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4차(하)
  • Ⅲ. 일제 침략과 독립 투쟁
  • 3. 3⋅1 운동

3. 3⋅1 운동

〔학습 개요〕

우리 겨레는 일제의 헌병 경찰 통치하에서 억압을 받으며 토지를 빼앗기는 한편, 식량 공급지로서의 수난을 받고 있었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빼앗긴 주권을 되찾기 위한 독립 운동을 국내외에서 전개하였다.

이전의 항일 운동은 의병 항쟁으로 대표되는 무력 투쟁과, 개화 운동 및 실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애국 계몽 운동의 두 가지 흐름으로 전개되었으나, 일제의 식민지 지배 이후로는 양상이 달라졌다. 국내에서는 비밀 지하 운동으로 전개되었고, 국외에서는 무장 항일 운동이 중심이 되어 전개되었다.

이러한 독립 운동이 집약되어 거족적인 민족 운동으로 나타난 것이 3⋅1 운동이다.

학습 문제

1. 일제의 침략으로 나라가 기울어졌을 때, 우리 겨레는 어떻게 이를 극복하려 하였을까?

2. 국외에서의 독립 운동은 어떠한 방법으로 전개되었을까?

3. 3⋅1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4. 3⋅1 운동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비밀 결사

일본의 무단적인 지배하에서도 우리 겨레의 항일 독립 운동은 줄기차게 전개되었다.

민족 운동의 한 갈래로 무장 항쟁을 계속해 온 의병 세력은 1910년 이후 약화되었으나, 1915년까지도 국내 각지에서 투쟁을 계속 펴 나갔다.

의병의 활약상
연도 무장한 의병 수(명) 일본군과의 교전 횟수
1907 44,116 323
1908 69,832 1,451
1909 25,763 898
1910 1,891 147
1911 390 50
1912 70 13
1913 45 5
이 자료는 일제측의 통계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규모가 컸다.

특히, 임병찬은 각 지방의 의병, 유생과 함께 대한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고, 독립 운동을 전국적으로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한국 민족이 일본의 통치에 항거하면서 국권 회복을 위해 투쟁하고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려 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는 체포되어 순국하고, 대한 독립 의군부는 해산되고 말았다.

이와 같이, 의병 활동은 강력한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국내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잃었다. 이에, 의병 세력은 한⋅만 국경이나 간도, 연해주로 건너가 새로운 독립 운동의 기지를 건설하고, 군사 학교를 세워 독립 투사를 양성하는 등 장기적인 항전 태세를 갖추었다.

민족 운동의 또 하나의 갈래로서 한말의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던 세력은, 국내 각지에서 많은 사립 학교를 세우고, 야학과 강습회 등을 통하여 민족 의식을 일깨워 독립심을 북돋웠다. 또, 비밀리에 신민회와 같은 조직을 통하여 독립 운동을 펴기도 했다.

그러나, 일제는 이러한 민족의 독립 운동을 탄압하기 위하여, 안명근 사건이나 105인 사건 등을 꾸며 우리 민족의 지도자를 투옥, 감금하는 등 갖은 악랄한 수단을 다 하였다. 이러한 일제의 탄압으로 우리의 민족 운동은 비밀 지하 운동의 형태로 추진되어 갔다. 따라서, 많은 비밀 지하 운동 단체가 만들어졌으나, 서로 연결이 되지 못한 채 독자적으로 항일 운동을 펴면서 민족 운동의 명맥을 이어 갔다.

이들 비밀 단체 중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했던 것은 대한 광복회였다. 군대식으로 조직된 대한 광복회는, 독립 운동에 필요한 군자금을 모금하고, 친일파를 암살하면서 활동을 펴 나갔다.

대한 광복회 회원의 서약문

오인은 대한의 독립된 국권을 광복하기 위하여 오인의 생명을 희생에 제공함은 물론, 오인이 일생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시에는 자자손손이 계승하여 수적 일본을 완전히 구축하고 국권을 광복하기까지 절대 불변할 것을 천지 신명께 서고함.

그 밖에, 조선 국권 회복단, 조선 국민회, 자립단 등 비밀 지하 운동 단체들이 활동하였다. 특히, 조선 국권 회복단은 단군을 받들고 신명을 바쳐 국권 회복 운동을 전개할 것과, 만주와 연해주에서 전개되는 독립 운동과 연결하여 대규모의 항일 운동을 펼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3⋅1 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활동을 계속하였다.

