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1편 상고(태고-삼국시대)
  • 상고의 후기(삼국 시대)
  • 제1장 삼국의 발흥과 발전
  • 1. 삼국의 일어남과 6가야

1. 삼국의 일어남과 6가야

『고구려』 고구려 부족이 한나라의 세력(현토)을 몰아내고 부락국가의 생활을 하다가 주몽(추모로도 씀)이 일어나 졸본(만주의 회인현)을 중심으로 새 나라를 마련하였으니(국기 2297년, 서기전 37년) 이 분이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이다.

고구려 사람은 본래부터 산골에서 농목과 사냥으로 생활을 하며 또 같은 종족의 여러 부족(부여, 옥저, 예 등)과 다른 종족들(한나라의 요동, 현토-이 현토는 흥경노성(興京老城) 방면으로 쫒겨나 있던 것임-, 낙랑, 선비, 읍루 등)에게 둘러싸여 있으므로 이러한 가운데에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연히 투쟁의 길을 밟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고구려 사람은 저절로 무를 숭상하고 용맹스러운 성격을 갖추게 되어 압록강 유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치기 시작하였다. 고구려는 처음부터 이웃 여러 나라를 병탄하면서 한나라(왕망)와 충돌을 거듭하였으며, 도읍은 제2대 유리왕 때에 압록강 유역의 요충인 국내성(만주의 통구 부근)으로 옮겼다.

『백제』 마한의 백제[광주]로부터 일어난 것이니 백제는 시조 온조를 중심으로 남으로 내려온 부여 계통의 유리 족속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국가로서 나타난 것이다.(국기 2316년, 서기전 18년) 그러므로 백제의 치자 계급은 대개 부여 계통을 받은 것으로서 뒷날까지도 백제에는 유력한 씨족으로서 이른바 8족이라는 것이 있었으며, 국내의 중요한 성은 왕자와 종족들이 웅거하고 있었다. 백제는 처음부터 남쪽으로 마한의 여러 나라를 평정하면서 때로는 서북으로 대방 지방(황해도 일대)을 쳐서 차차 영토적으로 발전하였고 도읍은 시조 때에 잠깐 위례성(지금의 경성 부근)에 정하였다가 다음에 하남 위례성(광주 옛 고을)으로 옮겼다.

『신라』 진한의 사로(경주)로부터 일어났으니 【사로와 신라는 같은 음으로 다른 글자임】 사로의 씨족사회가 발전됨에 따라 6촌 【사로의 6촌 : 알천양산촌, 돌산고허촌, 취산진지촌, 무산대수촌, 금산가리촌, 명활산고야촌】의 우두머리들이 혁거세를 임금으로 받들었다.(국기 2277년, 서기전 57년) 이에 사로는 새로운 나라로 출발하게 되었다.

신라는 차차 안으로 여러 제도가 서며 밖으로 이웃 땅을 차지하면서 천천히 발전의 발길을 내디뎠다. 이같이 신라는 씨족사회를 기초로 하였으므로 【골품제】 윗 계급은 혈통을 따라 성골, 진골의 차별이 생겨 초기에는 성골 출신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으며 (제18대 진덕여왕까지) 또 골품이 같으면 씨가 다르더라도 왕위에 오르는 준례가 서게 되어 박(혁거세계), 석(제4대 탈해왕계), 김(제13대 미추왕계)의 세 계통이 서로 넘나들며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6가야』 변한에서도 여러 새로운 나라가 일어났으니 6가야가 곧 그것이다. 【6가야 : 가락(금관), 대가야, 소가야, 성산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6가야 가운데에서도 낙동강 하류 유역에 수로왕이 일으킨 가락국 【가락과 구야(狗耶)는 같은 음으로 다른 글자임】과 (국기 2375년, 서기 42년) 낙동강 상류 유역의 대가야(고령)가 세력과 문화에 있어 가장 눈여겨 볼만하다. 특히 가락국은 구야에서 일어난 것으로서 산업과 교통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