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Ⅲ. 민족의 독립 운동
  • 4.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2) 교육과 종교 활동

(2) 교육과 종교 활동

민족 교육

일제 침략하에서, 한국인의 초등 학교 취학률은 일본인의 6분의 1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급 교육 기관으로 올라갈수록 더욱 심하였다.

3⋅1 운동 이후, 일제 식민 통치의 변화로 교육 시설이 확장되었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일본인을 위한 교육 시설 확장인 것이며, 한국인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뿐만 아니라, 정규 학교에서의 교육은 철저한 식민지 교육으로서 한국인을 위한 민족 교육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민족 교육 기관으로 사립 학교, 종교 계통의 학교, 개량 서당, 강습소, 야학 등이 있었다. 이들 교육 기관은 비록 그 수가 적었지만, 민족 의식 앙양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확대보기
보성 전문 학교의 도서실
보성 전문 학교의 도서실
팝업창 닫기

민족 교육 운동으로 특기할 만한 것은 조선 교육회의 창설과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었다. 민족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한 인사들이 조직한 조선 교육회는 고등 교육 기관의 설립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은 3⋅1 운동 이후에 고조된 한국인의 고등 교육열이 구체화된 것으로, 우리 민족의 힘으로 민립 대학을 설립하려는 운동이었다. 그리하여 이상재를 대표로 하여 조선 민립 대학 설립 기성회가 결성되었고, 언론계를 비롯하여 사회 각계 각층의 호응 속에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일제가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한 후, 이를 구실로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탄압함으로써 중단되고 말았다.

종교 활동

일찍부터 애국 계몽 운동에 공헌해 왔던 개신교는, 국권 피탈 이후 경제, 사회, 문화 각 방면에 걸쳐 민족 운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일제로부터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일제 말기에는 신사 참배 운동을 거부함으로써 그 지도자들의 일부가 체포, 투옥당하기도 하였다.

한편, 천주교는 개화기 이래 전개해 온 고아원, 양로원 등 사회 사업을 계속 확대시켜 가면서 경향 등의 잡지를 통해 민중 계몽에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일부 천주교도들은 만주에서 항일 운동 단체인 의민단을 조직, 무력 투쟁에 나서기도 하였다. 또, 동학의 후신인 천도교의 지도자들은 제2의 3⋅1 운동을 계획하기도 하였다. 그 후, 천도교는 언론, 출판, 계몽 등 사회 운동을 전개하여, 민족 문화 발달과 수호에 크게 기여하였다.

자주 독립 선언문

존경하는 천도교인과 민중 여러분!

우리 대한은 당당한 자주 독립국이며, 평화를 애호하는 세계의 으뜸 국민임을 재차 선언합니다. 지난 기미년의 독립 만세 운동은 곧 우리의 전통적인 독립의 의지를 만방에 천명한 것이고, 국제 정세의 순리에 병진하는 자유, 정의, 진리의 함성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무력적인 압력으로 말미암아 우리의 자유와 평등을 주장한 자주 독립 운동은 가슴아프게도 꺾였습니다.…(중략)…우리의 독립을 위한 투쟁은 이제부터가 더욱 의미가 있고 중요합니다. 뜻 맞는 동지끼리 다시 모여 기미년의 감격을 재현하기 위해 재차 일어나, 끝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신명을 바칠 것을 결의하고 선언합니다.…(후략)…

천도교와 더불어 민족 종교의 양대 세력을 이룬 대종교는, 일찍부터 본부를 만주로 이동하여 민족 교육과 함께 무장 항일 투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 대종교도들은 1911년 만주에서 항일 무장 단체인 중광단을 결성하였으며, 3⋅1 운동 이후에는 이를 확대, 개편하여 북로 군정서를 설립하여 무장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다.

호국 불교의 전통을 이어 온 불교계도 3⋅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한용운 등은 한국 불교를 일본 불교에 통합하려는 총독부의 정책에 과감히 맞서서 민족 종교의 본연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한편, 박중빈은 원불교를 창시하고, 개간 사업과 저축 운동을 전개하여 민족의 자립 정신을 키워 갔으며, 남녀 평등, 허례 허식의 폐지 등 새생활 운동을 전개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