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Ⅲ. 민족의 독립 운동
  • 1. 독립 의식의 성장과 3⋅1 운동
  • (2) 항일 독립 운동의 추진

(2) 항일 독립 운동의 추진

항일 결사의 조직

우리 민족이 일제의 지배를 받았던 것은, 그들보다 근대화에 뒤졌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오랜 민족 문화와 전통에 바탕을 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 정신은, 독립 국가 건설을 기약할 수 있게 하였다. 을사조약의 체결을 전후하여, 전국적으로 치열하게 파급되었던 의병 전쟁과 애국 계몽 운동은 국권을 강탈당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일본군의 탄압이 가열화되자, 의병들은 국내에서의 활동을 계속하는 한편, 그 일부는 국외로 옮겨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면서 계속 무장 투쟁의 전통을 이어 갔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독립 운동은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비밀 결사 운동으로 변모되었지만, 도시의 중산층과 개화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들은 독립 의군부, 광복회, 조선 국권 회복단 등 수많은 항일 결사를 조직하고, 각종 선언문, 격문 등을 통하여 독립 사상을 고취시켰으며, 민족 문화의 우월성을 바탕으로 광복에 대한 희망과 신념을 불어넣어 주었다.

항일 결사 중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단체는 광복회였다. 광복회는, 국외에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기 위하여 각지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고, 아울러 친일파를 처단하여 국민에게 경각심을 높여 주었다.

또, 이러한 항일 결사는, 각지의 교육 기관 및 종교 단체 조직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 그리고 뜻있는 종교인들과 연결하면서, 조국의 광복을 위한 독립 운동을 폭넓게 전개하였다. 또, 식민지 경제 정책으로 착취당하던 농민, 노동자들과도 연결하면서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

국외의 애국 지사들은 국내의 독립 운동과 연결하면서 국외의 각지에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고, 그 곳에 이주하여 살고 있던 우리 동포 사회를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해외 독립 운동의 선구적 임무를 담당한 단체는 신민회였다. 신민회의 활동은, 당시 의병 전쟁과 함께 항일 운동의 큰 줄기를 이루었는데, 국내에서의 활동이 제약을 받게 되자, 국외의 독립 운동 기지 건설에 앞장 섰다.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은 간도와 연해주 등지에 한민족의 집단적 거주 지역을 개척, 확장하여 항일 독립 운동의 거점을 마련하고, 결정적인 시기에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기반을 이루는 데 그 뜻이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산업을 일으켜 경제적 토대를 이룩하고, 청소년을 모아 근대적 민족 교육과 군사 훈련을 강화하여 무장 독립 전쟁을 수행하려는 것이었다. 이 가운데 유명한 것은, 이회영, 이상룡 등이 설치한 간도의 삼원보와 이상설, 이승희 등이 세운 밀산부의 한흥동이었다.

확대보기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 운동 기지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 운동 기지
팝업창 닫기

이들 기지를 거점으로 서전 서숙, 신흥 학교 등 민족 교육 기관과 독립군 양성을 위한 무관 학교가 설립되었다. 아울러, 이상설과 이동휘를 정⋅부통령으로 하는 대한 광복군 정부가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 수립됨으로써(1914) 독립군의 무장 항일 운동의 터전이 마련되었을 뿐 아니라, 임시 정부 수립의 길을 열어 놓았다.

확대보기
서전 서숙
서전 서숙
팝업창 닫기

한편, 중국, 일본, 미국, 유럽 등지에도 독립 투사들이 망명하여, 그 곳의 한인 동포 사회를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추진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