촌 규약을 계승하고, 여기에 유교 질서에 입각한 삼강 오륜의 윤리를 가미하여 향촌 교화의 규약으로 발전시킨 것이 향약이었다.

따라서, 향약은 지역에 따라 그 성격이 조금씩 달랐으나,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덕목은, 좋은 일을 서로 권장하고, 잘못한 일을 서로 꾸짖으며, 올바른 예속을 서로 나누고, 재난과 어려움을 서로 돕자는 것이었다. 이러한 향약은 중종 때 조광조 등이 한때 실시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각지에서 개별적으로 시행되더니, 사림 세력이 중앙 정계에 자리잡던 16세기 후반부터 널리 보급되었다.

확대보기
이이의 해주향약
이이의 해주향약
팝업창 닫기

지방의 유력한 사림이 향약의 간부인 약정 등에 임명되었고, 일반 농민들은 이에 자동적으로 포함되었다. 그 결과, 사림들은 농민에 대하여 중앙에서 임명된 지방관보다도 더 강한 지배력을 행사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기반을 굳혀 갔다.

붕당 정치의 시작

여러 차례의 사화에도 불구하고, 서원 및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에 뿌리를 깊이 내렸던 사림들은, 그 세력을 확장하여 16세기 후반에는 중앙의 정치 무대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정치에 참여하려는 양반의 수는 더욱 증가하여 갔다.

이처럼, 정치에 참여하려는 양반의 수는 더욱 많아지는 데 반하여, 관직과 경제적 특권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획득하기 위한 양 반 상호간의 대립과 반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구나 양반들은 농⋅공⋅상업 등 생업에는 종사하지 않고, 평생을 학업에 정진하여 과거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려 하였기 때문에, 정치⋅경제적으로 균형을 이룬 양반 사회를 유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사림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여, 마침내 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한 이후부터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1) 구양수는 붕당론에서 선비들의 모임인 붕을 진붕과 위붕으로 구분하였다. 즉, 도를 추구하는 군자들의 모임을 진붕(眞朋), 이익을 탐하는 소인의 모임을 위붕(僞朋)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의 당인들은 자신들을 진붕이라 주장하면서 대립되는 당을 소인의 당으로 배격하였다. 붕당은 인사의 권한을 가졌던 이조 전랑의 자리를 두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크게 양분되면서부터 출현하였다.

붕당 정치는 처음에는 학문과 이념의 차이에서 출발하였으므로, 그 폐단이 크지 않았다. 오히려 정치의 활성화와 정치 참여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고, 정치 세력 간의 상호 비판과 견제의 기능도 가졌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리 민복보다는 자기 당파의 이익을 앞세우고, 이념보다는 학벌, 문벌, 지방 의식과 연결되어 국가 사회 발전에 지장을 주기도 하였다.

붕당은 왕권이 약화되고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면서 그 대립과 분열이 더욱 격화되었다. 붕당의 경제적인 토대는 각 지방의 농장이었으며, 인적인 토대가 된 것은 각 지방의 서원과 족당을 중심으로 한 사제 관계와 혈연의 결속이었다. 붕당 정치는 이러한 농장과 족당 및 학파를 기반으로 언론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