해외의 독립 운동

1910년을 전후하여 우리 민족의 독립 운동은 국내외에서 활발히 펼쳐졌다. 국외에서는, 우리 한국인이 살고 있는 곳이면 어디를 불문하고 크고 작은 독립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 중에서도 만주와 연해주는 독립 운동의 주요 근거지였다.

만주는 을사조약 이후 많은 민족 운동가들이 건너가면서 민족 독립 운동의 온상지가 되었다. 만주에서의 독립 운동은 구국 교육 활동과 무장 독립군 활동, 그리고 독립 운동 기지 건설 등으로 나타났다.

구국 교육 활동으로서는 이상설의 서전 서숙(후에 명동 학교로 개명), 윤세복의 동창 학교 등 많은 학교가 세워져, 일본의 야만적인 침략 행위를 폭로하면서 국권 회복을 위한 실력을 양성하였다. 한편, 국내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지자 만주로 이동한 의병 부대는, 각기 적당한 곳에 주둔하여 부대를 재편성하고 군사를 훈련하는 한편, 국내로 들어와 일본군과 유격전을 펴기도 하였다.

또, 국내의 지도자들이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 운동 기지 건설에 힘썼는데, 이에 앞장 선 것이 신민회였다.

이들은 국외에서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 투쟁에 가담할 것을 기약하였는데, 가장 대표적인 곳이 간도의 삼원보였다. 이상룡, 이회영, 이시영 등은 이 곳에 경학사, 신흥 무관 학교를 세우고 군사 훈련을 실시하여, 독립군의 기간 요원을 양성하였다.

한편, 시베리아의 연해주도 어느 곳 못지않은 강력한 독립군 활동의 기지로서, 교육, 언론, 계몽을 통한 독립 운동이 점차 활발하였다. 여기서도 여러 곳에 학교가 세워지고, 신문이 간행되었다. 특히, 무력 항쟁을 목적으로 대한 광복군 정부가 조직되어 이상설이 정통령에 취임하고, 사관 학교를 세워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한편, 중국이나 미국에 거주하는 동포들도 독립 운동을 벌여 나갔다. 중국에서는 신규식의 활동이 활발하였고, 신한 청년단에서는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한인 국민회 등의 단체를 조직하고 민족 운동을 폈으며, 군인 양성 운동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국외에서의 광범한 민족 운동은 일본에서도 진행되었다. 이 곳에서는 주로 유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추진되었는데, 학우회, 친목회, 동창회 등의 이름을 내걸고 조직된 학생 단체들은 수시로 강연회, 웅변회, 체육회 등을 개최하여, 유학생들의 단결과 애국 독립 사상 고취에 힘을 기울였다. 이러한 일본 유학생들의 활약은 본국의 독립 운동에 자극제가 되기도 하였다.

3⋅1 운동

일제의 무단적인 식민지 지배하에서도 끈기 있게 민족 독립 운동을 펴 나가던 우리 민족은 거족적인 3⋅1 독립 운동을 일으켰다(1919).

3⋅1 독립 운동은, 국권을 상실하고 일제의 강압적인 지배하에서 10년이 지나는 동안 끊이지 않고 이어져 오던 여러 갈래의 독립 운동이 하나로 뭉쳐, 거족적인 독립 운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날 무렵, 민족 자결주의에 입각한 평화 원칙이 미국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민족 자결주의는 제국주의 강대국의 지배를 받던 약소 민족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일본 토오쿄오의 유학생들은 이러한 세계사의 새 흐름을 먼저 알게 되어, 이 때를 우리 민족의 자결권을 주장하고 조국 광복을 이룩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 선언서와 결의문을 발표하였다(1919. 2. 8.). 2⋅8 독립 선언은 3⋅1 운동의 도화선의 구실을 하였다.

당시, 우리 나라 안에서는 일제의 탄압으로 모든 사회 단체가 해산되었으나, 종교 단체와 학교는 단체적 조직을 가질 수 있었다. 이미 1918년 말부터 국내의 종교계 지도자들은 세계 정세와 국내의 움직임으로 보아 이 때를 독립 운동을 일으킬 시기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침 토오쿄오의 2⋅8 독립 선언은 이러한 움직임을 촉진시켰다.

그리하여, 천도교, 크리스트 교, 불교 등의 종교 단체가 결합하여 거족적인 독립 운동을 펴고, 학생들은 거리에서 민중을 이끌고 독립 만세 운동을 펴기로 하였다.

