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Ⅲ. 민족의 독립 운동
  • 4.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1) 국학 운동의 전개

(1) 국학 운동의 전개

식민지 문화 정책

일제는 정치적, 사회적 탄압과 경제적 수탈 못지않게 문화면에 있어서도 온갖 수단을 동원하는 통제 정책을 폈다.

먼저, 교육에서는 우민화 교육을 통하여 한국인의 황국 신민화를 꾀하였다. 이와 같은 목표에 따라, 우리 민족은 우리말 대신 일본어를 배우도록 강요당하였고, 각급 학교의 교과서는 그들의 침략 정책에 맞도록 편찬되었다. 그들은 사립 학교나 서당 등 민족주의 교육 기관을 억압하였고, 식민지 통치에 유용한 실업 기술 교육을 강요하였다.

확대보기
식민지 교육에 이용된 교과서들
식민지 교육에 이용된 교과서들
팝업창 닫기

중⋅일 전쟁 이후에는 더욱 혹독한 식민지 교육 정책이 실시되었다. 즉, 일제가 내세운 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황국 신민화와 같은 허황된 구호 아래 우리말 교육과 우리의 역사 교육은 일체 금지되었으며, 이에 항거하는 학교는 폐쇄당하였다.

한편, 한국인의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가 박탈되고, 일제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는 신문이 모두 폐간되었으나, 3⋅1 운동 이후 이른바 문화 통치에 의해 조선 일보, 동아 일보의 발행이 허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민족지들은 일제에 의해 기사가 삭제되거나, 정간, 폐간되고 언론인들이 구속을 당하는 등 온갖 박해를 받았다.

또, 우리의 민족사도 일제의 식민 통치를 합리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변조되어 갔다. 특히, 민족사의 근원이 되는 고대사 부문의 왜곡이 가장 심하여 단군 조선이 부정되었고, 한국사의 타율성과 정체성이 강조되어, 한국사의 자율성과 독창성 등이 완전히 외면당하였다.

종교 활동도 온갖 탄압을 당하였다. 일제의 크리스트 교 세력 분쇄 음모에 의해 소위 안악 사건, 105인 사건이 날조되었고, 3⋅1 운동 이후에는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독립 운동에 가담했다고 하여 체포, 투옥되었다.

불교에 있어서도 사찰령, 승려법 등이 제정되어 많은 탄압을 받았다. 천도교와 대종교 등의 민족 종교는, 일제의 간섭이 특히 심하여 활동의 자유가 크게 제한당하였다.

한글 진흥 운동

애국 지사들은 일제의 가혹한 탄압에 대항하여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3⋅1 운동 이후 이윤재, 최현배 등은 국문 연구소의 전통을 이어 조선어 연구회를 조직하고, 국어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들은 한글의 연구와 더불어 강습회, 강연회를 통하여 한글 보급에 노력하였으며, 한글이란 잡지를 간행하여 그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조선어 연구회가 조선어 학회로 개편되면서 그 연구도 더욱 심화되었다. 이 학회는, 한글 교육에 힘써 한글 교재를 출판하기도 했으며, 회원들이 각 지방을 순회하면서 한글을 보급하는 데 앞장 섰다. 조선어 학회가 이룩한 큰 성과 중의 하나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의 제정이었다.

확대보기
조선어 학회 회원들
조선어 학회 회원들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통일안
팝업창 닫기

한편, 조선어 학회는 우리말 큰사전의 편찬을 시도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성공하지 못하였다. 조선어 학회는 일제에 의해 독립 운동 단체로 간주되어 회원들이 체포, 투옥되었으며, 마침내 강제 해산되었다.

한국사의 연구

민족 문화를 수호하려는 노력은 한국사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즉, 일제에 의해 우리 민족사가 왜곡되고 부정적인 면만이 강조되자,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한민족의 기원을 밝히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을 강조하는 일련의 연구 활동을 전개하였다.

먼저, 박은식은 상하이에서 한국 통사(韓國痛史)를 저술하여 근대 이후 일본의 한국 침략 과정을 밝혔으며, 한국 독립 운동지 혈사에서는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투쟁한 한민족의 독립 운동을 서술하였다 그는 민족 정신을 혼(魂)으로 파악하여, 혼이 담겨 있는 민족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신채호는 주로 고대사 연구에 치중하여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등을 저술하여, 주체적인 한국사를 정리함으로써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그 밖에, 정인보는 조선사 연구 등의 저술을 통하여 식민 사관에 대항하였고, 문일평, 안재홍, 장도빈 등도 민족주의 역사학을 계승, 발전시켰다. 한편, 청구 학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어용 학자들의 왜곡된 한국학 연구에 반발하여, 이윤재, 손진태 등이 진단 학회를 조직하고 진단 학보를 발간하면서 한국학 연구에 힘썼다.

확대보기
민족주의 역사책
민족주의 역사책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