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6차(상)
  • Ⅴ. 근세 사회의 발달
  • 2. 근세의 정치적 변화
  • (2)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2)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사림의 대두

조선의 문물 제도가 정비된 성종 때를 전후하여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을 사림이라고 불렀다.

사림들은 정치 무대에 등장하면서, 훈구 세력과 대립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정치 명분과 폭넓은 지지 세력, 사림 스스로의 사회⋅경제적 기반을 통해서 나름대로의 정치력을 발휘하였다.

영남, 기호 지방에 근거하여 성장한 이들 사림은 성리학의 철학과 문학, 사학을 연구하면서 독자적인 학문 영역을 개척하였다. 그리고 훈구 세력의 사장적 학풍과는 달리 경학을 중시하고, 인간의 심성을 연구하는 성리학을 학문의 주류로 삼았다.

사림은 성리학 이외의 학문과 사상을 이단으로 배격하고, 중앙 집권 체제보다는 향촌 자치를 내세웠다. 그리고 사림은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강조하였다. 이들은 3사에서 언론과 문필직을 담당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사림의 정치적 성장

사림은 성리학을 학문의 주류로 삼고, 경제적으로는 지주로서 자립하여 지방에서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굳히고 있었다. 동시에 사림은 과거를 통해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훈구 세력들의 비행을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적 이상을 내세웠다.

성종도 이와 같은 사림들의 주장에 동조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하면서 정치 운영에서 나타나는 모순과 부작용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사림은 국가 재정의 확보와 사림 자신들의 경제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훈구 세력의 대토지 소유를 비판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국왕과 이해를 같이하면서, 사림의 정치력은 강화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의 실정을 계기로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의 대립은 무오사화, 갑자사화로 나타났고, 두 차례의 사화로 사림은 큰 피해를 입었다.

중종 반정 후 사림은 다시 중용되어, 조광조를 중심으로 그들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조광조 등 사림파는 왕도 정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현량과를 실시하여 사림을 등용하였으며, 불교, 도교와 관련된 종교 행사를 폐지하고 유교식 의례를 장려하였다. 그리고 소학 교육을 통한 유교적 가치관의 생활화와 향촌 자치를 위한 향약의 전국적 시행을 추진하였고, 공납제의 폐단을 시정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개혁의 추진은 훈구 세력의 반발을 초래하여 기묘사화가 일어나 또다시 많은 사림이 희생되었다. 이와 같은 정치적 갈등 속에서 유학의 명분과 현실적 이해 관계가 얽혀 다양한 정치 세력이 나타나게 되었다

확대보기
사림의 계보
사림의 계보
팝업창 닫기

서원과 향약

사림은 지주적 경제 기반과 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끈질긴 생명력을 가졌다. 그들은 지주 경영을 통해서 자신들의 경제 생활을 유지하고, 서원을 토대로 학문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리하여 향촌 사회에서 사림의 권위가 존중되어 갔다.

중종 때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을 시작으로, 각 지방에 많은 서원이 설립되었다. 선현을 받들고 교육과 연구를 하던 서원은 향교와는 달리 각기 다른 사람을 제사 지냈으며, 그 운영에서도 독자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서원은 사액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중앙 정부와 연계되기도 하였다. 이황의 건의로 소수 서원으로 사액된 백운동 서원의 경우, 국가로부터 서적, 토지, 노비 등을 받았다.

확대보기
소수 서원(경북 영주)
소수 서원(경북 영주)
팝업창 닫기

서원은 개성 있는 학문을 발달시켰으며, 지방 유학자들의 사회적 위상을 높여 주었다. 때로는 중앙의 성균관과도 학문적으로 대등하다는 긍지를 가지게 하였다.

확대보기
옥산 서원(경북 경주)
옥산 서원(경북 경주)
팝업창 닫기

서원과 함께 지방 사림들의 지위를 강화시켜 준 것은 향약이었다. 조선 초기부터 군현을 단위로 유향소의 조직과 권능을 규정한 향규(鄕規)와, 재난과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상부 상조하는 각종 계가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 향촌 규약을 계승하고, 여기에 유교 질서에 입각한 삼강 오륜의 윤리를 가미하여 향촌 교화의 규약으로 발전시킨 것이 향약이었다.

따라서, 향약은 지역에 따라 그 성격이 조금씩 달랐으나,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덕목은, 좋은 일을 서로 권장하고, 잘못한 일을 서로 꾸짖으며, 올바른 예속을 서로 나누고, 재난과 어려움을 서로 돕자는 것이었다.

이러한 향약은 중종 때 조광조 등이 보급에 힘썼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각지에서 개별적으로 시행되다가, 사림 세력이 중앙 정계에 자리잡은 16세기 후반부터 널리 보급되었다.

지방의 유력한 사림이 향약의 간부인 약정 등에 임명되었고, 일반 농민들은 이에 자동적으로 포함되었다. 그 결과, 사림들은 농민에 대하여 중앙에서 임명된 지방관보다도 더 강한 지배력을 행사하면서 그들의 사회적 기반을 굳혀 갔다.

확대보기
이이의 해주 향약
이이의 해주 향약
팝업창 닫기

붕당의 출현

여러 차례의 사화에도 불구하고, 서원 및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에 뿌리를 깊이 내렸던 사림들은, 그 세력을 확장하여 16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중앙의 정치 무대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정치에 참여하려는 양반의 수는 더욱 증가하여 갔다.

이처럼, 정치에 참여하려는 양반의 수는 더욱 많아지는 데 반하여, 관직과 경제적 특권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획득하기 위한 양반 상호간의 대립과 반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사림 세력이 급격히 성장하여, 마침내 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한 이후부터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

붕당은 인사의 권한을 가졌던 이조 전랑의 자리를 두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크게 양분되면서부터 출현하였다. 붕당은 처음에는 학문과 이념의 차이에서 출발하였으므로 그 폐단이 크지 않았다. 오히려 정치의 활성화와 정치 참여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으며, 정치 세력 간의 상호 비판과 견제의 기능도 가졌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리 민복보다는 자기 당파의 이익을 앞세우고, 이념보다는 학벌, 문벌, 지연과 연결되어 국가 사회 발전에 지장을 주기도 하였다.

붕당은 왕권이 약화되고 정치 기강이 문란해지면서 그 대립과 분열이 더욱 격화되었다. 붕당의 경제적인 토대는 각 지방의 농장이었으며, 인적인 토대가 된 것은 각 지방의 서원과 족당을 중심으로 한 사제 관계와 혈연의 결속이었다. 붕당 정치는 이러한 농장과 족당 및 학파를 기반으로 언론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확대보기
조광조의 글씨
조광조의 글씨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