마침내 1919년 3월 1일, 33인의 민족 대표 이름으로 된 독립 선언문을 낭독하고, 이어서 서울 시민들은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독립 만세를 외치며 일대 시위를 했다. 독립 만세 운동은 즉시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하얼삔, 간도, 하와이 등 우리 겨레가 사는 곳이면 세계 어디에서나 일어났다.

확대보기
3⋅1 독립 선언서 낭독(파고다 공원의 부조물)
3⋅1 독립 선언서 낭독(파고다 공원의 부조물)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3⋅1 운동 때 만세 부르는 시민들
3⋅1 운동 때 만세 부르는 시민들
팝업창 닫기

공약 3장

1. 금일 오인의 차거는 정의, 인도, 생존, 존영을 위하는 민족적 요구이니, 오직 자주적 정신을 발휘할 것이요, 결코 배타적 감정으로 일주하지 말라.

1. 최후의 일인까지, 최후의 일각까지 민족의 정당한 의사를 쾌히 발표하라.

1. 일체의 행동은 가장 질서를 존중하여, 오인의 주장과 태도로 하여금 어디까지든지 광명 정대하게 하라.

처음 독립 만세 운동을 계획하고 추진한 것은 종교 단체와 학생 조직이었으나, 전국적이고 거국적인 투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거의 전 민족이 가담하였기 때문이었다.

3⋅1 운동은, 온 민족의 독립 결의를 국내외에 선언한 평화적 투쟁이요, 침략자 일제로부터 우리의 독립을 되찾기 위하여 세계 만방에 호소하는 독립 만세 시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헌병 경찰과 군대까지 동원하여 야만적인 무력 탄압을 가하였다. 유관순의 순국, 수원 제암리의 무차별 학살 사건 등 일제의 포악한 무력 탄압으로 인한 사상자는 2만여 명이 넘었으며, 3개월 동안에 감옥에 갇힌 사람만도 5만여 명이나 되었다.

확대보기
수원 제암리 교회 학살(파고다 공원의 부조물)
수원 제암리 교회 학살(파고다 공원의 부조물)
팝업창 닫기

3⋅1 운동의 의의

3⋅1 운동은 일제의 가혹한 무단 통치의 탄압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우리 민족의 역량을 내외에 보여 준 거족적 독립 투쟁이었다.

3⋅1 운동을 통해, 우리 민족은 국가의 주권을 침략자의 손에서 기어이 도로 찾겠다는 결의와 자주 정신을 온 세계에 행동으로 보여 주었으니, 이후 세계는 우리 민족을 더욱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3⋅1 운동 전까지의 우리 민족이 펴 온 독립 투쟁은 그 성격과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도 있었고, 간혹 이해가 달랐던 면도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 전개되는 양상도 달랐다. 이렇게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내려온 독립 투쟁이 전 민족적인 단일 운동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독립 투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 3⋅1 운동이 거족적으로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였으며, 민중에 의하여 주도됨으로써 우리 민족의 능력을 크게 과시하였다.

이와 함께, 3⋅1 운동은 민족 의식과 민족 정신에 새로운 자각과 힘을 주었으며, 전 민족적인 독립 투쟁 정신은 그 이후의 독립 투쟁의 정신적 근거가 되었다.

한편,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거족적인 독립 투쟁은 같은 처지에 있던 아시아 여러 민족에게도 큰 감명과 용기를 주어, 중국과 인도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또, 세계 여러 지역에서 우리 나라의 독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일제의 비인간적 지배를 비판하는 여론이 일기도 했다.

한편, 일제도 3⋅1 운동을 통해 한민족을 무력만으로써는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 그들의 식민 통치 정책을 바꾸어 나갔다. 그러나, 그들이 내세운 이른바 문화 정치라는 것은, 우리 민족을 이간시키고 분열을 꾀하며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기 위한 속임수로 실시된, 보다 교활한 식민 통치 방법으로서 경찰력을 증강시켜 더 한층 우리 민족을 탄압하였다.

학습 정리

1. 일제의 무단적인 탄압 아래에서도 대한 독립 의군부와 같은 의병 투쟁이 계속되었고, 그 밖에도 많은 비밀 지하 운동이 계속되었다.

2. 만주, 연해주에서는 구국 교육 활동과 독립 운동 기지 설립 등 끈질긴 독립 투쟁의 터전이 만들어졌다.

3. 3⋅1 운동은 종교 단체와 학생 조직이 중심이 되고, 전 민족이 가담한 거족적인 민족 독립 운동이었다.

4. 3⋅1 운동은 우리 겨레의 독립 역량을 과시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 겨레의 독립 운동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